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

연구분야 : A030100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8849

한자 : 實踐
영어 : practice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PDCA [Plan Do Check Action]

N1:종류

hasKind (종류)

 

 

도덕적 실천 [ 道德的實踐 ]

hasKind (종류)

 

 

교육 실천 [ 敎育實踐 ]

R1:개념적

isProcessOf (과정의 대상)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실천 지식 [ 實踐知識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대응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이론 [ 理論 ]

‘새로운 민중사’의 지향과 현주소

Objectives for a ‘New History of Minjung,’ and Current issues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다산 정약용의 인간이해와 근대성

An Analysis of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Dasan’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

인문학, 인간다운 삶을 빚다 ― ‘미래 자서전 쓰기’의 인문치료적 접근

중국어문학논집 | 65 | 2010 | 중국어와문학

인문학, 인간다운 삶을 빚다 ― ‘미래 자서전 쓰기’의 인문치료적 접근

중국어문학논집 | | 65 | 2010 | 중국어와문학

덕 윤리 중심의 도덕교육 가능성에 대한 모색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Moral Education in Terms of Virtue Ethics

도덕윤리과교육 | 33 | 2011 | 교육학

A Reflection on the Theory vs. Practice Division in Japan after World War Ⅱ : Conflicts between Shigeru Nanbara and Shigeru Yoshida

전후 일본의 이론과 실천을 둘러싼 갈등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난바라 시게루와 요시다 시게루의 갈등

신아세아 | 17 | 4 | 2010 | 정치외교학

A Reflection on the Theory vs. Practice Division in Japan after World War Ⅱ : Conflicts between Shigeru Nanbara and Shigeru Yoshida

전후 일본의 이론과 실천을 둘러싼 갈등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난바라 시게루와 요시다 시게루의 갈등

신아세아 | 17 | 4 | 2010 | 정치외교학

칸트철학과 초월적 토미즘 -롯츠(Johannes Baptist Lotz SJ)의 이론을 중심으로-

Kantian Philosophy and Transcendental Thomism -Centering on the Theory of J. B. Lotz SJ-

가톨릭철학 | 15 | 2010 | 철학

칸트철학과 초월적 토미즘 -롯츠(Johannes Baptist Lotz SJ)의 이론을 중심으로-

Kantian Philosophy and Transcendental Thomism -Centering on the Theory of J. B. Lotz SJ-

가톨릭철학 | | 15 | 2010 | 철학

‘從心所欲、不踰矩’를 통해 본 공자의 인성론

Confucius's theory of Human Nature in view of “Confucius' freedom that he did nothing wrong”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從心所欲、不踰矩’를 통해 본 공자의 인성론

Confucius's theory of Human Nature in view of “Confucius' freedom that he did nothing wrong”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동양고전을 통해서 본 聖賢의 글쓰기 교육

A Study on the Writing Education of Confucian in the Classics of the Orient

孔子學 | 21 | 2011 | 기타유교학

일반서신들 속에 나타난 선교학적 주제들의 고찰

A Study of the Missiological Themes Revealed in the General Epistles

선교신학 | 27 | 27 | 2011 | 기독교신학

법의 공정성: 허구적 당위에서 실천으로

The Fairness of Law : from Fictitious Ought to Practice

법학연구 | 51 | 2 | 2010 | 기초법

법의 공정성: 허구적 당위에서 실천으로

The Fairness of Law : from Fictitious Ought to Practice

법학연구 | 51 | 2 | 2010 | 기초법

한국어 문화에 대한 태도 교육 연구

A Study on the Attitude Instruction in Culture of Korean Language

한국언어문화학 | 8 | 2 | 2011 | 한국어교육학

만해의 도덕적 상상력과 문학의 상관성*

Manhae's moral imagination and literary relationship

인문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韓非子』의 分析的 檢討를 통한 儒學의 학문방법 모색 - 難勢․難一篇을 中心으로 -

通過對『韓非子』的分析和硏究,探求儒學的學問方法 - 以「難勢‧難一篇」為中心 -

인문학연구 | 41 | 3 | 2012 | 기타인문학

공직윤리 정립을 위한 茶山 上帝天의 현대적 적용

Modern Application to Dasan's 'Sang-Je' Concept for the Establishment of Public Service Ethics

윤리연구 | 1 | 77 | 2010 | 학제간연구

공직윤리 정립을 위한 茶山 上帝天의 현대적 적용

Modern Application to Dasan's 'Sang-Je' Concept for the Establishment of Public Service Ethics

윤리연구 | 1 | 77 | 2010 | 학제간연구

“수자원 보호”를 주제로 한 프로젝트형 수업 구성 방안 -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Teaching Plans for the Theme of "Conservation of Water Resources" Based on Project Work -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

교육문화연구 | 16 | 1 | 2010 | 기타교육학

“수자원 보호”를 주제로 한 프로젝트형 수업 구성 방안 -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Teaching Plans for the Theme of "Conservation of Water Resources" Based on Project Work -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

