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확성의 원칙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B130203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형법

클래스 : 원칙/법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6624

STNet ID : 1002111

한자 : 明確性-- 原則

d01-02 원칙/법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명확성 원칙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죄형법정주의 [ 罪刑法定主義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기본권 제한 () [ 基本權制限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허위의 통신 [ 虛僞-- 通信 ]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기본권 충돌 [ 基本權 衝突 ]

RT (관련어)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의사 표현의 자유 [ 意思表現--自由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처벌 [ 處罰 ]

RT (관련어)

관련제도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인·허가의제 () [ 認許可擬制 ]

RT (관련어)

관련제도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명확성 [ 明確性 ]

‘미국산 쇠고기 및 쇠고기 제품 수입위생조건’헌법소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complaints regarding Notification of Import health requirements for US Beef Case

홍익법학 | 11 | 2 | 2010 | 법학

‘미국산 쇠고기 및 쇠고기 제품 수입위생조건’헌법소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complaints regarding Notification of Import health requirements for US Beef Case

홍익법학 | 11 | 2 | 2010 | 법학

行政法에 있어서의 罪刑法定主義 -‘法律上의 利益’ 槪念과 明確性의 原則을 中心으로 -

A Sdudy on the Principle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in Administrative Law

경희법학 | 45 | 3 | 2010 | 비교법학

일반식품의 기능성 표시와 그 법적 한계

The Functional Labeling of General Food and Its Legal Limitations

법학논총 | 17 | 3 | 2010 | 비교법학

일반식품의 기능성 표시와 그 법적 한계

The Functional Labeling of General Food and Its Legal Limitations

법학논총 | 17 | 3 | 2010 | 비교법학

고정출연심의규정, 소위 ‘소셜테이너(socialtainer) 출연금지법’의 헌법적합성 연구

Editorial Independence of Broadcasting Companies vs. Freedom of Expression of Regular Casts

공법연구 | 40 | 2 | 2011 | 법학

군형법상 명령위반죄에 관한 형법이론적 검토

A criminal law theoritical study of the disobedience to orders in military criminal law

형사정책연구 | 23 | 1 | 2012 | 법학

정보인권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의 분석

Analysis on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s concerning Informational Human Rights

공법학연구 | 12 | 4 | 2011 | 법학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제도의 법적 쟁점에 관한 검토

A study on restrictions broadcasting hour for juvenile protection

공법학연구 | 13 | 1 | 2012 | 법학

모욕죄의 보호법익 및 법원의 현행 적용방식에 대한 헌법적 평가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Insult Law and a Constitutional Critique of its Application by Courts

언론과 법 | 10 | 2 | 2011 | 신문방송학

상표위조행위 처벌에 관한 형사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The Problems and Reform Measures from Point of View of Criminal Laws on the Criminal Punishment and Procedure of the Trademark Counterfeiting

산업재산권 | 31 | 2010 | 법학

상표위조행위 처벌에 관한 형사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The Problems and Reform Measures from Point of View of Criminal Laws on the Criminal Punishment and Procedure of the Trademark Counterfeiting

산업재산권 | | 31 | 2010 | 법학

법인․단체의 정치자금 기부금지

Prohibition of the Political Contribution of Corporation or Organization

세계헌법연구 | 17 | 1 | 2011 | 법학

위험범의 문제점과 제한적 해석․적용

Restrictiv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Endangering Offense Provisions

동아법학 | 51 | 2011 | 법학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선거운동금지 규정에 대한 헌법적 평가 - 헌법재판소 2009. 5. 28, 2007헌바24 결정의 평석을 중심으로 -

A Constitutional Evaluation on the Forbidden Clause of the Election Campaign used a Cellular Phone Letter Message - Focused on the Annotation of The Conclu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2009. 5. 28. Sentence, 2007Hun-Ba24 -

외법논집 | 34 | 4 | 2010 | 법학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선거운동금지 규정에 대한 헌법적 평가 - 헌법재판소 2009. 5. 28, 2007헌바24 결정의 평석을 중심으로 -

A Constitutional Evaluation on the Forbidden Clause of the Election Campaign used a Cellular Phone Letter Message - Focused on the Annotation of The Conclu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2009. 5. 28. Sentence, 2007Hun-Ba24 -

외법논집 | 34 | 4 | 2010 | 법학

추상적 위험범에 대한 비판적 검토

Critical review about abstract endangering offense (abstrakte Gefährdungsdelikt)

동아법학 | 47 | 2010 | 법학

추상적 위험범에 대한 비판적 검토

Critical review about abstract endangering offense (abstrakte Gefährdungsdelikt)

동아법학 | | 47 | 2010 | 법학

선거 후보자의 명함 배부 제한에 대한 헌법적 고찰 - 헌법재판소 2010. 2. 25. 선고 2008헌바10 결정에 대한 평석 -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Limit of Distribution of the Candidate's Business Cards - Annot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2010. 2. 25. Sentence, 2008Hun-Ba10 -

