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곡

연구분야 : G020000 예술체육 > 음악학

클래스 : 음악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59

STNet ID : 1000050

한자 : 歌曲
음차어 : Gagok

e01-02 음악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만년장환지곡 [ 萬年長歡之曲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한국 전통 음악 [ 韓國傳統音樂 ]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선비 음악 [ --音樂 ]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성악곡 [ 聲樂曲 ]

isKindOf (상위 유형)

 

 

정가 () [ 正歌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2010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 [ --無形文化遺産 ]

R1:개념적

originatesFrom (기원/근원)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삭대엽 () [ 數大葉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가집 () [ 歌集 ]

RT (관련어)

원형/대상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중대엽 [ 中大葉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죽음과 소녀 (1817) [Death and the Maiden]

진작류 악곡의 리듬해석과 음악 -진작, 치화평, 봉황음, 횡살문, 자하동, 이상곡, 성황반, 내당, 잡처용에 한하여-

The Rhythm and Music of Jinjakryu songs -Jinjak, Chihwapyeong, Bonghwangeum, Jahadong, Hoengsalmun, Isanggok, Naedang, Japcheoyong-

한국음악연구 | 50 | 2011 | 음악학

육당 최남선의 시조정리사업과 그 의미 -『가곡선』과 『시조유취』를 중심으로

Choi Nam Seon's Sijo Rearrangement project and its meanings-Focused on "Gagokseon" and "Sijo-Youchui"

한국시가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時調辭의 情操 流動과 歌曲的 5章 構造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Stream of Sentiment in a Sijopoem and the Structure of the Kagok

고전문학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녹성 김성진의 대금 선율 분석 연구 - 가곡 중 우조 초수대엽, 우조 이수대엽, 언락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Melodies of Daegum Performed by Nogseong Kim Seong-jin, Part V - With the Focus on ‘Chosudaeyop in U-key’, ‘Isudaeyop in U-key’ and ‘Onrak’ of Korean Traditional Authentic Songs -

한국음악연구 | 49 | 2011 | 음악학

東京大 『琴譜(小倉本)』에서 시도된 歌曲 기보의 새로운 방법

A new musical notation of Kagok (歌曲) in Keumbo (琴譜) at Sochangmungo (小倉文庫) of Tonggyeong (東京) University

진단학보 | 115 | 2012 | 역사학

19세기 말 가집『聲樂元祖 歌曲』의 성격

The Characteristics of 『Seongakwonjo Gagok(聲樂元祖 歌曲)』, as Collections of Poems of the Later 19th Century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말 가집『聲樂元祖 歌曲』의 성격

The Characteristics of 『Seongakwonjo Gagok(聲樂元祖 歌曲)』, as Collections of Poems of the Later 19th Century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樂府(羅孫本)의 계보학적 위상

The Genealogic Status of Akbu(Nason version)

한국시가문화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東京大 『琴譜(小倉本)』에서 시도된 歌曲 기보의 새로운 방법

A new musical notation of Kagok (歌曲) in Keumbo (琴譜) at Sochangmungo (小倉文庫) of Tonggyeong (東京) University

진단학보 | 115 | 2012 | 역사학

조선 후기 時調 漢譯의 재검토

Reconsideration of Sijo's Chinese Translatio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전반 가곡 가집『詩歌曲』의 특성과 계보

The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of Sigagok(詩歌曲), Gagok Anthology in the beginning of 19th Century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전반 가곡 가집『詩歌曲』의 특성과 계보

The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of Sigagok(詩歌曲), Gagok Anthology in the beginning of 19th Century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歌曲源流』 連音標의 기능―남창가곡에 한하여

The Function of Yeonumpyo in Gagokwollyou

한국민족문화 | 39 | 2011 | 기타인문학

杜谷 高應陟의 시조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oogok(杜谷) Ko, Eung-cheok(高應陟)'s Sijo

시조학논총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杜谷 高應陟의 시조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oogok(杜谷) Ko, Eung-cheok(高應陟)'s Sijo

시조학논총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정구의 가곡과 풍류에 대한 인식 고찰

A Study on the Cognition of Kagok and Refinement of Lee Jeonggu(李廷龜)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건우의 가곡에 나타나는 작곡기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mposition technique in Lee Kunwoo's songs

음악과 민족 | 39 | 2010 | 음악학

이건우의 가곡에 나타나는 작곡기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mposition technique in Lee Kunwoo's songs

음악과 민족 | | 39 | 2010 | 음악학

조선후기 가곡 향유 범위와 그 의미

The Enjoyment Scope and Meaning of Gagok(歌曲) in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시조학논총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특집1: 『아가 I』을 중심으로 살펴 본 이상근의 예술가곡

A research on art song of Lee Sang Keun in Aga I

음악과 민족 | 39 | 2010 | 음악학

특집1: 『아가 I』을 중심으로 살펴 본 이상근의 예술가곡

A research on art song of Lee Sang Keun in Aga I

음악과 민족 | | 39 | 2010 | 음악학

가집 서발에 나타난 가론연구

A Study on the Kagok Theory in the Sijo Anthologies of the Late Chosun Period

음악과 문화 | 25 | 2011 | 음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