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평준화

연구분야 : B1207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행정/경영학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4221

STNet ID : 1002070

한자 : 高校平準化
영어 : standardization of high schools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고교평준화정책 [ 高校平準化政策 ]

UF (비우선어)

 

 

평준화 [ 平準化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 정책 [ 敎育政策 ]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도시주의 () [ 都市主義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중등 교육 [ 中等敎育 ]

RT (관련어)

 

a02-02 교육기관 교육기관

자립형사립 고등학교 () [ 自立形私立高等學校 ]

RT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교육 평등 () [ 敎育平等 ]

학교선택제에 대한 초ㆍ중등학교 교원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 차이

A Study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bout School Choice

교사교육연구 | 50 | 3 | 2011 | 교사교육

경쟁주의와 학력격차가 불러온 도시 간 명문고 경쟁, 그리고 학생의 권리

Competition to hold prestige high school between cities, and students’ human right; Centered around south-west capital area

공간과 사회 | 21 | 1 | 2011 | 지리학

현대교육철학의 관점에서 고찰한 한국교육현안의 쟁점들에 대한 교육계의 보수와 진보의 시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sssues for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vision in Korea education, investigate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educational philosophy

교양교육연구 | 6 | 1 | 2012 | 학제간연구

학교선택제의 시행에 대한 비판적 접근

A Critical Approach on the School Choice System

인문사회과학연구 | 26 | 2010 | 학제간연구

학교선택제의 시행에 대한 비판적 접근

A Critical Approach on the School Choice System

인문사회과학연구 | | 26 | 2010 | 학제간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