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기본권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5937

STNet ID : 1003583

한자 : 勞動基本權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단결권 [ 團結權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노동3권 [ 勞動三權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단체 행동권 [ 團體行動權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근로의 권리 [ 勤勞--權利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생존권 확보 [ 生存權確保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과로자살 [ 過勞自殺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단결 금지 법리 [ 團結 禁止 法理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헌법 [ 憲法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국제 노동 기준 [ 國際 勞動 基準 ]

RT (관련어)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국제인권규약 A규약 () [ 國際人權規約--規約 ]

쟁의행위에 대한 업무방해죄 적용 비판 -대법원 판결 비판을 중심으로-

Critical Review of the Judicial Application of the Crime of 'Interference with Business' to Labor Strikes

비교형사법연구 | 12 | 1 | 2010 | 법학

쟁의행위에 대한 업무방해죄 적용 비판 -대법원 판결 비판을 중심으로-

Critical Review of the Judicial Application of the Crime of 'Interference with Business' to Labor Strikes

비교형사법연구 | 12 | 1 | 2010 | 법학

Public Employee Unionization and Path Dependency in Korean Social Concertation

한국비교정부학보 | 16 | 2 | 2012 | 행정학

일본에 있어 연합군총사령부 점령기의 노동기본권에 관한 소고

日本における連合国軍総司令部占領期の労働基本権に関する小考

노동법논총 | 25 | 2012 | 노동법

개정 발의안을 통해 본 교원노조법의 쟁점과 개선방향

Analysis on major issue and revision of Act on the establishment, operation, etc. of trade unions for teachers

교육정치학연구 | 19 | 1 | 2012 | 교육행정/경영학

공무원의 노동기본권 제한의 연혁과 헌법재판소의 태도

History of Restriction of Public Officials' Labor Rights and the Attitude of Constitutional Court in Korea

노동법학 | 43 | 2012 | 노동법

노동기본권과 소수 노동조합의 협약능력 및 단체협약의 효력에 관한 연구 ― 단체교섭창구 단일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abor Fundamental Rights, the Capacity to Conclude Collective Agreements and Effect of the Collective Agreement in Minority Unions - Focusing on the Single Bargaining Channel -

노동법학 | 38 | 2011 | 노동법

韓国における団体交渉窓口の単一化と交渉代表労働組合等の公正代表義務の制度化

한국에서의 단체교섭창구단일화와 교섭대표노동조합등의 공정대표의무의 제도화

노동법논총 | 19 | 2010 | 노동법

韓国における団体交渉窓口の単一化と交渉代表労働組合等の公正代表義務の制度化

한국에서의 단체교섭창구단일화와 교섭대표노동조합등의 공정대표의무의 제도화

노동법논총 | 19 | | 2010 | 노동법

노동법학에서의 헌법학의 역할

The Roles of Constitutional Law in Labor Law

동아법학 | 48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