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석우 시의 자연과 생명의 가치 - 시집 『자연송』을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Nature and Life in Poems of Hwang-Seokwoo’s middle period
어문학 |
116 |
2012 |
한국어와문학
황석우의 초기 시와 시론의 위치 — 잡지 『삼광』소재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Position of Hwang, Sok–woo's early works and poetic theory in 1910's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오레스테아』에 나타난 모친살해의 상징과 주체 형성: 클라인과 라깡의 관점에서
The Symbol of Matricide and Subject Formation in Oresteia
비평과이론 |
15 |
1 |
2010 |
영어와문학
『오레스테아』에 나타난 모친살해의 상징과 주체 형성: 클라인과 라깡의 관점에서
The Symbol of Matricide and Subject Formation in Oresteia
비평과이론 |
15 |
1 |
2010 |
영어와문학
모네의 연작 회화와 드뷔시의 인상주의 음악에서의 자연
Monet’s Series Paintings and Debussy’s Music of ‘Impressionism’: The Comparison of the Concept of Nature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
32 |
2010 |
미술사
모네의 연작 회화와 드뷔시의 인상주의 음악에서의 자연
Monet’s Series Paintings and Debussy’s Music of ‘Impressionism’: The Comparison of the Concept of Nature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
|
32 |
2010 |
미술사
이상의 모더니즘과 프랑스의 모더니즘
Modernisme chez Yi Sang et dans la littérature française
인문학연구 |
38 |
1 |
2011 |
기타인문학
김억의 번역론 연구 - 근대문학의 장(場)과 번역자의 과제
Kim Eok's theory of translatio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and translators' task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억의 번역론 연구 - 근대문학의 장(場)과 번역자의 과제
Kim Eok's theory of translatio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and translators' task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카를 융의 심리학적 성서 해석
Jung’s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신학사상 |
154 |
2011 |
기독교신학
생성과 통합의 시학: 러시아 네오리얼리즘
Russian Neorealism as the Poetics of Genesis and Integration
노어노문학 |
23 |
4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The Hidden Debts Between Yeats and Eliot
예이츠와 엘리엇 사이에 감추어진 상호 영향력
한국 예이츠 저널 |
38 |
2012 |
영어와문학
1920년대 번역시와 근대서정시의 원형 문제 ― ‘님의 시학’과 번역의 역동성
1920s translating poetry and problems in prototype of the lyric ― ‘Lover's Poetics and the dynamics of translation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상징의 두 양상 - 김우진의 문학의 ‘상징’ 언어에 나타난 ‘전일성’ 사상을 중심으로
Two aspects of the 1920's symbo - Focusing 'a complete whole character(전일성)' idea in 'symbol' language of U-Jin Kim's literature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상징의 두 양상 - 김우진의 문학의 ‘상징’ 언어에 나타난 ‘전일성’ 사상을 중심으로
Two aspects of the 1920's symbo - Focusing 'a complete whole character(전일성)' idea in 'symbol' language of U-Jin Kim's literature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도스토예프스키 신화화와 벨르이의 『페테르부르크』
Mythologization of Dostoevsky and Bely's 『Petersburg』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5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도스토예프스키 신화화와 벨르이의 『페테르부르크』
Mythologization of Dostoevsky and Bely's 『Petersburg』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
35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로이 풀러의 아르누보적 상징
Art Nouveau Style Symbolism in Loie Fuller's Dance
무용예술학연구 |
36 |
36 |
2012 |
무용
폴 틸리히의 존재론적 상징주의에 나타난 삼위일체론 가능성
A Possibility of the Trinity in a Ontological Symbolism of Paul Tillich
한국조직신학논총 |
28 |
2010 |
조직신학
폴 틸리히의 존재론적 상징주의에 나타난 삼위일체론 가능성
A Possibility of the Trinity in a Ontological Symbolism of Paul Tillich
한국조직신학논총 |
|
28 |
2010 |
조직신학
영화<아멜리에>의 복식에 나타난 색채 이미지에 관한 연구
Costume and Color Image of the Movie
패션과 니트 |
10 |
1 |
2012 |
패션디자인
상징주의의 피그말리온 신화 콘텍스트: 안넨스키의 「라오다미아」, 솔로구프의 「현명한 꿀벌의 선물」, 브류소프의 「죽은 프로테실라우스」에 인용된 프로테실라우스와 라오다미아 신화 분석에 기대어
The Pygmalion Myth Context in Symbolism
러시아연구 |
20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상징주의의 피그말리온 신화 콘텍스트: 안넨스키의 「라오다미아」, 솔로구프의 「현명한 꿀벌의 선물」, 브류소프의 「죽은 프로테실라우스」에 인용된 프로테실라우스와 라오다미아 신화 분석에 기대어
The Pygmalion Myth Context in Symbolism
러시아연구 |
20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북한의 연방제 통일안의 상징성 고찰
The Study on the Symbol of North Korea's Unification Policy “Democratic Confederal Republic of Koryo”
한국보훈논총 |
10 |
3 |
2011 |
기타사회학
러시아 상징주의와 실재의 탐색 (I) :실재의 전환(轉換), 혹은 “ad realibus a realiora”
Русский символизм и его поиски реальности (I) : подмен реальности, или "ad realibus a realiora"
외국학연구 |
17 |
2011 |
기타인문학
상징주의 일러스트레이션의 실체 - 랭보의 ‘깜짝 놀란 아이들’시어를 중심으로 -
Illustration of symbolism made reality - Rimbaudʼs `Les effares' around poem word-
한국디자인포럼 |
31 |
2011 |
디자인
페르낭 크노프(Fernand Khnopff)의 작품에 나타난 벨기에 상징주의와 내셔널리즘
Fernand Khnopff's Belgian Symbolism and Nationalism in I Lock My Door upon Myself
미술이론과 현장 |
0 |
9 |
2010 |
미술
상징주의와 종합주의
Symbolisme et synthétisme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상징주의와 종합주의
Symbolisme et synthétisme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