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례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1106

한자 : 賓禮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오례 () [ 五禮 ]

N1:종류

hasKind (종류)

 

 

예조연인국사의

hasKind (종류)

 

 

연인국사의

hasKind (종류)

 

 

수인국서폐의

hasKind (종류)

 

 

종친연조정사의

hasKind (종류)

 

 

왕세자연조정사의

hasKind (종류)

 

 

연조정사의

R1:개념적

RT_X (관련어►)

대상자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사신 () [ 使臣 ]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

Publishment of Gugjo-oryeui and Sovereign Pow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역사와 실학 | 43 | 2010 | 기타역사일반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

Publishment of Gugjo-oryeui and Sovereign Pow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역사와 실학 | | 43 | 2010 | 기타역사일반

신라 中代의 唐 사신 영접 절차와 운용

The Receptionand Management of Envoys from Tan China during the Mid-Silla Period

한국사연구 | 153 | 2011 | 역사학

제4장 조선 전기 對日 交隣體制 -일본 사신 접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yorin System during The Joseon Dynasty

민족사상 | 4 | 1 | 2010 | 한국정치사상

제4장 조선 전기 對日 交隣體制 -일본 사신 접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yorin System during The Joseon Dynasty

민족사상 | 4 | 1 | 2010 | 한국정치사상

『大唐開元禮』 所載 外國使 관련 諸儀禮의 재검토

《大唐开元礼》所载外国使关联诸仪礼的再检讨

중국고중세사연구 | 27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