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정책

연구분야 : B151000 사회과학 > 정책학 > 학술/교육정책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29

한자 : 敎育政策
영어 : educational policy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교육 체계 개선 [ 敎育體系改善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문화 정책 () [ 文化政策 ]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사회 정책 [ 社會政策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독일 교육 정책 [ 獨逸敎育政策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여성 교육 정책 [ 女性敎育政策 ]

hasKind (종류)

 

 

초등 교육 정책 [ 初等敎育政策 ]

hasKind (종류)

 

 

직업 훈련 정책 [ 職業訓練政策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황국신민화 교육 정책 [ 皇國臣民化敎育政策 ]

hasKind (종류)

 

 

중등 교육 정책 [ 中等敎育政策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졸업 정원제 [ 卒業定員制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입시 제도 [ 入試制度 ]

hasKind (종류)

 

 

사교육 정책 [ 私敎育政策 ]

hasKind (종류)

 

 

대학 정책 [ 大學政策 ]

hasKind (종류)

 

 

교육 평등 정책 [ 敎育平等政策 ]

hasKind (종류)

 

 

교육 기본 정책 [ 敎育基本政策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3불 정책 () [ 三不政策 ]

hasKind (종류)

 

 

교육 개혁 정책 [ 敎育改革政策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고등 교육 정책 [ 高等敎育政策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한국 교육 정책 [ 韓國敎育政策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재교육 정책 [ 再敎育政策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고교 평준화 () [ 高校平準化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단위학교자율책임경영 [ 單位學校自律責任經營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교육 만족도 [ 敎育滿足度 ]

affects (영향)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교육 수요 () [ 敎育需要 ]

affects (영향)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원 수급 정책 [ 敎員需給政策 ]

hasIssue (이슈/주제)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교육 양극화 () [ 敎育兩極化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 계획 [ 敎育計劃 ]

isAffectedBy (영향요인)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국가교육과정총론 () [ 國家敎育課程總論 ]

isBaseFor (근거.토대의 대상)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 예산 [ 敎育豫算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Z99 기타주제어 기타주제어

교육 여론 () [ 敎育輿論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 [ 國家敎育課程情報--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R] 연구 대회 () [ 硏究大會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교육 분권화 () [ 敎育分權化 ]

RT (관련어)

 

 

교육 정책 개발 [ 敎育政策開發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b01-02 교육활동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 () [ 敎育 ]

RT (관련어)

 

 

교육 보조금 [ 敎育補助金 ]

RT (관련어)

 

 

교육 발전 [ 敎育發展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입시문화 [ 入試文化 ]

RT (관련어)

 

y06-04 회의명 회의명

인적자원개발 회의 [ 人的資源開發 會議 ]

RT (관련어)

 

d03-02 분석방법 분석방법

로렌즈 곡선 분석 [ --曲線分析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고교다양화 300프로젝트 [ 高校多樣化-- ]

hasInstance (사례)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4C-STEAM ()

미국 교육격차해소법(NCLB)의 법적 고찰

Legal Study on No Child Left Behind Act(NCLB) in the United States

법학논총 | 23 | 1 | 2010 | 기타법학

미국 교육격차해소법(NCLB)의 법적 고찰

Legal Study on No Child Left Behind Act(NCLB) in the United States

법학논총 | 23 | 1 | 2010 | 기타법학

사회 갈등적 공공이슈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연구:정권교체기 보수와 진보언론의 교육정책 관련 보도태도 분석

A Study On the Media Report Attitudes toward The Social Conflictual Issues: An Analysis about Reporting Education Policy From Conservative, Progressive Media In Regime Change

한국공공관리학보 | 25 | 3 | 2011 | 사회과학

교육정책과 수의 지배: 신자유주의적 통치 양식으로서 수량화 비판

Governing the education policy by numbers: A critique of the quantification of education as the neo-liberal governmentality

교육사회학연구 | 22 | 1 | 2012 | 교육학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조선어급한문 교과서 연구 시론 -중등교육 교재 『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the Choseoneo and Classical-Chinese Textbooks of Choseon Government General -Mainly on Middle School Division Textbooks-

漢文學報 | 22 | 2010 | 한문학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조선어급한문 교과서 연구 시론 -중등교육 교재 『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the Choseoneo and Classical-Chinese Textbooks of Choseon Government General -Mainly on Middle School Division Textbooks-

