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보와 최승호의 시세계 비교 연구 - 불교생태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Study of Poetry Fields Between Lee, Guy-Bo and Choi, Seung-Ho - In the Buddhist View of Ecological Theory
동방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이규보와 최승호의 시세계 비교 연구 - 불교생태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Study of Poetry Fields Between Lee, Guy-Bo and Choi, Seung-Ho - In the Buddhist View of Ecological Theory
동방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드니스 레버토프의 생태시 읽기
A Study of Denise Levertov’s Nature Poetry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Life Around Us
현대영미시연구 |
16 |
2 |
2010 |
영어와문학
드니스 레버토프의 생태시 읽기
A Study of Denise Levertov’s Nature Poetry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Life Around Us
현대영미시연구 |
16 |
2 |
2010 |
영어와문학
기억과 자연 ― W. S. 머윈의 "시리우스의 그림자"
Memory and Nature: W. S. Merwin’s The Shadow of Sirius
현대영미시연구 |
17 |
1 |
2011 |
영어와문학
독일 생태 시인과 박영근 생태시 비교
The comparison of ecological poems between German ecological poets and Park Youngkeun
한민족문화연구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일 생태 시인과 박영근 생태시 비교
The comparison of ecological poems between German ecological poets and Park Youngkeun
한민족문화연구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2000년대 중국조선족 시의 전개양상과 주제적 특성 연구
The Present and Thematic Study of Korean Chinese Poems in the 2000s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A Comparative Study on the Ecopoetry of A. R. Ammons and Choe Seung‐ho
에몬즈와 최승호의 생태시 비교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 |
1 |
2011 |
기타인문학
W. S. 머윈의 생태시: 암울한 현실과 심미적 시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W. S. Merwin’s Ecopoetry: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Bleak Reality and Aesthetic Poetry
미국학 논집 |
43 |
3 |
2011 |
영어와문학
W. B. Yeats and Ecology: Ecology, Romantics, and Yeats: A New Approach to Reading Poetry
W. B. 예이츠와 생태주의 시: 생태주의, 낭만주의 시인, 예이츠: 새로운 시 읽기
한국 예이츠 저널 |
37 |
2012 |
영어와문학
생태시 교육과 텍스트 구성의 문제―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The Issue of Ecological Poetry Education and Text Constitution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생태시의 윤리와 관계의 시학 —메리 올리버의 다른 몸 되기
The Ethics of Ecological Poetry and the Poetics of Relation: Mary Oliver’s Becoming Other
영어영문학 |
56 |
1 |
2010 |
영어와문학
생태시의 윤리와 관계의 시학 —메리 올리버의 다른 몸 되기
The Ethics of Ecological Poetry and the Poetics of Relation: Mary Oliver’s Becoming Other
영어영문학 |
56 |
1 |
2010 |
영어와문학
독일과 한국의 ‘생태시’에 나타난 묵시록(黙示錄)의 성격과 기능 - 탈경계적 ‘교육 매체’로서의 생태시
Die apokalyptischen Merkmale und Themen in der deutschen und koreanischen Ökolyrik
뷔히너와 현대문학 |
38 |
2012 |
독일어와문학
독일 ‘생태시’에 나타난 주제의식과 언술방식의 상관성 - ‘생태시’의 사회참여적 성격을 중심으로
Korrelation zwischen Thematik und deren Darstellungsweisen in der deutschen Ökolyrik
카프카 연구 |
26 |
2011 |
독일어와문학
한국 현대 생태시의 의인화 유형 연구
A study on anthropomorphism in Korean modern ecological poet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비판’과 ‘공존’의 시학으로서의 생태시 교육방법
Teaching Ecological Poetry as Poetics of Critique and Coexistence
국어교육학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