법학논총 | 18 | 1 | 2011 | 비교법학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인터넷내용심의의 위헌성

Unconstitutionality of Internet Censorship by Korea Communication Standards Commission

법학논총 | 27 | 2 | 2010 | 법학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인터넷내용심의의 위헌성

Unconstitutionality of Internet Censorship by Korea Communication Standards Commission

법학논총 | 27 | 2 | 2010 | 법학

인・허가의제와 集中效 - 쟁점사안을 중심으로 -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ㆍPermission & Concentration Effect - A Point at Issue between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And ‘INDUSTRIAL SITES AND DEVELOPMENT ACT’ -

법학논총 | 24 | 2010 | 법해석학

인・허가의제와 集中效 - 쟁점사안을 중심으로 -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ㆍPermission & Concentration Effect - A Point at Issue between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And ‘INDUSTRIAL SITES AND DEVELOPMENT ACT’ -

법학논총 | 24 | | 2010 | 법해석학

의료법 제27조 제1항의 의료행위와 명확성의 원칙 - 헌법법재판소 2008헌가19 등(병합)결정을 중심으로 -

Zum Begriff der medizinischen Behandlungen im § 27 Abs. 1 des Medizinrechtes und das Bestimmtheitsprinzip

공법학연구 | 13 | 1 | 2012 | 법학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언론관계법의 발전과 평가 - 제헌헌법부터 제9차 개정헌법까지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Laws Related to Speech after The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Establishment -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to The Ninth Revision Constitution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언론관계법의 발전과 평가 - 제헌헌법부터 제9차 개정헌법까지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Laws Related to Speech after The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Establishment -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to The Ninth Revision Constitution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5조 제1항에 대한 연구 - 헌재 2010. 04. 29, 2008헌바118결정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

A Study on the Clause 1, Article 5 of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 Combined with the Annotation of The Conclu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2010. 04. 29, 2008Hun-Ba118 -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5조 제1항에 대한 연구 - 헌재 2010. 04. 29, 2008헌바118결정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

A Study on the Clause 1, Article 5 of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 Combined with the Annotation of The Conclu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2010. 04. 29, 2008Hun-Ba118 -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상 사전신고제의 위헌성

The Unconstitutionality of Advance Notice System in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법학논고 | 38 | 2012 | 법학

타인의 권리의 양수와 변호사법위반

Assignments of claims of other persons and a violation of the Attorney-at- law Act in Korea

성균관법학 | 22 | 3 | 2010 | 법학

타인의 권리의 양수와 변호사법위반

Assignments of claims of other persons and a violation of the Attorney-at- law Act in Korea

성균관법학 | 22 | 3 | 2010 | 법학

전자주민증 도입의 주민등록법 개정안에 대한 헌법적 평가 - 정부 제출안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A Constitutional Evaluation on the Reform Bill of Resident Registration Act for the Introduction of the Electronic Resident Registration Cards - Focused on the Problem and Amendment of the Government Bill-

법학연구 | 22 | 3 | 2012 | 기타법학

일반 교통방해죄와 외교기관 인근 집회·시위 금지에 대한 헌법적 평가 ― 헌법재판소 2010. 03. 25. 선고, 2009헌가2 결정과 헌법재판소 2010. 10. 28. 선고, 2010헌마111 결정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A Constitutional Evaluation on the General Crime of a Traffic Obstacle and the Prohibition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the Vicinity of the Diplomatic Machinery - Focused on the Criticism of the Conclu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2010. 03. 25. Sentence, 2009Hun-Ga2 and the Conclu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2010. 10. 28. Sentence, 2010Hun-Ma111 -

공법연구 | 39 | 3 | 2011 | 법학

구 군형법 제92조에 대한 헌법적 평가 -헌법재판소 2011. 3. 31. 선고, 2008헌가21 결정의 평석을 중심으로-

일감법학 | 20 | 2011 | 기타법학

표현의 자유와“명확성 원칙”:한국 헌법재판소와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 비교연구

Free Speech and the Void for Vagueness Doctrine: A Comparative Analysis of Free Speech Cases in the Korea Consitutional Court and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한국언론정보학보 | 55 | 3 | 2011 | 신문방송학

명확성원칙에 관한 소고- 헌법재판소 99헌마480 결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ule of clarity

법학논집 | 16 | 2 | 2011 | 기타법학

미국의 체포․수색․압수제도의 이해 -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과 명확성 원칙의 관점에서 -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Search and Seizure of the United States from the Perspective of Exclusionary & Bright-line Rules

경찰학연구 | 11 | 1 | 2011 | 법학

객관적 귀속론과 대법원판례 입장에 관한 연구

Strafrechtliche Absatz der Lehre von objektiven Zurechnung und der Entscheidung des Koreanischen hoechten Gerichtes

한국경찰연구 | 10 | 2 | 2011 | 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