漢文學報 | 22 | | 2010 | 한문학

평준화와 수준별이동수업 교육정책이 영어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 분석

The effect of the equalization and the differentiated English curriculum on English self-efficacy: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영어교육연구 | 23 | 4 | 2012 | 영어와문학

2000년대 독일 교육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 교육 개혁 정책과 함부르크 학제 개혁안 논쟁을 중심으로

Die deutsche Bildungspolitik und -reform seit 2000 - Schulreform in Hamburg

독일어문학 | 18 | 1 | 2010 | 독일어와문학

2000년대 독일 교육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 교육 개혁 정책과 함부르크 학제 개혁안 논쟁을 중심으로

Die deutsche Bildungspolitik und -reform seit 2000 - Schulreform in Hamburg

독일어문학 | 18 | 1 | 2010 | 독일어와문학

유럽의 다문화사회와 상호문화교육에 관한 고찰

Study on Multicultural Society in Europe and Intercultural Education

人文科學硏究 | 30 | 2012 | 기타인문학

교육정책의 굿 거버넌스 모색

Searching for Good Governance of Korean Educational Policy

의정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교육정책의 굿 거버넌스 모색

Searching for Good Governance of Korean Educational Policy

의정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정책아이디어, 틀 짓기, 사회적 담론 형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교육정책을 중심으로

Policy Ideas, Framing, and Public Discourse: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Policy

행정논총 | 48 | 2 | 2010 | 행정학

정책아이디어, 틀 짓기, 사회적 담론 형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교육정책을 중심으로

Policy Ideas, Framing, and Public Discourse: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Policy

행정논총 | 48 | 2 | 2010 | 행정학

대만 사립학교법에 대한 연구 - 사립학교의 지배구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ivate School Act of Taiwan

법학논총 | 24 | 1 | 2011 | 기타법학

사립학교의 공공성과 자율성에 관한 연구 ― 사립학교법의 변천과정과 현행 법제의 구조적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utonomy and the Publicity of the Private School

공법연구 | 39 | 3 | 2011 | 법학

학교선택론 기본 가정의 재검토: 제도행동주의 경제학의 관점

Rethinking of the Basic Assumptions of School Choice Policies: Utilizing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 Behavioral Economics

한국교원교육연구 | 29 | 2 | 2012 | 교육학

교육과정 개발 정책으로서의 SBCD 등장의 사적 배경과 성립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Formation of SBCD as the Policy of Curriculum Development

교육사상연구 | 26 | 1 | 2012 | 교육학

『여자고등조선어독본』을 통해 본 여성상

The image of Woman in Highschool Chosun-uh-dokbon for Women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Giddens의 제3의 길 프로그램의 한국 교육정책에 적용을 위한 예비적 논의

Preliminary Discussion for Applying Giddens' the Third Way Program to Koran Educational Policy

교육종합연구 | 8 | 3 | 2010 | 교육학

Giddens의 제3의 길 프로그램의 한국 교육정책에 적용을 위한 예비적 논의

Preliminary Discussion for Applying Giddens' the Third Way Program to Koran Educational Policy

교육종합연구 | 8 | 3 | 2010 | 교육학

교육 자율화 정책 거버넌스의 분석 및 혁신방안

Innovating Educational Governance Conforming to School Autonomy

한국정책학회보 | 19 | 1 | 2010 | 정책학

교육 자율화 정책 거버넌스의 분석 및 혁신방안

Innovating Educational Governance Conforming to School Autonomy

한국정책학회보 | 19 | 1 | 2010 | 정책학

재외 교육기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미국의 한글학교·한국학교·한국교육원을 중심으로-

Historical Analysis on the Korean Education of Oversea Educational Institution in the United States

교육사상연구 | 25 | 1 | 2011 | 교육학

주민 직선 1․2기 서울시 교육감 선거 결과 분석

An Analysis on Elections for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 Seoul 2008/2012

한국교육논단 | 10 | 1 | 2011 | 교육학

식민지기 조선인 초등교육 확대의 통계적 분석

The Rise of Public Primary Schooling in Colonial Korea

경제사학 | 52 | 2012 | 경제학

사립대학과 정부의 관계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Models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Universities

