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이론

연구분야 : B020101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정치이론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756

한자 : 批判理論
영어 : critical theory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비판법학 [ 批判法學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비판 지정학 [ 批判地政學 ]

현대 독일어권의 문학과 철학적 사유 속에 나타난 대화와 소통의 문제 - Fr. 뒤렌마트(Dürrenmatt)와 J. 하버마스(Habermas)를 중심으로 -

Dialog und Kommunikation im literarischen und philosophischen Gedanken des gegenwärtigen Deutschlandes

동서철학연구 | 57 | 2010 | 철학

현대 독일어권의 문학과 철학적 사유 속에 나타난 대화와 소통의 문제 - Fr. 뒤렌마트(Dürrenmatt)와 J. 하버마스(Habermas)를 중심으로 -

Dialog und Kommunikation im literarischen und philosophischen Gedanken des gegenwärtigen Deutschlandes

동서철학연구 | | 57 | 2010 | 철학

사물화 비판의 두 모델-인지 모델과 인정 모델-

Two Models of the Critique of Reification: Cognition and Recognition Model

시대와 철학 | 21 | 2 | 2010 | 철학

사물화 비판의 두 모델-인지 모델과 인정 모델-

Two Models of the Critique of Reification: Cognition and Recognition Model

시대와 철학 | 21 | 2 | 2010 | 철학

스포츠이벤트 개최의 설명력과 가치론적 정당성 논의

Axiological discussion of legitimacy and reasonability of holding sports event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1 | 2011 | 체육

교육과정 이념으로서의 다문화주의와 지속가능발전교육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

Critical discussion on multiculturalism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s curriculum ideology

교육과정연구 | 30 | 1 | 2012 | 교육학

탈식민주의 이론과 실제의 꼴라주

Collage of the theory and the practical in post-colonialism

교육과정연구 | 29 | 3 | 2011 | 교육학

성인학습에서 성찰과 비판적 성찰의 이론적 계보 분석

A study of theoretical pathway analysis on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ction” in adult learning

한국교육 | 37 | 4 | 2010 | 교육학

성인학습에서 성찰과 비판적 성찰의 이론적 계보 분석

A study of theoretical pathway analysis on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ction” in adult learning

한국교육 | 37 | 4 | 2010 | 교육학

국문학 연구에서 문화연구의 적용과 한계

The application of cultural studies to Korean literature, and its merits and demerits

국어국문학 | 158 | 2011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중등 사회과에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A Critical Analysis on the Discussion of Mu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사회과교육연구 | 17 | 4 | 2010 | 사회교육학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중등 사회과에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A Critical Analysis on the Discussion of Mu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사회과교육연구 | 17 | 4 | 2010 | 사회교육학

비판이론에 나타난 ‘비판’ 개념의 의미 연구

Eine Untersuchung des Begriffs der ‘Kritik’ in der Kritischen Theorie

가톨릭철학 | 18 | 2012 | 철학

현대독일사회철학과 마르크스와의 관계 II ― ‘이론과 실천’ 개념을 중심으로 ―

Das Verhältnis zwischen der gegenwärtigen deutschen Sozialphilosophie und Karl Marx II ― in Bezug auf den Begriff 'Theorie-Praxis' ―

철학논집 | 25 | 2011 | 철학

Theoretical Considerations: Why Countries Provide Development Aid

공적원조기금(ODA)을 제공하는 이유에 대한 이론적 논의

국제관계연구 | 15 | 1 | 2010 | 정치외교학

Theoretical Considerations: Why Countries Provide Development Aid

공적원조기금(ODA)을 제공하는 이유에 대한 이론적 논의

국제관계연구 | 15 | 1 | 2010 | 정치외교학

미디어교육의 철학에 관한 연구: 비판적 교육학의 합리성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ories of Rationality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5 | 2 | 2011 | 인터넷신문/방송

Freire & Giroux’s Critical Theory and It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form

프레이리와 지루의 비평이론과 교육개혁의 연관성

인문과학연구 | 27 | 2010 | 기타인문학

Freire & Giroux’s Critical Theory and It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form

프레이리와 지루의 비평이론과 교육개혁의 연관성

인문과학연구 | | 27 | 2010 | 기타인문학

교육과정 이념으로서의 세계시민주의 (Cosmopolitanism)에 대한 비판적담론분석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Cosmopolitanism as a Curriculum Objective

교육과정평가연구 | 13 | 2 | 2010 | 교육학

교육과정 이념으로서의 세계시민주의 (Cosmopolitanism)에 대한 비판적담론분석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Cosmopolitanism as a Curriculum Objective

교육과정평가연구 | 13 | 2 | 2010 | 교육학

과학방법론 비판 - 호르크하이머의 과학주의 넘어서기 -

Kritik der wissenschaftliche Methodologie Max Horkheimers

동서철학연구 | 57 | 2010 | 철학

과학방법론 비판 - 호르크하이머의 과학주의 넘어서기 -

Kritik der wissenschaftliche Methodologie Max Horkheimers

동서철학연구 | | 57 | 2010 | 철학

Towards the Political Economy Perspective on Lifelong Learning in Globalization

세계화시대의 평생학습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관점의 시사점

평생학습사회 | 6 | 1 | 2010 | 교육학

Towards the Political Economy Perspective on Lifelong Learning in Globalization

세계화시대의 평생학습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관점의 시사점

평생학습사회 | 6 | 1 | 2010 | 교육학

아도르노 철학에서의 이성의 파괴 -계몽의 변증법에 대한 정치철학적 비판-

Destruction of Reason in Adorno’s Philosophy

철학사상 | 40 | 2011 | 철학

교육행정과 정책 결정 과정에 비판이론 적용의 필요성

The necessity of Application of the Critical theory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Policy-making Process

교육종합연구 | 9 | 1 | 2011 | 교육학

자본주의 위기와 비판 사회이론의 현재성

Crisis of Capitalism and Actuality of Critical Theory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자본주의 위기와 비판 사회이론의 현재성

Crisis of Capitalism and Actuality of Critical Theory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비판적 다문화교육론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Theory

교육철학연구 | 34 | 2 | 2012 | 교육학

비판이론과 정의(正義): 다차원적 정의론의 모색

Critical Theory and Justice: Multi-dimensional Theory of Justice

법철학연구 | 14 | 2 | 2011 | 법학

비판이론의 전개과정 안에서 니체(F. Nietzsche)철학의 의미 - 막스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 철학을 중심으로

Nietzsche’s Philosophy in the Development of the Critical Theory of Frankfurt School -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Max Horkheimer -

철학탐구 | 28 | 2010 | 철학

비판이론의 전개과정 안에서 니체(F. Nietzsche)철학의 의미 - 막스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 철학을 중심으로

Nietzsche’s Philosophy in the Development of the Critical Theory of Frankfurt School -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Max Horkheimer -

철학탐구 | 28 | | 2010 | 철학

비판이론 관점에서 고부담영어시험의 속성 재탐색

Exploring High-stake English Language Tests from Critical Theory

인문연구 | 64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