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 행동권

연구분야 : B130403 사회과학 > 법학 > 분야별법 > 노동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9622

STNet ID : 9001033

한자 : 團體行動權

d02-02 정치/법률제도

대상2

근로자 (勤勞者)

목적_t

근로자가 근로조건의 유지 ·개선을 위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노동3권 [ 勞動三權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근로 기본권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노동 기본권 [ 勞動基本權 ]

R1:개념적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c01-04 능력/힘/에너지 /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단체교섭권 [ 團體交涉權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긴급 조정권 [ 緊急調停權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단결권 [ 團結權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단결 금지 법리 [ 團結 禁止 法理 ]

일본에 있어 연합군총사령부 점령기의 노동기본권에 관한 소고

日本における連合国軍総司令部占領期の労働基本権に関する小考

노동법논총 | 25 | 2012 | 노동법

필수유지업무결정의 성격과 판단기준

The Strict Criteria of the Decision of Minimum Services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필수유지업무결정의 성격과 판단기준

The Strict Criteria of the Decision of Minimum Services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

복수노조 시행과 노사관계 안정화 방안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ulti-Unions and the Stabilization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경희법학 | 46 | 4 | 2011 | 비교법학

업무방해죄 전원합의체 판결의 의의와 과제 ― 후속 판결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A Significance and Task of the Supreme Court Grand Bench Decision on the Obstruction of Business

노동법연구 | 33 | 2012 | 법학

형법상 업무방해죄와 쟁의권 ― 헌법재판소 2010.4.29. 선고, 2009헌바168 결정을 중심으로 ―

Penal Sanction against Strike: Focused on Decision of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2010. 4. 29, 2009HUNBA168)

민주법학 | 44 | 2010 | 법학

형법상 업무방해죄와 쟁의권 ― 헌법재판소 2010.4.29. 선고, 2009헌바168 결정을 중심으로 ―

Penal Sanction against Strike: Focused on Decision of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2010. 4. 29, 2009HUNBA168)

민주법학 | | 44 | 2010 | 법학

집단적 노무제공의 거부로서의 파업과 부작위범의 성립요건 - 대법원 2011.3.17. 선고 2007도482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Strike and Obstruction of business

형사법의 신동향 | 35 | 2012 | 형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