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

연구분야 : C060300 자연과학 > 화학 > 무기화학

클래스 : 자연(광물)
식료품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665

한자 :
영어 : salt

a03-03 자연(광물)

a04-05 식료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염 (소금) [ 鹽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탄산 수소염 [ 炭酸水素鹽 ]

isKindOf (상위 유형)

 

a04-05 식료품 식료품

조미료 [ 調味料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5 식료품 식료품

자염 [煮鹽]

hasKind (종류)

 

a03-03 자연(광물) 자연(광물)

천일염 [ 天日鹽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각염법 () [ 榷鹽法 ]

RT (관련어)

 

x01-04 산/산맥명 산/산맥명

우유니 소금사막 [Sala de Uyuni]

RT (관련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염과 [ 鹽課 ]

高麗 末期 倭寇의 침입과 기근에 따른 民生

The effect of Whegoo’s invasion and famine toward the livelihoods of the public in the end of the Koryeo

서울과 역사 | 76 | 2010 | 역사학

高麗 末期 倭寇의 침입과 기근에 따른 民生

The effect of Whegoo’s invasion and famine toward the livelihoods of the public in the end of the Koryeo

서울과 역사 | | 76 | 2010 | 역사학

고구려 음식의 추이와 식재료 연구

A Study on the Food Progress and Materials Of Goguryeo

한국학논총 | 38 | 2012 | 역사이론

검단선사 설화의 전승 양상과 의미

A Study on the transmission aspects and meanings of folktales of Geomdan-seonsa

실천민속학 연구 | 18 | 2011 | 역사학

강경애 「소금」의 개념적 은유 접근 방법

Conceptual Metaphor Approach of Kyung-ae Kang's "The Salt"

인문학연구 | 41 | 2011 | 기타인문학

이주문학에 나타난 타자 재현의 문제 ― <소금>과 <붉은 산>의 ‘재만 조선인’ 재현을 중심으로 ―

Representation of the other that can't be sacrificed ― Representation of Joseon people in Manju in and

한민족문화연구 | 38 | 2011 | 한국어와문학

지역 특화상품 패키지의 색채 이미지 연구 - 신안 천일염 중심으로 -

A Study on color image of local product’s package -Focusing on case in sun-dried salt of Shinan-

한국색채학회논문집 | 26 | 2 | 2012 |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