龙溪与绪山对四句教的诠释
용계와 서산의 사구교 해석
퇴계학논총 |
17 |
2011 |
기타인문학
한나 아렌트의 ‘혁명론’의 시작: 배제된 자들의 관점과 정치적 경험의 회복
The beginning of Hannah Arendt's Thought on Revolution: the standpoint of the excluded and the recovery of political experience
코기토 |
71 |
2012 |
기타인문학
들뢰즈의 기호론에 따른 문학교육 방법 탐색
A study of a literature education method based on G. Deleuze's theory of sign
인문연구 |
64 |
2012 |
기타인문학
기다림, 변화, 사유 - 아녜스 바르다의 <5시에서 7시까지의 클레오> -
L'attente, le changement, la pensée - une étude sur d'Agnès Varda -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5 |
2011 |
프랑스문화학
3D 영화에서 프레임과 외화면의 개념
Frame and Off Screen of 3D Film
문학과 영상 |
12 |
4 |
2011 |
영상문학
朝鮮初期 世祖代 佛敎的 祥瑞의 政治的 意味
The Political Meaning of the Buddhist Omen under King Sejo’s Reign in the Early Years of Choson
史叢(사총) |
74 |
2011 |
기타역사일반
한나 아렌트의 ‘사유하는 시민’과 도덕교육적 방법
A Thinking Citizen of Hannah Arendt and Moral Education Method
윤리교육연구 |
28 |
2012 |
윤리교육학
헤겔의 주관정신론에서 인식론
Epistemologie in Hegels Lehre vom subjektiven Geist
철학연구 |
121 |
2012 |
철학
사유, 해석 그리고 번역 - 해석학적 과학 수립을 위한 시론(試論) -
Denken, Verstehen und Übersetzen
칸트연구 |
27 |
2011 |
철학
안과 밖의 부정변증법적 사유와 세계-아도르노
Das Innere und Außen des negative dialektische Denkens und der Welt; Adorno
시대와 철학 |
22 |
2 |
2011 |
철학
헤겔의 ‘예술의 과거성’ 명제의 해석과 비판을 위한 예비적 고찰
A preliminary observation for accurate interpretation and critique of Hegel's doctrine of 'the end of art'
헤겔연구 |
27 |
2010 |
철학
헤겔의 ‘예술의 과거성’ 명제의 해석과 비판을 위한 예비적 고찰
A preliminary observation for accurate interpretation and critique of Hegel's doctrine of 'the end of art'
헤겔연구 |
|
27 |
2010 |
철학
헤겔에서 언어의 사변적 본성
Das spekulative Wesen der Sprache bei Hegel
헤겔연구 |
29 |
2011 |
철학
존재의 소리와 고독 : 하이데거와 릴케
Stimme des Seins and Einsamkeit : Heidegger and Rilke
철학논집 |
28 |
2012 |
철학
헤겔의 '산문(Prosa)' 개념과 그 의미 연구
Untersuchung zu Hegels Begriff der ‘Prosa’ und ihrer Bedeutung
헤겔연구 |
28 |
2010 |
철학
헤겔의 '산문(Prosa)' 개념과 그 의미 연구
Untersuchung zu Hegels Begriff der ‘Prosa’ und ihrer Bedeutung
헤겔연구 |
|
28 |
2010 |
철학
사건, 사유 그리고 웃음의 함수 관계 - Friday를 중심으로
The Functional Relation of Event, Thought and Smile - in the study of Friday
비교문학 |
52 |
2010 |
인문학
사건, 사유 그리고 웃음의 함수 관계 - Friday를 중심으로
The Functional Relation of Event, Thought and Smile - in the study of Friday
비교문학 |
|
52 |
2010 |
인문학
구조주의 이후의 새로운 영화분석 방법론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형상’으로서의 이미지와 내재적 구성주의, 그리고 역사
An Epistemological Research on New Cinematic Analysis Method after De-Structualism - The Concept of Image as Figure, Immanent Constructivism and History -
영상예술연구 |
16 |
2010 |
기타예술체육
구조주의 이후의 새로운 영화분석 방법론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형상’으로서의 이미지와 내재적 구성주의, 그리고 역사
An Epistemological Research on New Cinematic Analysis Method after De-Structualism - The Concept of Image as Figure, Immanent Constructivism and History -
영상예술연구 |
|
16 |
2010 |
기타예술체육
경험의 파괴 ―아베 요시시게(安倍能成)에게 있어서의 식민지 조선, 패전, 그리고 자유
Destruction of Experience Colonial Choseon, Defeat, and Freedom in Abe Yoshishige(安倍能成)
대동문화연구 |
76 |
2011 |
기타인문학
김수영 시의 ‘인지어’ 연구 1
A Study on the Cognitive Word in Kim, Soo Young’s Poetry 1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인지어’ 연구 1
A Study on the Cognitive Word in Kim, Soo Young’s Poetry 1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PHILOSOPHIE - WISSENSCHAFT - DENKEN : Historisch-systematische Knotenpunkte eines problematischen Verältnisses
철학∙사상∙문화 |
9 |
2010 |
기타인문학
PHILOSOPHIE - WISSENSCHAFT - DENKEN : Historisch-systematische Knotenpunkte eines problematischen Verältnisses
철학∙사상∙문화 |
|
9 |
2010 |
기타인문학
서양 근세철학 바로 읽기
Re-reading of the Western Modern Philosophy
동서철학연구 |
62 |
2011 |
철학
신체화된 주체의 한계: 니시다와 박종홍
Limits of Embodied Subjects : Nishida and Park
日本思想 |
21 |
2011 |
철학
내면과 외면 ―비트겐슈타인의 심리철학―
The inner and the outer: Wittgenstein's philosophy of mind
철학 |
109 |
2011 |
철학
바르트의 계시해석에 나타나는 脫형이상학적 현존의 사유
A Post-metaphysical Thinking of Presence in Barth’s Conception of Revelation
한국조직신학논총 |
29 |
2011 |
조직신학
아함에 나타난 부정관과 번뇌의 관계
On The Relation between The Aśubha bhāvanā(不淨觀) and The Kliṣṭa(煩惱) in Early Buddhism.
보조사상 |
36 |
2011 |
종교학
退溪 詩에 나타난 思惟 一考
A study on Thought of Lee Hwang’s poetry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退溪 詩에 나타난 思惟 一考
A study on Thought of Lee Hwang’s poetry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김수영 시의 ‘인지어’ 연구 2
A Study on the Cognitive Word in Kim, Su Yeong’s Poetry 2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칸트의 ‘Cogito, ergo sum’ - (I)
Das Kantische ‘Cogito, ergo sum’ - (I)
칸트연구 |
29 |
2012 |
철학
하이데거의 무(無)의 사건론 -현존재의 무(無)경험과 거주함은 무엇을 뜻하는가-
A Theory on Event of Nothingness in M. Heidegger -What is Called Dasein’s Experience of Nothingness and Dwelling-
현대유럽철학연구 |
24 |
2010 |
서양철학
하이데거의 무(無)의 사건론 -현존재의 무(無)경험과 거주함은 무엇을 뜻하는가-
A Theory on Event of Nothingness in M. Heidegger -What is Called Dasein’s Experience of Nothingness and Dwelling-
현대유럽철학연구 |
|
24 |
2010 |
서양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