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

연구분야 : G030303 예술체육 > 미술 > 응용미술 > 서예

클래스 : 유형/양식/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385

한자 : 書藝
중국어 : 书法
영어 : calligraphy
동의어(UF) : 서(書)

E01 유형/양식/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글씨 ()

S:동의

UF (비우선어)

 

 

붓글씨

N1:종류

hasKind (종류)

 

 

한문 서예 () [ 漢文書藝 ]

hasKind (종류)

 

 

한글 서예 () [ --書藝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서예 문화 () [ 書藝文化 ]

RT (관련어)

관련 개념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서화 [ 書畵 ]

RT (관련어)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자체 [ 字體 ]

RT (관련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서체 (서예) [ 書體 ]

RT (관련어)

 

 

필체 [ 筆體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필묵 () [ 筆墨 ]

isAppliedTo (적용 대상)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장법 [ 章法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서법 (서예) [ 書法 ]

전주지역 士林의 發見 및 鄕校周邊 士林의 주체적 삶

Discovery of classical scholars of Junju-zone and the subjecthood of classical scholars in Hyanggyo-circumference

한국사상과 문화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주지역 士林의 發見 및 鄕校周邊 士林의 주체적 삶

Discovery of classical scholars of Junju-zone and the subjecthood of classical scholars in Hyanggyo-circumference

한국사상과 문화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禪과 書藝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vity between Zen and Calligraphy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草書의 興起와 書‘藝’化의 相關關係 硏究

A Study of Correlations of The Rise of Cursive Style Writing and Its Becoming An Art

동양예술 | 17 | 2011 | 기타미술

尤菴과 同春堂의 書藝 硏究

A Aesthetic Study of Woo-Am and Dong-Chun-Dang's Calligraphy

서예학연구 | 19 | 2011 | 서예

작품소재로 살펴본 蒼巖 李三晩의 학문세계

以作品题材看苍岩李三晩的学问世界

서예학연구 | 18 | 2011 | 서예

金生傳稱 筆蹟의 眞僞問題와 新評‘韓國書藝의 典型’에 대한 검토 -「送賀賓客歸越」, 「望廬山瀑布」 詩 筆蹟을 중심으로-

金生传称 笔蹟的眞僞问题与新评‘韩国书艺的典型’对于检讨 -把「送贺宾客归越」,「望廬山瀑布」诗 笔蹟中心-

서예학연구 | 20 | 2012 | 서예

書藝, 基本用語의 意味 明瞭化 試論 -活劃(金翅劈海, 香象渡河), 字體, 書體, 筆體, 書風에 대한 辨釋 -

Trial Clarification of Basic Seoye Terms

중국학논총 | 30 | 2010 | 중국문화학

書藝, 基本用語의 意味 明瞭化 試論 -活劃(金翅劈海, 香象渡河), 字體, 書體, 筆體, 書風에 대한 辨釋 -

Trial Clarification of Basic Seoye Terms

중국학논총 | | 30 | 2010 | 중국문화학

서예서체 이미지에 대한 대표형용사 추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Adjectives for Calligraphy Image

소비문화연구 | 13 | 4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서예서체 이미지에 대한 대표형용사 추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Adjectives for Calligraphy Image

소비문화연구 | 13 | 4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21세기 韓國書藝, 流派 形成의 必要性과 哲學的 指向點 試論

21C Korean calligraphy, A study on Essence and Philosophical orientation on The formation of the calligraphy school

서예학연구 | 16 | 2010 | 서예

21세기 韓國書藝, 流派 形成의 必要性과 哲學的 指向點 試論

21C Korean calligraphy, A study on Essence and Philosophical orientation on The formation of the calligraphy school

서예학연구 | | 16 | 2010 | 서예

문화콘텐츠로서 공공예술정책에 대한 제언 -한국서예를 중심으로-

作为文化内容对公共艺术政策的提议 -以韩国书法为中心-

서예학연구 | 20 | 2012 | 서예

초등학교 서예 교육의 방향성 고찰

A Study about Directivity of Calligraph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미술교육연구논총 | 30 | 0 | 2011 | 예술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