교육문화연구 | 16 | 1 | 2010 | 기타교육학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교육과정의 향방

Direction for literacy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s students

한국초등국어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교육과정의 향방

Direction for literacy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s students

한국초등국어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다문화 사회에서 기독교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영성과 기독교 영성교육

Spirituality and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to contextualize the Bible and Christian tradi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신학과 실천 | 31 | 2012 | 기독교신학

인터뷰: 실천적 해석학으로서의 대화

Interview: Gespraech als praktische Hermeneutik

범한철학 | 63 | 4 | 2011 | 철학

『존재와 시간』에서 언어의 기능에 대하여

Zur Rolle der Sprache in Sein und Zeit

현대유럽철학연구 | 23 | 2010 | 서양철학

『존재와 시간』에서 언어의 기능에 대하여

Zur Rolle der Sprache in Sein und Zeit

현대유럽철학연구 | | 23 | 2010 | 서양철학

구양수의 인성론 연구

A Study of the theory of human nature Ou-yang xiu

철학논총 | 63 | 1 | 2011 | 철학

초등교육단계에서 생태윤리적 관점의 미술교육에 관한 고찰

A Study of Eco-Ethical Ar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조형교육 | 38 | 2010 | 미술교육

초등교육단계에서 생태윤리적 관점의 미술교육에 관한 고찰

A Study of Eco-Ethical Ar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조형교육 | | 38 | 2010 | 미술교육

사회비판의 급진성과 학문적 주체성: 급진민주주의론의 옹호를 위한 자기비판

Radicality of Social Critique and Theoretical Independence: Self-Criticism for Defending the Theory of Radical Democracy

경제와 사회 | 95 | 2012 | 사회학

목회자 Calvin의 신학: 그 실천적 인간상

John Calvin’s Pastoral Theology: A Practical Vision of Healthy Human Life

성경과 신학 | 53 | 2010 | 기독교신학

목회자 Calvin의 신학: 그 실천적 인간상

John Calvin’s Pastoral Theology: A Practical Vision of Healthy Human Life

성경과 신학 | 53 | | 2010 | 기독교신학

“살아있는 인간 망”과 Miller-McLemore의 목회 신학 방법론

The Living Human Web and Pastoral/ Practical Theology of Bonnie Miller-McLemore.

복음과 상담 | 15 | 2010 | 목회상담학

“살아있는 인간 망”과 Miller-McLemore의 목회 신학 방법론

The Living Human Web and Pastoral/ Practical Theology of Bonnie Miller-McLemore.

복음과 상담 | 15 | | 2010 | 목회상담학

탈근대 담론의 ‘차이의 선’에 대한 계보학적 · 윤리적 연구: 크리스토프 멘케의 미학적 담론을 중심으로

The Genealogical/Ethical Study on the ‘Goodness of Difference’ in Postmodernism

사회와 철학 | 23 | 2012 | 철학일반

미셸 푸코의 ‘담론’ 개념 — ‘에피스테메’와 ‘진리놀이’의 사이 —

On Michel Foucault’s Concept of Discours

개념과 소통 | 9 | 2012 | 역사학

한국의 비판사회학 1998~2008

경제와 사회 | 85 | 2010 | 사회학

한국의 비판사회학 1998~2008

경제와 사회 | | 85 | 2010 | 사회학

조직의 정보윤리실천이 구성원의 정보보안 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Ethics on the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and Behavior in Organization

경상논총 | 28 | 4 | 2010 | 경제학

조직의 정보윤리실천이 구성원의 정보보안 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Ethics on the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and Behavior in Organization

경상논총 | 28 | 4 | 2010 | 경제학

옛 마을에서 새 마을로 - 대구시의 한 도시재개발지역의 문화사 -

From Old Town to New Town -A Cultural History of an Urban Redevelopment Area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인문연구 | 65 | 2012 | 기타인문학

이성선 시 연구 - 지역성의 관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ee Seong-seon’s poems - Focused on the Aspect of Locality -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

에큐메니컬 교회를 위한 모색과 전망

A Groping for Ecumenical Church and its Prospect

신학과 실천 | 30 | 2012 | 기독교신학

吳駿善의 학문성향과 의리정신

吳駿善的學問性向與義理精神

유교사상문화연구 | 47 | 2012 | 유교학

개혁신학과 교회일치: 교회의 ‘하나됨’의 속성을 중심으로

Reformed Theology and Ecumenism: Centered on Unity, One of Attributes of Church

성경과 신학 | 59 | 2011 | 기독교신학

Les études culturelles, de la tradition théorique à la question des origines - le cas de la collection Terre Humaine

문화연구, 이론 전통에서 시원의 문제로 - 총서 『인류 문화기(記)』의 사례

불어불문학연구 | 8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Les études culturelles, de la tradition théorique à la question des origines - le cas de la collection Terre Humaine

문화연구, 이론 전통에서 시원의 문제로 - 총서 『인류 문화기(記)』의 사례

불어불문학연구 | | 8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공자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배움(學)’과 ‘사고(思)’의 관계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Thinking in the Educational Thought of Confucius

