자유민주적 기본질서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517

STNet ID : 1004008

한자 : 自由民主的基本秩序
독일어 : freiheitlich-demokratische Grundordnung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민주적 기본 질서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평등 () [ 平等 ]

hasComponent (구성요소)

 

 

국민의 자치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자유 () [ 自由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헌법 [ 憲法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일당독재

hasOpposition (대항/억제)

 

 

일인독재

hasOpposition (대항/억제)

 

 

자의적 지배

hasOpposition (대항/억제)

 

 

폭력적 지배

hasOpposition (대항/억제)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반국가 단체 [ 反國家團體 ]

박정희 시기의 헌법 정신과 내용의 해석―절차, 조항, 개념, 의미를 중심으로

Interpreting Constitutional Principles, Articles, and Practice under the Park Chung-Hee Era

역사비평 | 96 | 2011 | 역사학

통일비용과 법치주의

The Expenses for Unification and Rule of Law

서울대학교 법학 | 53 | 3 | 2012 | 법학

통일헌법의 권력구조 ― 의회제도를 중심으로 ―

Power Structure in the Constitution of Unified Korea Focused on the Parliamentary System -

공법연구 | 40 | 2 | 2011 | 법학

정당해산심판의 실체적 요건 - 정당해산심판제도의 좌표와 관련하여 -

Tatbestandsvoraussetzungen des Parteiverbots: in bezug auf heutigen Standpunkt des Parteiverbots

서울대학교 법학 | 51 | 1 | 2010 | 법학

정당해산심판의 실체적 요건 - 정당해산심판제도의 좌표와 관련하여 -

Tatbestandsvoraussetzungen des Parteiverbots: in bezug auf heutigen Standpunkt des Parteiverbots

서울대학교 법학 | 51 | 1 | 2010 | 법학

대북정책의 제도적 기초와 국민적 합의 도출을 위한 전제* -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의 정비를 중심으로 -

Institutionelle Grundlage für die Nordpolitik und Voraussetzungen für die nationale Konsensbildung - Insb. über die Verbesserung des 「Gesetzes für die Entwicklung des Verhältnisses zwischen Süd- und Nordkorea」 -

고려법학 | 59 | 2010 | 법학

대북정책의 제도적 기초와 국민적 합의 도출을 위한 전제* -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의 정비를 중심으로 -

Institutionelle Grundlage für die Nordpolitik und Voraussetzungen für die nationale Konsensbildung - Insb. über die Verbesserung des 「Gesetzes für die Entwicklung des Verhältnisses zwischen Süd- und Nordkorea」 -

고려법학 | | 59 | 2010 | 법학

능동적 시민으로서의 군인 — 독일 군인법제를 중심으로 —

The Soldier as an Active Citizen

민주법학 | 49 | 2012 | 법학

평화통일 관련 입법에 대한 헌법적 평가

The Constitutional Evaluation of Laws on Korea Reunification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평화통일 관련 입법에 대한 헌법적 평가

The Constitutional Evaluation of Laws on Korea Reunification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자유민주주의의 공법적 고찰 - 민주주의 논쟁 중심으로 -

The Study on Liberal Democracy in Public Law - Focus on Dispute about Democracy -

법학연구 | 34 | 2011 | 법학교육

한반도 체제에 대한 제언: 자유민주적 통일에 대한 최소주의적 접근

A minimal liberal approach for the Korean unification : Its principle and policies

법철학연구 | 15 | 2 | 2012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