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례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69

STNet ID : 9001455

한자 : 嘉禮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가례 의식 [ 嘉禮儀式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b01-01 행위/활동 / D02 제도(체제) 제도(체제)

의식 [ 儀式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국조오례의 [ 國朝五禮儀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오례 () [ 五禮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가례도감의궤 () [ 嘉禮都監儀軌 ]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향촌사회 자료의 성격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olklore Contents of Country Village shown Ryuseoryu (Encyclopedia) of the late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향촌사회 자료의 성격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olklore Contents of Country Village shown Ryuseoryu (Encyclopedia) of the late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향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 of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향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 of hyanggyo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가족, 의례, 선정 ― 주희(1130~1200) 예학의 형성과정

Family, Rituals, and Good Government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가족, 의례, 선정 ― 주희(1130~1200) 예학의 형성과정

Family, Rituals, and Good Government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

Publishment of Gugjo-oryeui and Sovereign Pow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역사와 실학 | 43 | 2010 | 기타역사일반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

Publishment of Gugjo-oryeui and Sovereign Pow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역사와 실학 | | 43 | 2010 | 기타역사일반

한국 일생의례의 성격 규명과 주술성

The Characterization and the Magic of Lifelong Rites in Korea

한국학 | 34 | 1 | 2011 | 기타인문학

율곡학파의 예학

栗谷學派的禮學

율곡학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율곡학파의 예학

栗谷學派的禮學

율곡학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영남학파의 『주자가례』 수용양상 ― 동암東巖 류장원柳長源의 『상변통고常變通攷』를 중심으로

The Yeongnam School's Acceptance Aspects of Chu-tz's Customary Family Rites ― Focusing on Ryu, Jangwon's Sangbyeon Tonggo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영남학파의 『주자가례』 수용양상 ― 동암東巖 류장원柳長源의 『상변통고常變通攷』를 중심으로

The Yeongnam School's Acceptance Aspects of Chu-tz's Customary Family Rites ― Focusing on Ryu, Jangwon's Sangbyeon Tonggo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친영과 반친영의 문화적 含意

Cultural implicative meaning of Chinyeong and Ban-Chinyeong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오키나와[琉球]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 『사본당가례』의 성격

琉球における『朱子家礼』の受容と普及過程 ― 『四本堂家礼』の性格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오키나와[琉球]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 『사본당가례』의 성격

琉球における『朱子家礼』の受容と普及過程 ― 『四本堂家礼』の性格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베트남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ベトナムにおける家礼の受容と展開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베트남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ベトナムにおける家礼の受容と展開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조 士大夫 祭禮의 원류와 실상

Memorial Rites of Joseon Literati : The Origins and Facts

민족문화논총 | 4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조 士大夫 祭禮의 원류와 실상

Memorial Rites of Joseon Literati : The Origins and Facts

민족문화논총 | | 46 | 2010 | 기타인문학

1906년 순종의 嘉禮班次 연구

The study of the Royal Wedding Procession in 1906

藏書閣 | 25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