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 음악

연구분야 : G020100 예술체육 > 음악학 > 한국음악이론/분석

클래스 : 음악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219

한자 : 韓國傳統音樂
영어 : Korean traditional music

e01-02 음악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전통 음악 [ 傳統音樂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가곡 (국악) [ 歌曲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사물놀이 [ 四物--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2-02 교육기관 교육기관

국악 교육 기관 [ 國樂敎育機關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시김새 ()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 -다문화교육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위상을 중심으로-

Multi-cultural Society and Rol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다문화콘텐츠연구 | 1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 음악교육에 관한 고찰: 일본 북해도 청소년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음악교육공학 | 12 | 2011 | 음악학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국악의 변천과 방향 탐색

The Transition and Prospect of the Kukak in Music curriculum

음악교육공학 | 11 | 2010 | 음악학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국악의 변천과 방향 탐색

The Transition and Prospect of the Kukak in Music curriculum

음악교육공학 | | 11 | 2010 | 음악학

東京大 『琴譜(小倉本)』에서 시도된 歌曲 기보의 새로운 방법

A new musical notation of Kagok (歌曲) in Keumbo (琴譜) at Sochangmungo (小倉文庫) of Tonggyeong (東京) University

진단학보 | 115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