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연구분야 : A030100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420

한자 : 理論
영어 : theory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복잡성 이론 [ 複雜性理論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종교 이론 [ 宗敎理論 ]

hasKind (종류)

 

Z99 기타주제어 기타주제어

위기론 [ 危機論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실재론 () [ 實在論 ]

hasKind (종류)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방법론 () [ 方法論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유교 이론 [ 儒敎理論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프로그래밍 언어 이론 [ --言語理論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계약법 이론 [ 契約法理論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현실감 이론 [ 現實感理論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전략 집단 이론 [ 戰略集團理論 ]

hasKind (종류)

 

 

리엔지니어링 이론 () [ --理論 ]

R1:개념적

originatesFrom (기원/근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테오리아 [theoria]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대응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실천 [ 實踐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연구 방법론 () [ 硏究方法論 ]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가족 이론 [ 家族理論 ]

북한 조선어학의 특징에 대하여 -<조선어학전서>(2005)와 <언어학연구론문색인사전>(2006)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Linguistics in North Korea depended on 'The Series on Korean Linguistics(Jeonseo, 2005)' and Index dictionary on Linguistics(Saegin, 2006)

어문논집 | 64 | 2011 | 한국어와문학

A Reflection on the Theory vs. Practice Division in Japan after World War Ⅱ : Conflicts between Shigeru Nanbara and Shigeru Yoshida

전후 일본의 이론과 실천을 둘러싼 갈등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난바라 시게루와 요시다 시게루의 갈등

신아세아 | 17 | 4 | 2010 | 정치외교학

A Reflection on the Theory vs. Practice Division in Japan after World War Ⅱ : Conflicts between Shigeru Nanbara and Shigeru Yoshida

전후 일본의 이론과 실천을 둘러싼 갈등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난바라 시게루와 요시다 시게루의 갈등

신아세아 | 17 | 4 | 2010 | 정치외교학

지역연구(area studies)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인류학적 성찰: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The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Area Studies: The Case Study of Area Studies in Honam Area, Korea

석당논총 | 46 | 2010 | 기타인문학

지역연구(area studies)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인류학적 성찰: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The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Area Studies: The Case Study of Area Studies in Honam Area, Korea

석당논총 | | 46 | 2010 | 기타인문학

칸트철학과 초월적 토미즘 -롯츠(Johannes Baptist Lotz SJ)의 이론을 중심으로-

Kantian Philosophy and Transcendental Thomism -Centering on the Theory of J. B. Lotz SJ-

가톨릭철학 | 15 | 2010 | 철학

칸트철학과 초월적 토미즘 -롯츠(Johannes Baptist Lotz SJ)의 이론을 중심으로-

Kantian Philosophy and Transcendental Thomism -Centering on the Theory of J. B. Lotz SJ-

가톨릭철학 | | 15 | 2010 | 철학

사회노년학 이론의 갈래, 추세, 정책적 함의

Branches, Trends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ories of Social Gerontology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 2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한국어판 성취정서 질문지(K-AEQ)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the Korean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K-AEQ)

교육심리연구 | 25 | 4 | 2011 | 교육학

『아테네의 타이먼』(Timon of Athens)의 처음과 끝 —타이먼의 예술가로의 변화—

Timon Becomes a Real Artist

고전 르네상스 영문학 | 19 | 2 | 2010 | 영어와문학

『아테네의 타이먼』(Timon of Athens)의 처음과 끝 —타이먼의 예술가로의 변화—

Timon Becomes a Real Artist

고전 르네상스 영문학 | 19 | 2 | 2010 | 영어와문학

대학의 문학교육에서 교수학의 위상 -프랑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Le statut de la didactique dans l'enseignement littéraire universitaire : au sujet des théories françaises

프랑스어문교육 | 37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La traductologie, une réflexion sur une pratique

번역학, 실제에 대한 성찰

한국프랑스학논집 | 76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계몽사상과 역사주의

Enlightenment and Historicism

韓國史學史學報 | 23 | 2011 | 역사학

‘실제’와 ‘이론’의 두 가지 의미와 ‘실천 철학’으로서의 교육철학 논의에 대한 반성적 분석

Different Meanings of ‘Practice’ and ‘Theory’ and a Critical Approach to Philosophy of Education as a Practical Philosophy

교육사상연구 | 25 | 3 | 2011 | 교육학

소통환경의 변화와 복잡계 이론: 사회변동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Complex System and Social Change: Prospect of Complexity Paradigm

커뮤니케이션 이론 | 8 | 2 | 2012 | 신문방송학

Теория звучащей речи Е.А.Брызгуновой и ее развитие в учебных пособиях для иностранцев

The theory of speech Bryzgunova E.A. and its development in the textbooks for Foreign Learners

슬라브어 연구 | 17 | 1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소통환경의 변화와 복잡계 이론: 사회변동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Complex System and Social Change: Prospect of Complexity Paradigm

커뮤니케이션 이론 | 8 | 2 | 2012 | 신문방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