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선설

연구분야 : A030301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일반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571

한자 : 性善說
영어 : ethical doctrine of innate goodness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인성론 [ 人性論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성선악혼설 [ 性善惡混說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불인지심 [ 不忍之心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성정 [ 性情 ]

『위대한 유산』, 동양철학으로 다시읽기* - 신사와 군자의 개념을 중심으로

Gentleman vs. Great Man: Re-reading Great Expectations through Eastern Philosophy

비교문학 | 55 | 2011 | 인문학

맹자의 소통원리와 방법론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principles and methodologies in the work of Mencius

孔子學 | 18 | 2010 | 기타유교학

맹자의 소통원리와 방법론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principles and methodologies in the work of Mencius

孔子學 | | 18 | 2010 | 기타유교학

「經史講義」에 나타난 正祖의 맹자관 — 「孟子條問」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ing Jeongjo’s View of Mencius’s Philosophy Presented in Gyeongsagangeui(經史講義)

퇴계학논총 | 19 | 2012 | 기타인문학

도덕적 인간의 발견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이해의 전환 - 孔·孟 사상을 중심으로

Discovery of Moral Agent and Change of Comprehension for Second-class Citizen - focused on Confucius-Mencius Thoughts

사회사상과 문화 | 21 | 2010 | 사회학

도덕적 인간의 발견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이해의 전환 - 孔·孟 사상을 중심으로

Discovery of Moral Agent and Change of Comprehension for Second-class Citizen - focused on Confucius-Mencius Thoughts

사회사상과 문화 | | 21 | 2010 | 사회학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의 『맹자』 해석 − 주자의 해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伊藤仁齋的<孟子>解釋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

덕 윤리 중심의 도덕교육 가능성에 대한 모색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Moral Education in Terms of Virtue Ethics

도덕윤리과교육 | 33 | 2011 | 교육학

互發의 관점으로 본 이황 철학의 가치관 이해

A Study of Value Point of Yi Hwang's Philosophy under the Point of View on Mutual Stimulation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하곡 정제두의 맹자학 연구 : 「맹자설」, 「고자잡해」, 「제장잡해」, 「천하지언성장해」를 중심으로

Hagok Jeong Jaedoo’s Studied on Mencius

한국학 | 33 | 2 | 2010 | 기타인문학

하곡 정제두의 맹자학 연구 : 「맹자설」, 「고자잡해」, 「제장잡해」, 「천하지언성장해」를 중심으로

Hagok Jeong Jaedoo’s Studied on Mencius

한국학 | 33 | 2 | 2010 | 기타인문학

정정제두와 정약용 『맹자』 주석의 인간학적 이해

The Understanding of the Jeong Jae-du and Jeong Yak-yong's Interpretation on the Works of Mencius Basing on the Humanics

유교사상문화연구 | 45 | 2011 | 유교학

맹자의 내재적 도덕성 고찰* - 不動心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heory of Inherent Morality of Mencius - Mainly Considering the Imperturbable Mind(不動心)

동양문화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李滉의 ‘理尊的’ 理發에 따른 性善觀

Li-Hwang’s view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based on Rijonjuk Ribal

철학논총 | 63 | 1 | 2011 | 철학

맹자철학에 대한 해석과 조선유학의 전개 -‘心性論’을 중심으로-

The Interpretation of Mencius’s Philosophy and Development of Joseon Confucianism

동아인문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18세기의 소설비평 - <창선감의록> <사씨남정기> <구운몽> <춘향전>을 중심으로 -

The Criticism of the 18th-century Korean Classical Novels

어문논집 | 64 | 2011 | 한국어와문학

儒學의 人性論: 社會心理學的 考察

Confucian Theories of Human Nature: Socio-psychological Research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丁若鏞의 性善論 分析

An Analysis on the Jeong Yag-Yong's Theory of Human Nature's Good

유교사상문화연구 | 41 | 2010 | 유교학

丁若鏞의 性善論 分析

An Analysis on the Jeong Yag-Yong's Theory of Human Nature's Good

유교사상문화연구 | | 41 | 2010 | 유교학

주희의 사서학 체계에서 확충의 의미

朱熹四書學體系的擴充說

태동고전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주희의 사서학 체계에서 확충의 의미

朱熹四書學體系的擴充說

태동고전연구 | 26 | | 2010 | 기타인문학

대진 인성론의 존재론적 근거와 그 특징

戴震性論的存在論根據及其特點

철학연구 | 120 | 2011 | 철학

性善說의 메타-윤리학적 구조 ― 성리학의 도덕적 자연주의 해석을 위한 시론 ―

A Meta-Ethical Framework of the Theory of Natural Goodness ― An Attempt to interpreting the Philosophy of Zhu Xi in terms of Moral Naturalism ―

동양철학 | 33 | 2010 | 철학

性善說의 메타-윤리학적 구조 ― 성리학의 도덕적 자연주의 해석을 위한 시론 ―

A Meta-Ethical Framework of the Theory of Natural Goodness ― An Attempt to interpreting the Philosophy of Zhu Xi in terms of Moral Naturalism ―

동양철학 | | 33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