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연구분야 : A000000 인문학

클래스 :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864

STNet ID : 1000447

한자 : 事實
영어 : fact

c03-01 상태/상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b01-04 위법행위 위법행위
b01-04 위법행위 /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허위 사실 [ 虛僞事實 ]

N1:종류

hasKind (종류)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역사적 사실 [ 歷史的事實 ]

hasKind (종류)

 

 

과학적 사실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실제 [ 實際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사실-가치 구분 () [ 事實價値區分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사실인정 [ 事實認定 ]

제국의 취향, 전시되는 ‘아리랑’ ―식민지 ‘아리랑 엽서’의 성격과 의미

The Taste of the Empire, “Arirang” on the Exhibition ―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Arirang postcard” under Japanese rule

대동문화연구 | 75 | 2011 | 기타인문학

초등학교에서 도덕과와 사회과의 정치교육 내용의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Contents of Political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초등도덕교육 | 38 | 2012 | 윤리교육학

사실, 방법, 질서 - 근대문학에서 과학적 인식의 전회

Fact, Method, Order -Transitions of the Scientific Cognition in Korean Modern Literature

한국문학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학 장르 경계 연구 -전술과 서사 장르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literature genre strata - Focusing on Tactic and Narrative Genres -

한국문예비평연구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청준 소설의 역설 구조 연구 -드러냄과 감춤 사이의 역설-

A study on the paradox of the novels by Lee Cheong-jun

한중인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시키 이후의 사생에 관한 고찰 - 쿄시와 헤키고토우, 아쿠타가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hasei after Masaoka Shiki - Focused on Kyoshi, Hekikotō and Akutagawa -

일본어문학 | 57 | 2012 | 일본어와문학

러셀에 있어서의 사실과 관련된 의미론적 관점

A Viewpoint in the Theory of Meaning in Russell’s Fact

철학논총 | 63 | 1 | 2011 | 철학

리찬의 김일성장군의 노래의 ‘개작’과 ‘발견’의 과정 연구

A study on a process of the adaptation and discovery of Ri Chan(李燦)'s Song of General Kim Ilsung

한국문예비평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리찬의 김일성장군의 노래의 ‘개작’과 ‘발견’의 과정 연구

A study on a process of the adaptation and discovery of Ri Chan(李燦)'s Song of General Kim Ilsung

한국문예비평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디지털 합성, 완전 영화의 기술적 이상과 모순

Technological Ideal and Dilemma of Total cinema Using Digital Synthesis

미학예술학연구 | 31 | 2010 | 기타예술체육

디지털 합성, 완전 영화의 기술적 이상과 모순

Technological Ideal and Dilemma of Total cinema Using Digital Synthesis

미학예술학연구 | 31 | | 2010 | 기타예술체육

영화에서 실제 인물이나 사건의 묘사행위에 대한 법적 평가 평석대상판결: 대법원 2010.7.15. 선고 2007다3483 손해배상(기) 등 - 영화 ‘실미도’ 사건

Kritik der Urteil: Betreffend der Entscheidung des koreanischen höheren Gerichtshofs(KHGH) 15. 7. 2010, 2007Da3483 - der Film 'Silmido' Fall

안암법학 | 34 | 2011 | 법학일반

사실ㆍ인식ㆍ망각의 연대-봉준호 영화에 나타난 비도덕적 사회의 우발성 유물론-

Bong, Jun-Ho, The Materialism of Contingency in Immoral Society-Truth, Realization, and Forgetfulness-

인문과학 | 46 | 2010 | 기타인문학

사실ㆍ인식ㆍ망각의 연대-봉준호 영화에 나타난 비도덕적 사회의 우발성 유물론-

Bong, Jun-Ho, The Materialism of Contingency in Immoral Society-Truth, Realization, and Forgetfulness-

인문과학 | | 46 | 2010 | 기타인문학

도덕과의 통일교육 연구

A Study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R.O.K.

도덕윤리과교육 | 32 | 2011 | 교육학

탄금대 전투에 대한 기억과 두 편의 <달천몽유록>

The Memory of Tangeumdae Battle and two Dalcheonmongyurok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탄금대 전투에 대한 기억과 두 편의 <달천몽유록>

The Memory of Tangeumdae Battle and two Dalcheonmongyurok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익의 실학과 사실/가치 이원성

論李瀷實學和事實/價値二元性

철학 | 109 | 2011 | 철학

바깥으로 나가는 역사, 5·18

Going-outward-history, 5·18

민주주의와 인권 | 10 | 3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바깥으로 나가는 역사, 5·18

Going-outward-history, 5·18

민주주의와 인권 | 10 | 3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사실과 이념 : 역사 담론의 지평에서

The Fact and the Idea

사회와 철학 | 20 | 2010 | 철학일반

사실과 이념 : 역사 담론의 지평에서

The Fact and the Idea

사회와 철학 | | 20 | 2010 | 철학일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나타난 사실과 당위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of fact and ought in a little ball launched by a dwarf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나타난 사실과 당위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of fact and ought in a little ball launched by a dwarf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키(子規)의 사생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hasei of Masaoka Siki

일본어문학 | 53 | 2011 | 일본어와문학

‘사실’소설의 등장과 근대소설로의 이행 과정 -1910년대 유학생 소설을 중심으로

The emergence of ‘fact' novels and transition process to modern novels -Centered on novels written by students studying overseas 191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실’소설의 등장과 근대소설로의 이행 과정 -1910년대 유학생 소설을 중심으로

The emergence of ‘fact' novels and transition process to modern novels -Centered on novels written by students studying overseas 191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