교육철학연구 | 47 | 2010 | 교육학

공자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배움(學)’과 ‘사고(思)’의 관계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Thinking in the Educational Thought of Confucius

교육철학연구 | | 47 | 2010 | 교육학

실천적 학문으로서의 신학 ― 둔스 스코투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Die Lehre des Duns Scotus von der Theolgie als praktischer Wissenschaft

철학 | 112 | 2012 | 철학

김억의 번역과 번역관 고찰 - 『잃어진 진주』를 중심으로

A Study on Kim Uhk's translations and his viewpoint about translation - focused on The Lost pearls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남명의 실천 사상이 유아교육과정에 주는 함의

The Implications of Nammyung's Practice Ideology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南冥學硏究 | 34 | 2012 | 철학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서 이론적 탐구(theōria)와 도덕적 실천(praxis)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ōria and Praxis in Aristotle’s Ethics

철학사상 | 43 | 2012 | 철학

実践場面の録音資料を使用した会話授業の試み

실천장면의 녹음자료를 사용한 회화수업 시도

일본어교육연구 | 23 | 2012 | 일본어교육

유아교육자와 초등교육자들의 유-초 연계 개념 이해에 대한 질적 면담 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meaning of educational continuity from pre-school to elementary school

열린유아교육연구 | 15 | 4 | 2010 | 교육학

유아교육자와 초등교육자들의 유-초 연계 개념 이해에 대한 질적 면담 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meaning of educational continuity from pre-school to elementary school

열린유아교육연구 | 15 | 4 | 2010 | 교육학

사회정의를 위한 미술교육의 사례와 교육적 함의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e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미술교육논총 | 25 | 2 | 2011 | 미술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Dietary Education in Technology⋅Home Economics Classes - Focusing on the 7th Curriculum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23 | 2 | 2011 | 교육학

교육심리학 연구와 실천의 만남: 학교심리학과의 협력을 통해

Unite Research and Practice in Educational Psychology: Through Collaboration with School Psychology

교육심리연구 | 24 | 1 | 2010 | 교육학

교육심리학 연구와 실천의 만남: 학교심리학과의 협력을 통해

Unite Research and Practice in Educational Psychology: Through Collaboration with School Psychology

교육심리연구 | 24 | 1 | 2010 | 교육학

「철학상담을 통해서 본 인문치료」에 관하여

Discussions on "A Comparative Stud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Humanities Therapy"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철학상담을 통해서 본 인문치료」에 관하여

Discussions on "A Comparative Stud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Humanities Therapy"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칸트 윤리학에서 실천 명제의 논리적 형식

Logical forms of the practical thesis in Kant's ethics

철학논집 | 25 | 2011 | 철학

일제강점기 한국철학자들의 ‘철학관’ - 신문·잡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Understanding of Philosophy in Korean Philosophers through a Newspaper and Magazine during Imperial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한국철학자들의 ‘철학관’ - 신문·잡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Understanding of Philosophy in Korean Philosophers through a Newspaper and Magazine during Imperial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삼위일체론과 그리스도인의 실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68 | 2010 | 기독교신학

삼위일체론과 그리스도인의 실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 68 | 2010 | 기독교신학

현대 예술에서의 수행적 리서치의 양상과 의미 -아카이브 아트를 중심으로-

The Semantics of Performative Research in Contemporary Art Practices -Focusing on Archival Art-

기초조형학연구 | 13 | 1 | 2012 | 예술일반

헤겔과 마르크스 인식론에 비추어 본 실과 ‘실천’의 의미

The Meaning of Praxis in the Light of Hegel and Marx's Epistemology in Practical Arts Education

실과교육연구 | 18 | 2 | 2012 | 교육학

‘실제’와 ‘이론’의 두 가지 의미와 ‘실천 철학’으로서의 교육철학 논의에 대한 반성적 분석

Different Meanings of ‘Practice’ and ‘Theory’ and a Critical Approach to Philosophy of Education as a Practical Philosophy

교육사상연구 | 25 | 3 | 2011 | 교육학

‘물 논쟁’에 나타난 김남천의 자기반성적 실천 고찰

A study on Practice of self-reflection on ‘Water-Debate’

민족문학사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배움의 공동체의 인식론적 배경탐구

An inquiry into epistemological backgrounds of the Community of Learning

초등교육연구 | 23 | 1 | 2010 | 교육학

배움의 공동체의 인식론적 배경탐구

An inquiry into epistemological backgrounds of the Community of Learning

초등교육연구 | 23 | 1 | 2010 | 교육학

실천과 탁월성 그리고 공과의 정의

Practice, excellence, and justice of desert

사회와 이론 | 18 | 2011 | 기타사회학

실천민속학의 성과와 과제

Accomplishments and Tasks of Practice Folklore Society

한국민속학 | 51 | 2010 | 역사학

실천민속학의 성과와 과제

Accomplishments and Tasks of Practice Folklore Society

한국민속학 | 51 |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