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문인의 지리산에 대한 인식과 그 변화 -지리산 유람시의 검토를 중심으로-
The Recognition and its Changes about Mt. Jiri of Writers in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Review of Mt. Jiri Excursion Poetry
南冥學硏究 |
29 |
2010 |
철학
조선조 문인의 지리산에 대한 인식과 그 변화 -지리산 유람시의 검토를 중심으로-
The Recognition and its Changes about Mt. Jiri of Writers in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Review of Mt. Jiri Excursion Poetry
南冥學硏究 |
|
29 |
2010 |
철학
북한문학의 내적 변모와 남⋅북 문학의 소통 가능성 - 남대현의 『통일련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n literature - Mainly concerns 『Tongil Ryeonga(A love song of reunification)』 by Nam Dae-hyeon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문학의 내적 변모와 남⋅북 문학의 소통 가능성 - 남대현의 『통일련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n literature - Mainly concerns 『Tongil Ryeonga(A love song of reunification)』 by Nam Dae-hyeon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발턴의 생활글과 민족문학론의 재구성
The Writings of Subaltern and Reconstruction of National Literature
한국문예비평연구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의 기억과 글쓰기 - 거제도 포로수용소 체험을 중심으로 -
Memories and Writing of Korean War - Focusing on Experiences in Kojedo prisoner of War Camp -
작문연구 |
12 |
2011 |
한국어와문학
茶山 丁若鏞의 昭事上帝 관념 연구-天譴意識과 修己의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asanian concept of Zhāoshishàngdhi(昭事上帝)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Thought of Being Reprimanded from Heaven(天譴意識) and Viewpoint of Self-cultivation(修己)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權榘의 <屛山六曲>에 나타난 공간 인식과 연작성
Spatial recognition and continuity on the Gwongu(權榘)'s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權榘의 <屛山六曲>에 나타난 공간 인식과 연작성
Spatial recognition and continuity on the Gwongu(權榘)'s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노론의 학통적 맥락에서 본 송시열 초상화찬
老論的學統前後連上宋時烈的肖像畵贊
열상고전연구 |
35 |
2012 |
기타국문학
『震黙禪師遺蹟攷』에 보이는 經典名과 그 의미
A study on the sūtra names and meanings as presented in 『Jinmooksuensayujukgo』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6 |
2011 |
정토학
茶山 丁若鏞의 昭事上帝 관념 연구-天譴意識과 修己의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asanian concept of Zhāoshishàngdhi(昭事上帝)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Thought of Being Reprimanded from Heaven(天譴意識) and Viewpoint of Self-cultivation(修己)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전상국 소설에 나타난 추방자 형상 연구—「아베의 가족」, 「지빠귀 둥지 속의 뻐꾸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henomenon of the Exile in Jeon Sang-Guk's Novels -Focusing on The Family of Abe and A Cuckoo in the Thrush's Nest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엔도 슈사쿠의 『바다와 독약 』(海と毒薬)론
Shusaku Endo “the sea and poison”idea
일어일문학 |
47 |
2010 |
일본어와문학
엔도 슈사쿠의 『바다와 독약 』(海と毒薬)론
Shusaku Endo “the sea and poison”idea
일어일문학 |
|
47 |
2010 |
일본어와문학
주자학과 眞德秀의 『대학』 이해
Neo-Confucianism and Zhen Dexiu's Views on The Great Learning(Daxue)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고백의 서사와 도스토예프스키 -『미성년』을 중심으로
Повествованине Исповеди и Достоевский - на Материале Романа <Подросток>
러시아연구 |
22 |
1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현암의 한국실학연구와 그 관점
The views and study on Korean Silhak of Hyun-Am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현암의 한국실학연구와 그 관점
The views and study on Korean Silhak of Hyun-Am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高峰 奇大升의 歷史意識
Ki Dae-seung's Historical Consciousness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高峰 奇大升의 歷史意識
