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음악

연구분야 : G020300 예술체육 > 음악학 > 음악사학

클래스 : 음악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455

한자 : 傳統音樂
영어 : traditional music

e01-02 음악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장단 (박자) [ 長短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한국 전통 음악 [ 韓國傳統音樂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중국 전통 음악 () [ 中國傳統音樂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민속 음악 () [ 民俗音樂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전통 기악 () [ 傳統器樂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궁중 음악 () [ 宮中音樂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훈(塤) () [ 塤 ]

hasIssue (이슈/주제)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나발 [ 喇叭 ]

hasIssue (이슈/주제)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나각 [ 螺角 ]

북한 <주체음악>의 一元化鼎立發展局面의 형성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s Main Music

통일인문학 | 49 | 2010 | 기타인문학

북한 <주체음악>의 一元化鼎立發展局面의 형성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s Main Music

통일인문학 | 49 | | 2010 | 기타인문학

방송출연과 음반취입을 통한 기생의 음악활동

The gisaeng’s musical activity through broadcasting station appearance and phonographic record

국악교육 | 29 | 29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방송출연과 음반취입을 통한 기생의 음악활동

The gisaeng’s musical activity through broadcasting station appearance and phonographic record

국악교육 | 29 | 29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일제하 라디오 방송의 음악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1930년대를 중심으로

A Study of Music Program on Radio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Focusing on the 1930s

언론정보연구 | 47 | 2 | 2010 | 신문방송학

일제하 라디오 방송의 음악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1930년대를 중심으로

A Study of Music Program on Radio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Focusing on the 1930s

언론정보연구 | 47 | 2 | 2010 | 신문방송학

한국과 베트남 문화교류의 흐름에서 본 양국 전통음악 교류의 현황과 특성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xchange of Traditional Music between Korea and Vietnam - in view of Cultural Exchange

민족문화논총 | 46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과 베트남 문화교류의 흐름에서 본 양국 전통음악 교류의 현황과 특성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xchange of Traditional Music between Korea and Vietnam - in view of Cultural Exchange

민족문화논총 | | 46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일본․중국․홍콩 음악 교육과정의 전통음악 내용 비교 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Traditional Music Contents of the Music Curricula among Korea, Japan, China, and Hong Kong

국악교육연구 | 5 | 2 | 2011 | 예술교육

목포권 전통 음악 문화의 전승양상과 발전 가능성

The Transmission Aspect and the Prospect for Development of Traditional Music Culture in Mokpo Region

『도서문화』 | 37 | 2011 | 기타인문학

해방 직후(1945.8~1948.7) 남한 전통음악계의 음악사회사

The Wor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ts Social History right after the Korean Liberation (August 1945~July 1948)

한국음악연구 | 51 | 2012 | 음악학

20세기 초 한국 전통음악의 상품미학적 접근

Korean Traditional Music of the Early 20th Century -A Commodity Aesthetics Approach-

인문과학 | 48 | 2011 | 기타인문학

20세기 초 미디어 문화에서 나타난 전통음악 상품과 음악 취향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raditional Music as Commodity and Musical Taste of Early Twentieth Century Media Culture

인문과학 | 49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