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례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378

STNet ID : 1000646

한자 : 五禮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빈례 [ 賓禮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길례 [ 吉禮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흉례 [ 凶禮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군례 [ 軍禮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가례 [ 嘉禮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춘관통고 [ 春官通考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국조오례의 [ 國朝五禮儀 ]

조선후기와 대한제국기의 외교 음악

Music for Diplomatic Ceremonies in Late Chosun Dynasty and Daehan Empire

음악과 문화 | 27 | 2012 | 음악학

조선왕실 의궤 분류의 현황과 개선 방안

Current system of categorizing Ewi'gwe materials of the Joseon Royal family, and suggestions for enhancing it

조선시대사학보 | 57 | 2011 | 역사학

世宗妃 昭憲王后의 위상 정립과 역할

The status correcting and role of Soheon Wanghu(昭憲王后) that was a wife of SeJong(世宗)

한국인물사연구 | 18 | 2012 | 역사학

영조대 儀禮 정비와 『國朝續五禮儀』 편찬

Modification of Rituals and Compilation of Gukjo sogoryeui in the Period of King Yeongjo

한국문화 | 50 | 2010 | 기타인문학

영조대 儀禮 정비와 『國朝續五禮儀』 편찬

Modification of Rituals and Compilation of Gukjo sogoryeui in the Period of King Yeongjo

한국문화 | | 50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초 大閱儀의 의례 구조와 정치적 의미

The Structure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Royal Military Review Ceremony (大閱儀) During Early Joseon

史叢(사총) | 75 | 2012 | 기타역사일반

1906년 순종의 嘉禮班次 연구

The study of the Royal Wedding Procession in 1906

藏書閣 | 25 | 2011 | 역사학

조선 초기 文科관련 의식의 운영과 그 의미—文科殿試儀註와 放榜儀註로 살펴본 朝鮮 國王의 위치—

The Management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Related Ceremony During the Early Joseon and the Implications Thereof—The status of the Joseon king as viewed from the Mungwa jeonsi uiju (文科殿試儀註, Book of Court Rites Pertaining to the Palace Examination) and Bangbang uiju (放榜儀註, Book of Court Rites Pertaining to the Awards Ceremony for Successful Palace Examiners)—

史叢(사총) | 75 | 2012 | 기타역사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