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권 제한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173

STNet ID : 1003733

한자 : 基本權制限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법익 균형성 [ 法益 均衡性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명확성의 원칙 [ 明確性-- 原則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긴급 명령 () [ 緊急命令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과잉금지의 원칙 () [ 過剩禁止--原則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기본권의 이중성 () [ 基本權--二重性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이중 기준 () [ 二重基準 ]

RT (관련어)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기본권 심사구조 () [ 基本權審査構造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인터넷 실명제 [ --實名制 ]

RT_Y (◄관련어)

관련 제도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법률 유보 [ 法律留保 ]

기본권보호청구권의 구조와 체계에 관한 고찰

Investigation on the System and Structure of the Protection Request Right on the Basic Right

법학연구 | 45 | 2012 | 법학

수사방법으로서의 사진 촬영의 적법성 - 우리나라와 일본의 학설․판례를 중심으로 -

Legality of photographing as a criminal investigation - comparative legal research in Korean and Japanese theories and cases -

법학연구 | 51 | 3 | 2010 | 기초법

수사방법으로서의 사진 촬영의 적법성 - 우리나라와 일본의 학설․판례를 중심으로 -

Legality of photographing as a criminal investigation - comparative legal research in Korean and Japanese theories and cases -

법학연구 | 51 | 3 | 2010 | 기초법

산업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법적 고찰

産業技術の流出を防ぐための法的考察

법학연구 | 13 | 1 | 2010 | 법학

산업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법적 고찰

産業技術の流出を防ぐための法的考察

법학연구 | 13 | 1 | 2010 | 법학

台灣全民健保法對於基本權之限制

대만 전국민건강보험법의 기본권에 대한 제한

성균관법학 | 24 | 1 | 2012 | 법학

情報化社會에서의 公表

Publicity in view of Information Society

외법논집 | 34 | 2 | 2010 | 법학

情報化社會에서의 公表

Publicity in view of Information Society

외법논집 | 34 | 2 | 2010 | 법학

경찰의 IDS 운영 실태와 위치추적권에 대한 고찰

The IDS Operation Status and Location System Rights of the Police

경찰학연구 | 12 | 3 | 2012 | 법학

비례의 원칙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roportionality Test

세계헌법연구 | 17 | 2 | 2011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