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방사우의 교육문화적 의의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significances of the four precious things of the study(文房四友)
한국사상과 문화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방사우의 교육문화적 의의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significances of the four precious things of the study(文房四友)
한국사상과 문화 |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은행의 업무규제 분석 및 미국법을 모델로 한 향후 개정방향
Analyses on the Business Regulation of Commercial Banksand the Future Reform Modeled on the U.S. Law
증권법연구 |
13 |
1 |
2012 |
법학
<대학>에 있어서의 인간이해와 수양의 문제
<大学>中关於人的理解及修养的问题
대동철학 |
58 |
2012 |
철학
『소년』의 ‘영웅’ 서사와 동아시아적 맥락
Heroes in Sonyen(『少年』) and the East Asian Context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소년』의 ‘영웅’ 서사와 동아시아적 맥락
Heroes in Sonyen(『少年』) and the East Asian Context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 초기 한·일 초등학교 교과서의 한국인식
Recognition on Korea represented in history education in Korean and Japanese elementary schools in the early Japanese compulsory annexation of Korea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6 |
2010 |
역사학
일제강점 초기 한·일 초등학교 교과서의 한국인식
Recognition on Korea represented in history education in Korean and Japanese elementary schools in the early Japanese compulsory annexation of Korea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6 |
2010 |
역사학
물의 사상, 물의 문화
水之思想, 水之文化
동서철학연구 |
59 |
2011 |
철학
질주하는 몸의 욕망과 자아의 재귀 -루키즘의 욕망과 동양의 신체미학-
欲望的奔馳與自我的返回 -現代社會的外貌主义與中國哲學的身體美學-
철학연구 |
44 |
2011 |
철학
근대 중국 ‘倫理’ 개념의 번역과 변용 -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Translation and Acculturation of the Concept of ‘Ethics’ in Modern China
철학사상 |
37 |
2010 |
철학
근대 중국 ‘倫理’ 개념의 번역과 변용 -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Translation and Acculturation of the Concept of ‘Ethics’ in Modern China
철학사상 |
|
37 |
2010 |
철학
이태준의 전시 체제 대응 방식: 천리에 방심하지 않기
Staying Vigilant toward Heaven's Rules: Yi Taejun's Reactions to Japan's Wartime System from 1937 to 1945
한국현대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태준의 전시 체제 대응 방식: 천리에 방심하지 않기
Staying Vigilant toward Heaven's Rules: Yi Taejun's Reactions to Japan's Wartime System from 1937 to 1945
한국현대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충혜왕의 폐위와 고려 유자儒者들의 공민왕 지원 배경
The Context of Dethronement of King Chunghye(忠惠王) and Goryeo(高麗) Confucianists' Support for King Gongmin(恭愍王)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누정기에 나타난 하동 누정의 공간 인식
A Study on Spatial Perceptions in the Towers and Pavilions of Hadong through the Records of Towers and Pavilions
南冥學硏究 |
34 |
2012 |
철학
‘조선어독본’과 일제의 문화정치 —제4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독본>의 경우—
‘ChoSun-uh-dokbon’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Japanese imperialist — In the case of ‘Chosun-uh-Dokb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n the forth educational law period —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어독본’과 일제의 문화정치 —제4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독본>의 경우—
‘ChoSun-uh-dokbon’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Japanese imperialist — In the case of ‘Chosun-uh-Dokb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n the forth educational law period —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화 교육 담론의 자체 모순과 혼란 -『학부의 보통학교 학도용 수신서』를 중심으로
A Contradiction and Confusion of the Discourse of Colonial Education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인성 교육을 통한 정신장애의 치유 ―임상치유를 위한 유학의 수신론적 관점
Care of Mental Disabilities through Philosophical Education―With a Focus on the Confucian Clinical Care Methodology
한국민족문화 |
43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