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 문학

연구분야 :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270

STNet ID : 1000480

한자 : 生態文學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생태계 [ 生態系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학 () [ 文學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생태시 [ 生態詩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생태 소설 () [ 生態小說 ]

R1:개념적

RT (관련어)

 

 

생태 문학론 [ 生態文學論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생태주의 () [ 生態主義 ]

생태론적 패러다임과 문학적 재현

The Ecological Paradigm and Literary Representations

한국언어문화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생태론적 패러다임과 문학적 재현

The Ecological Paradigm and Literary Representations

한국언어문화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강원영동지역문학 연구 -탈식민의 계보학적 탐구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Gangwon-Yeongdong Regional Literature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작은 집 이야기』에 나타난 집의 생태학적 의미

Ecological Meaning of House Shown in 『The Little House』

생태유아교육연구 | 10 | 4 | 2011 | 유아교육

루이스 쎄뿔베다의 『연애 소설을 읽는 노인』에 나타난 셀바의 탈신비화 현상

La desmitificación de la selva en Un viejo que leía novelas de amor de Luis Sepúlveda

국제지역연구 | 15 | 4 | 2012 | 지역학

원자력 또는 핵 문제와 생태문학의 전망

The Problem of Atomic Power or Nuclear Weapon and the Vision of the Ecological Literature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독일 생태 시인과 박영근 생태시 비교

The comparison of ecological poems between German ecological poets and Park Youngkeun

한민족문화연구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일 생태 시인과 박영근 생태시 비교

The comparison of ecological poems between German ecological poets and Park Youngkeun

한민족문화연구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몽골족 작가 郭雪波 소설의 生態 의식 연구 -늑대의 형상을 중심으로

A Study of Mongolian novelist Guo-Xuebo's ecological consciousness -Focusing on the wolves' images

몽골학 | 31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주왕산 기행가사의 문예적 실상과 현재적 의미

Literary Fact and the Present Meaning of Poetic Prose of Travel in Juwang Mountain

한국언어문학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주왕산 기행가사의 문예적 실상과 현재적 의미

Literary Fact and the Present Meaning of Poetic Prose of Travel in Juwang Mountain

한국언어문학 |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연수 소설의 생태문학적 가능성과 실제

The Potentialities as a Ecological Literature on Kim Yeon-Soo’s Novel

현대소설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연수 소설의 생태문학적 가능성과 실제

The Potentialities as a Ecological Literature on Kim Yeon-Soo’s Novel

현대소설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생태주의 관점에서 본 기녀시조

A study on the Ecology and GinyeoSijo

시조학논총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루이스 세풀베다의 타자에 대한 인식

El sentido de lo otro en las obras de Luis Sepúlveda

중남미연구 | 29 | 1 | 2010 | 지역학

루이스 세풀베다의 타자에 대한 인식

El sentido de lo otro en las obras de Luis Sepúlveda

중남미연구 | 29 | 1 | 2010 | 지역학

미국의 생태문학 연구 ―릭 베스의 『화이버』를 중심으로

A Study on American Ecological Literature: Reading Rick Bass's Fiber

인문학연구 | 37 | 1 | 2010 | 기타인문학

미국의 생태문학 연구 ―릭 베스의 『화이버』를 중심으로

A Study on American Ecological Literature: Reading Rick Bass's Fiber

인문학연구 | 37 | 1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