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정

연구분야 : B020401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비교정치 > 정치권력/정치과정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9669

한자 : 共和政
영어 : republic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공화제 [ 共和制 ]

신해혁명(辛亥革命)과 민국초기(民國初期)에서의 손문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n Yat-sen's Roles at Xinhai Revolution and Early-Republic Period

한국동북아논총 | 16 | 1 | 2011 | 사회과학일반

The Augustan Principate and Cicero’s De Re Publica

아우구스투스의 원수정과 키케로의 『국가론』

서양고대사연구 | 32 | 2012 | 역사학

『줄리어스 시저』의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정치 대립을 통해 본 평민들의 꿈

Dreams of the Plebeians through Confrontation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Politics in Julius Caesar

Shakespeare Review | 47 | 2 | 2011 | 영어와문학

로마 공화정의 공공성 창출을 위한 제도적 장치에 관한 연구: 공화기 로마법의 성격과 관련하여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Device to Generate Publicness in the Roman Republic: with regard to the Nature of Roman Law

21세기정치학회보 | 21 | 2 | 2011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