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단

연구분야 : G020100 예술체육 > 음악학 > 한국음악이론/분석

클래스 : 기법/방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4784

한자 : 長短
영어 : rhythm

d04-01 기법/방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자진모리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중모리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중중모리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모듬 장단 () [ --長短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단모리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진양조 () [ --調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휘모리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엇중모리

hasKind (종류)

 

 

무속 장단 [ 巫俗長短 ]

R1:개념적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리듬 () [rhythm]

R2:기능적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국악작곡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진도아리랑 () [ 珍島--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거상 장단 [ 巨象長短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전통 음악 [ 傳統音樂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국악 () [ 國樂 ]

진작류 악곡의 리듬해석과 음악 -진작, 치화평, 봉황음, 횡살문, 자하동, 이상곡, 성황반, 내당, 잡처용에 한하여-

The Rhythm and Music of Jinjakryu songs -Jinjak, Chihwapyeong, Bonghwangeum, Jahadong, Hoengsalmun, Isanggok, Naedang, Japcheoyong-

한국음악연구 | 50 | 2011 | 음악학

『시용향악보』 수록악곡의 음악양식 - 가사 및 장단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Musical Styles of the Songs in Siyong Hyangakpo

한국음악사학보 | 48 | 2012 | 음악학

‘효과’의 발음에 대하여

A Study on the pronunciation of ‘hyokwa’

우리어문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종묘제례악 탁정, 선위, 신정, 정세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Changes of Takjeong, Seonwi, Sinjeong, Jeongse in Jongmyo Jeryeak

한국음악연구 | 48 | 2010 | 음악학

종묘제례악 탁정, 선위, 신정, 정세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Changes of Takjeong, Seonwi, Sinjeong, Jeongse in Jongmyo Jeryeak

한국음악연구 | 48 | | 2010 | 음악학

밖에서 본 한국의 세틀형식 - <영산회상>에 기하여 -

New Prospect of Triple Musicl Form - based on Yeongsanhoesang -

국악원논문집 | 24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

보태평과 정대업의 종합적인 고찰

Comprehensive Study on Botaepyung 保太平 and Jeongdae-eop 定大業

온지논총 | 26 | 2010 | 기타인문학

보태평과 정대업의 종합적인 고찰

Comprehensive Study on Botaepyung 保太平 and Jeongdae-eop 定大業

온지논총 | | 26 | 2010 | 기타인문학

국어 반모음화에 따른 운소 변동의 통시적 고찰

A Diachronic Phonology of the Prosodeme Change Accompanying the Korean Semi-vocalization

國語學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기본박 찾기를 통한 고악보 정간보의 리듬해석 고찰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Rhythm of Chŏngganbo of Old Manuscripts

한국음악사학보 | 45 | 2010 | 음악학

기본박 찾기를 통한 고악보 정간보의 리듬해석 고찰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Rhythm of Chŏngganbo of Old Manuscripts

한국음악사학보 | | 45 | 2010 | 음악학

궁중춤 보법의 미적 세계 -춘앵전을 중심으로-

The Aesthetic Aspects of Court Dance Footwork -Centering on Chunaengjeon-

우리춤과 과학기술 | 7 | 2 | 2011 | 무용

판소리를 수용한 산조의 음악 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Style of Sanjo accepting Pansori-by comparing the Jangdan, Mode, and Sigimsae of Gayaguem Sanjo-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를 수용한 산조의 음악 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Style of Sanjo accepting Pansori-by comparing the Jangdan, Mode, and Sigimsae of Gayaguem Sanjo-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전 유황곡 불규칙장단의 변형 시기

The Period When Rhythm of Yuhwanggok Became Irregular

음악과 민족 | 39 | 2010 | 음악학

현전 유황곡 불규칙장단의 변형 시기

The Period When Rhythm of Yuhwanggok Became Irregular

음악과 민족 | | 39 | 2010 | 음악학

판소리장단의 리듬형 재구성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Reconstructing the Rhythmic Forms of Pansori Jangdan

한국음악연구 | 51 | 2012 | 음악학

풍물 굿 장단에서 박의 리듬구조와 수리체계 ―천부경의 삼재사상과 연관 지워

A Rhythm Structure and Mathematic System of Beat in the Pungmul Gut Jangdan ―Associated with the Samjae Thought of Chunbugyeong

민족미학 | 10 | 2 | 2011 | 미학일반

한국음악의 2박․3박 / 5박․8박

Meters in Korea; Duple, Triple, Quintuple, Octuple

비교민속학 | 44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