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제

연구분야 : B020100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6400

STNet ID : 1001919

한자 : 共和制
영어 : republic

d02-02 정치/법률제도

대체제도

공화제 (共和制)

목적_t

도의정치(道義政治)의 구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공화정 [ 共和政 ]

UF (비우선어)

 

 

공화 제도 [ 共和制度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R] 국가 형태 () [ 國家形態 ]

N1:종류

hasKind (종류)

 

 

인민 공화제 [ 人民共和制 ]

hasKind (종류)

 

 

의회 공화제 [ 議會共和制 ]

hasKind (종류)

 

 

민주 공화제 [ 民主共和制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간접 민주주의 () [ 間接民主主義 ]

R1:개념적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입헌 군주제 [ 立憲君主制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군주 정치 [ 君主政治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유가적 군주정 [ 儒家的君主政 ]

RT (관련어)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공화국 [ 共和國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업적록 [ 業績錄 ]

RT (관련어)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러시아 혁명 [ --革命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공화주의 () [ 共和主義 ]

국제관계론에서 칸트와 헤겔의 전선 - 칸트의 세계시민사회에 관한 헤겔의 비판에 기초하여 -

The battle line between Kant and Hegel in the the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 on the basis of Hegel's critique on Kant's world civil society -

헤겔연구 | 30 | 2011 | 철학

‘한국병합’ 전후 동아시아 국제환경과 한인언론의 세계인식

The Korean Newspapers’ Recognition about the Great Powers Policy under the East Asia International Circumstance in 1909~1910

동북아역사논총 | 30 | 2010 | 역사학

‘한국병합’ 전후 동아시아 국제환경과 한인언론의 세계인식

The Korean Newspapers’ Recognition about the Great Powers Policy under the East Asia International Circumstance in 1909~1910

동북아역사논총 | | 30 | 2010 | 역사학

滄江 金澤榮의 중국망명과 출판사업 의식

Changkang Kim, Taek-young's asylum to China and his mind for publishing business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프랑스 정치세력의 형성과 정치체제의 변화

La formation des forces politiques et l’évolution du système politique en France

한국프랑스학논집 | 74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줄리어스 시저」에 나타난 ‘위기의 사회’

“The Society of Crisis” as Represented in Julius Caesar

고전 르네상스 영문학 | 20 | 2 | 2011 | 영어와문학

근대중국의 공화제 실험과 제국일본의 동요

The Chinese Republican Experiment and Its Ripple Effects on Imperial Japan

중국근현대사연구 | 53 | 2012 | 중국현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