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제, 상, 양태
Tense, Aspect, and Modality
國語學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의 명사 한정 체계
A Study on the Determining System of Noun in Korean Sentence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터키 튀르크어에 있어서 계사(copula)의 문제
The Turkish Copula: Its Definition and Functions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2 |
1 |
2012 |
종교학
‘-길래’의 의미와 서법
The Semantics of '-kilay' and Moods
언어과학 |
19 |
1 |
2012 |
언어학
한국어와 중국어의 요청 화행 대조 연구
A Contrastive Study of Request Speech Acts in Korean and Chinese
이중언어학 |
42 |
2010 |
언어학
한국어와 중국어의 요청 화행 대조 연구
A Contrastive Study of Request Speech Acts in Korean and Chinese
이중언어학 |
|
42 |
2010 |
언어학
청유 양태 표현의 문법 제약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Suggestive Imperative Modality in Korean
Journal of korean Culture |
19 |
2012 |
현대시(국문학)
교육문법을 위한 ‘will’과 ‘be going to’의 비교
‘Will’ and ‘Be going to’ for Educational Grammar
영어영문학연구 |
52 |
3 |
2010 |
영어와문학
교육문법을 위한 ‘will’과 ‘be going to’의 비교
‘Will’ and ‘Be going to’ for Educational Grammar
영어영문학연구 |
52 |
3 |
2010 |
영어와문학
On Modality in English
영어영문학연구 |
53 |
2 |
2011 |
영어와문학
한국어의 時相 범주와 표현에 대한 연구 - 相(aspect)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nse-aspect Category and expression in Korean :Focused on Aspect
우리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의 時相 범주와 표현에 대한 연구 - 相(aspect)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nse-aspect Category and expression in Korean :Focused on Aspect
우리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生傳稱 筆蹟의 眞僞問題와 新評‘韓國書藝의 典型’에 대한 검토 -「送賀賓客歸越」, 「望廬山瀑布」 詩 筆蹟을 중심으로-
金生传称 笔蹟的眞僞问题与新评‘韩国书艺的典型’对于检讨 -把「送贺宾客归越」,「望廬山瀑布」诗 笔蹟中心-
서예학연구 |
20 |
2012 |
서예
추측과 의지의 양태 표현 '-겠'과 '-(으)ㄹ 것이다'의 교육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
43 |
2010 |
언어학
추측과 의지의 양태 표현 '-겠'과 '-(으)ㄹ 것이다'의 교육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
|
43 |
2010 |
언어학
Vocative Construction and Addressee Honorification
언어학 연구 |
18 |
2010 |
기타언어학
Vocative Construction and Addressee Honorification
언어학 연구 |
|
18 |
2010 |
기타언어학
新羅高麗時代書法資料輯注
신라·고려시대 서예 자료 집주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어의 문장 유형과 용법
Sentence types in Korean
國語學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체계적인, 너무나 체계적인- 박재연(2006)을 중심으로 -
Systematic, so systematic: with respect to J. Park(2006)
형태론 |
13 |
1 |
2011 |
언어학
서법(Mood) 구현 형식에 대한 일고찰 -서법 범주의 수용과 전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onent of the Mood -Focused on the Emergence and the Development of the Mood Category-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서법(Mood) 구현 형식에 대한 일고찰 -서법 범주의 수용과 전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onent of the Mood -Focused on the Emergence and the Development of the Mood Category-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평안북도 운전지역어의 서법에 대하여
A Study on the mood of Unjeon(운전) dialect in Pyeonganbuk-do
방언학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평안북도 운전지역어의 서법에 대하여
A Study on the mood of Unjeon(운전) dialect in Pyeonganbuk-do
방언학 |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