Ki Dae-seung's Historical Consciousness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현암의 한국실학연구와 그 관점
The views and study on Korean Silhak of Hyun-Am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현암의 한국실학연구와 그 관점
The views and study on Korean Silhak of Hyun-Am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성리학의 발전에 있어서 {大學衍義}의 사상사적 위치
The Position of history of thought on the "daxueyanyi" in the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동양고전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栗谷의 『聖學輯要』에 나타난 家교육의 位相
Status of Education for Family(家, Ga) appearing in the Essentials of the Studies of the sage(聖學輯要, Seong Hak Jibyo) by Yulgok(栗谷)
율곡학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栗谷의 『聖學輯要』에 나타난 家교육의 位相
Status of Education for Family(家, Ga) appearing in the Essentials of the Studies of the sage(聖學輯要, Seong Hak Jibyo) by Yulgok(栗谷)
율곡학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학과 眞德秀의 『대학』 이해
Neo-Confucianism and Zhen Dexiu's Views on The Great Learning(Daxue)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성리학의 발전에 있어서 {大學衍義}의 사상사적 위치
The Position of history of thought on the "daxueyanyi" in the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동양고전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河西의 義理思想
Haseo's idea of righteousness
한국사상과 문화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河西의 義理思想
Haseo's idea of righteousness
한국사상과 문화 |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합기도 術氣의 종류와 형태에 관한 小考
A study on The Types and Forms of Korean Hapkido Techniques
대한무도학회지 |
13 |
3 |
2011 |
무도학
孔子의 禮治사상에 대한 재해석 - 윤리적 개념으로서의 禮治를 중심으로 -
중국인문과학 |
47 |
2011 |
중국어와문학
栗谷의 『聖學輯要』에 나타난 家교육의 位相
Status of Education for Family(家, Ga) appearing in the Essentials of the Studies of the sage(聖學輯要, Seong Hak Jibyo) by Yulgok(栗谷)
율곡학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栗谷의 『聖學輯要』에 나타난 家교육의 位相
Status of Education for Family(家, Ga) appearing in the Essentials of the Studies of the sage(聖學輯要, Seong Hak Jibyo) by Yulgok(栗谷)
율곡학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박남수론:한 월남 문인의 이력과 ‘純粹’의 이면 ― 수기와 전집 미수록 시를 중심으로
Essay of Park, Nam–Soo : The History of Writer who goes to South Korea and Hidden Side of His ‘Purity’ – Focus on the Memoirs and not Included Works of Park, Nam–Soo’s Complete Works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孟子思想在企业管理上的应用
Application of Mencius Ideas to Corporate Management
한중인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栗谷의 『聖學輯要』에 나타난 家교육의 位相
Status of Education for Family(家, Ga) appearing in the Essentials of the Studies of the sage(聖學輯要, Seong Hak Jibyo) by Yulgok(栗谷)
율곡학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栗谷의 『聖學輯要』에 나타난 家교육의 位相
Status of Education for Family(家, Ga) appearing in the Essentials of the Studies of the sage(聖學輯要, Seong Hak Jibyo) by Yulgok(栗谷)
율곡학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여성결혼이민자 수기(手記)에 나타난 문화 변용 양상 연구
The Study on Aspects of Acculturation Showed in Married Immigrant Women's Handwriting
다문화콘텐츠연구 |
11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金閣寺』論 ― 最後の一句が意味するもの
『금각사』론 - 마지막 구절이 의미하는 것
세계문학비교연구 |
32 |
2010 |
문학
『金閣寺』論 ― 最後の一句が意味するもの
『금각사』론 - 마지막 구절이 의미하는 것
세계문학비교연구 |
|
32 |
2010 |
문학
다산의 인간관에 나타난 사회개혁론 연구
A Study of The Social Reform Through Tasan's View of Human Beings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7 |
2010 |
유교학
다산의 인간관에 나타난 사회개혁론 연구
A Study of The Social Reform Through Tasan's View of Human Beings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7 |
2010 |
유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