동아법학 | 56 | 2012 | 법학

경제정책에 대한 인식과 주택소유 형태가 투표불참에 미치는 영향 연구: 18대 총선의 경우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ptions of Economic Policy and Household Ownership on the Voter’s Abstention in Korean Elections: the Case of the 2008 National Assembly Election

한국정당학회보 | 11 | 2 | 2012 | 정치권력/정치과정

문화교류로서의 EU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ducational Policy in the EU as a Cultural Exchange

글로벌문화콘텐츠 | 5 | 2010 | 기타인문학

문화교류로서의 EU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ducational Policy in the EU as a Cultural Exchange

글로벌문화콘텐츠 | | 5 | 2010 | 기타인문학

수학강좌의 강의평가에 대한 문제점 연구

The Study for Problems of course evalu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수학교육 논문집 | 24 | 4 | 2010 | 수학교육학

수학강좌의 강의평가에 대한 문제점 연구

The Study for Problems of course evalu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수학교육 논문집 | 24 | 4 | 2010 | 수학교육학

Family and Student Characteristics and Exercise of Public School Choice Options in the U. S.

학교선택 참여 학생의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 미국 공립학교의 사례

비교교육연구 | 20 | 3 | 2010 | 교육학

Family and Student Characteristics and Exercise of Public School Choice Options in the U. S.

학교선택 참여 학생의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 미국 공립학교의 사례

비교교육연구 | 20 | 3 | 2010 | 교육학

다문화관점에서의 탈북청소년에 대한 국가 교육정책 분석: 교육과학기술부를 중심으로

Educational Policy analysis for North Korean migrant youth in the Multicultual perspective: Focusing 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교육연구논총 | 33 | 2 | 2012 | 교육사회학

A초등학교는 왜 변하지 않을까?

Why are there no changes in Elementary A?

교육행정학연구 | 29 | 3 | 2011 | 교육학

영어회화전문강사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the English conversation instructor system at schools and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영어교육연구 | 23 | 1 | 2011 | 영어와문학

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이 교육여건 및 교육성과 개선에 미치는 영향 - 1차 연도를 중심으로 -

Does the PEUC have influenced on the universities's educational competency?

교육행정학연구 | 28 | 4 | 2010 | 교육학

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이 교육여건 및 교육성과 개선에 미치는 영향 - 1차 연도를 중심으로 -

Does the PEUC have influenced on the universities's educational competency?

교육행정학연구 | 28 | 4 | 2010 | 교육학

학교선택제에 대한 초ㆍ중등학교 교원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 차이

A Study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bout School Choice

교사교육연구 | 50 | 3 | 2011 | 교사교육

Singapore's Bilingualism and its Bilingual Educational Polic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Continuity, Change and Challenge, 1950s-2000s

싱가포르의 이중언어정책과 이중언어 교육정책에 대한 연구: 역사적 형성, 공고화 과정, 사회적 함의를 중심으로

지역과 세계 | 36 | 1 | 2012 | 기타사회과학

교육정책담당자의 순환보직이 정책집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the Bureaucrats' Personnel Changes on Educational Policy Implementation

교육행정학연구 | 28 | 4 | 2010 | 교육학

교육정책담당자의 순환보직이 정책집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the Bureaucrats' Personnel Changes on Educational Policy Implementation

교육행정학연구 | 28 | 4 | 2010 | 교육학

한국 교육정책의 수월성과 형평성의 조화를 위하여

In Search of Reconciliation between Excellency with Equity in Korean Educational Policies

사회과학논집 | 41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한국 교육정책의 수월성과 형평성의 조화를 위하여

In Search of Reconciliation between Excellency with Equity in Korean Educational Policies

사회과학논집 | 41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Bernstein의 집합형과 통합형 관점에서 본 교육정책에 의한 교직변화의 방향과 양상

An Analysis of Korean Educational Policies on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eaching Profession Change from Bernstein’s Collection and Integrated Code Perspective

한국교원교육연구 | 29 | 3 | 2012 | 교육학

영어 중시 교육정책의 계층적 권력효과: 말레이시아 도시 저소득층 학생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Privileging English to Globalize Education: the deepening educational disqualification of the urban poor in Malaysia

동아연구 | 31 | 2 | 2012 | 지역학

초・중・고 교과서 안보내용 분석과 국가보훈단체의 역할

Analysis of textbooks used in elementary school/junior-high school/high school and the role of state veterans welfare agencies

한국보훈논총 | 11 | 3 | 2012 | 기타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