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시 풍속

연구분야 : B111300 사회과학 > 인류학 > 예술인류학및민속예능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647

STNet ID : 1000501

한자 : 歲時風俗
영어 : Customs of times and seasons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y03-02 국경일/기념일명 국경일/기념일명

구정 [ 舊正 ]

hasKind (종류)

 

y03-02 국경일/기념일명 국경일/기념일명

추석 [ 秋夕 ]

hasKind (종류)

 

y03-03 행사/축제명 행사/축제명

단오 [ 端午 ]

『京都雜志』 연구 - 저술 과정과 이본 검토 -

The genealogy of the seasonal customs' books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 The process of writing and the examination of a different written version -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慵齋叢話』에 나타난 民俗 硏究

A Study on Folk Customs of Yongjaechonghwa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慵齋叢話』에 나타난 民俗 硏究

A Study on Folk Customs of Yongjaechonghwa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晝永編』에 담긴 정동유의 當代 민속 인식

Juyeongpyeon(『晝永編』) and Jeong Dong-yu(鄭東愈)'s Perceptions of Folklore

진단학보 | 110 | 2010 | 역사학

『晝永編』에 담긴 정동유의 當代 민속 인식

Juyeongpyeon(『晝永編』) and Jeong Dong-yu(鄭東愈)'s Perceptions of Folklore

진단학보 | | 110 | 2010 | 역사학

한국과 터키의 봄과 관련된 명절

The Spring Festivals of Korea and Turkey

비교민속학 | 43 | 2010 | 역사학

한국과 터키의 봄과 관련된 명절

The Spring Festivals of Korea and Turkey

비교민속학 | | 43 | 2010 | 역사학

기속시를 통해 본 18C 민간생활상-菊圃 姜檏과 慕軒 姜必愼의 기속시를 중심으로-

A Study of “Poem of Customs” through Eighteenth-century Living Conditions and Manner of Life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기속시를 통해 본 18C 민간생활상-菊圃 姜檏과 慕軒 姜必愼의 기속시를 중심으로-

A Study of “Poem of Customs” through Eighteenth-century Living Conditions and Manner of Life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중국 조선족 세시풍속의 전승과 변화 연구 - 연변조선족자치주 ‘정암촌’의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mission and Changes of Chinese-Korean Seasonal Custom

재외한인연구 | 23 | 2011 | 기타인문학

엔닌(円仁)의 求法旅行과 唐 문화 체험

Ennin’s Travel and Experience of Tang Culture

대구사학 | 99 | 2010 | 역사학

엔닌(円仁)의 求法旅行과 唐 문화 체험

Ennin’s Travel and Experience of Tang Culture

대구사학 | 99 | | 2010 | 역사학

세시풍속을 통해서 본 중국 12띠의 양상과 문화화 방식

A study on expression and culture ways of Chinese Zodiac through seasonal customs

남도민속연구 | 20 | 2010 | 역사학

세시풍속을 통해서 본 중국 12띠의 양상과 문화화 방식

A study on expression and culture ways of Chinese Zodiac through seasonal customs

남도민속연구 | | 20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類書類의 세시풍속과 세시사상

Seasonal customs and folklore shown the traditional encyclopedic literature during the late Choseon dynasty period

역사민속학 | 34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類書類의 세시풍속과 세시사상

Seasonal customs and folklore shown the traditional encyclopedic literature during the late Choseon dynasty period

역사민속학 | | 34 | 2010 | 역사학

새해맞이 한시 연구 -설날 의례와 풍속 관련 한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w Year's Poetr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한국한시연구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해맞이 한시 연구 -설날 의례와 풍속 관련 한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w Year's Poetr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한국한시연구 |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해맞이 한시 연구 -설날 의례와 풍속 관련 한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w Year's Poetr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한국한시연구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해맞이 한시 연구 -설날 의례와 풍속 관련 한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w Year's Poetr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한국한시연구 |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林下筆記』에 나타난 歲時風俗과 民俗놀이 硏究

A Study on the Seasonal Custom and Folk Game observed in Yimhapilgi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단오」 교육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경험 분석

The Experience of Children in「Dano」 Activity at Kindergarten

열린유아교육연구 | 15 | 3 | 2010 | 교육학

「단오」 교육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경험 분석

The Experience of Children in「Dano」 Activity at Kindergarten

열린유아교육연구 | 15 | 3 | 2010 | 교육학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朝鮮의 歲時風俗書와 ‘일상’의 記述

The Books of Seasonal Customs and Description of ‘Dailiness’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o the Earlier Half of the 19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역사교육 | 120 | 2011 | 역사학

현대 세시풍속에서 민속놀이의 존재 양상과 향후 전망-대구․경북 지방을 중심으로-

The Existence Patterns and Future Prospects of Folk Plays in Modern Seasonal Customs-Focused o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비교민속학 | 42 | 2010 | 역사학

현대 세시풍속에서 민속놀이의 존재 양상과 향후 전망-대구․경북 지방을 중심으로-

The Existence Patterns and Future Prospects of Folk Plays in Modern Seasonal Customs-Focused o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비교민속학 | | 42 | 2010 | 역사학

세시풍속과 연계된 유아경제교육 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s of Economic Education Program Model for Young Children Related to Korean Seasonal Customs on Economic Concept and Economic Living Habits

교육연구 | 49 | 2010 | 교과교육학

세시풍속과 연계된 유아경제교육 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s of Economic Education Program Model for Young Children Related to Korean Seasonal Customs on Economic Concept and Economic Living Habits

교육연구 | 49 | | 2010 | 교과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