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헌 군주제

연구분야 : B020101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정치이론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8025

한자 : 立憲君主制
영어 : constitutional monarchy

d02-02 정치/법률제도

목적_t

왕권과 의회라는 두 국가기관의 병존·타협을 위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제한 군주제

R1:개념적

originatesFrom (기원/근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일본 행정 [ 日本行政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공화제 [ 共和制 ]

RT (관련어)

 

 

입헌 군주정 [ 立憲君主政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절대 군주제 () [ 絶對君主制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x01-02 국가명 국가명

룩셈부르크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x01-02 국가명 국가명

스웨덴

개화기 ‘자유주의’ 수용과 기능 그리고 정치적 함의

The Acception and Function of Liberalism and its political meaning in 19th century Korea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1 | 2011 | 동양정치사상

헤겔 법철학에서의 군주의 역할 헤겔은 과연 왕정복고 철학자인가

Rolle des Fürsten in Hegels Rechtsphilosohie Ist Hegel Eigentlich Restaurativer Philosoph?

사회와 철학 | 23 | 2012 | 철학일반

개화기 계몽교과서에 나타난 근대국가수립론 -『국민수지(國民須知)』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Education: Fucus on Kookminsuzi(國民須知)

한국교육사학 | 33 | 2 | 2011 | 교육학

남태평양 복종문화의 정치적 변용: 통아(Tonga)의 입헌군주제

Political Transfiguration of Obedience Culture in the South Pacific: Tonga's Constitutional Monarchy

21세기정치학회보 | 21 | 3 | 2011 | 정치외교학

군민공치와 입헌군주제헌법 - 비교헌정사적 연구 -

Constitutions of the Monarchial Constitutionalism: - A Comparative Constitutional History -

서울대학교 법학 | 53 | 1 | 2012 | 법학

근대중국의 공화제 실험과 제국일본의 동요

The Chinese Republican Experiment and Its Ripple Effects on Imperial Japan

중국근현대사연구 | 53 | 2012 | 중국현대사

영국 입헌군주제의 정치적 위상과 역할 ―정치사적 시각을 중심으로―

Political Status of British Constitutional Monarchy ―With Political History Perspective―

영국연구 | 27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