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물

연구분야 : A030301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일반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02

STNet ID : 1000081

한자 : 格物
영어 : study of things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수기 [ 修己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팔조목 (대학) [ 八條目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격물치지 () [ 格物致知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주자학 [ 朱子學 ]

affects (영향)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치지 [ 致知 ]

affects (영향)

 

 

격물해 [ 格物解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지행병진 [ 知行幷進 ]

RT (관련어)

 

 

보망장 [ 補亡章 ]

花潭 徐敬德의 生態思想과 文學

Hwadam(花潭) Seogyeongduk(徐敬德)’s Ecological Thought and Literature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花潭 徐敬德의 生態思想과 文學

Hwadam(花潭) Seogyeongduk(徐敬德)’s Ecological Thought and Literature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등에(蝱, gadfly)관으로 본 동서철학사의 이해와 주희 격물의 의미

Gadfly in Ancient Philosophies of the East and West - The Meaning of Zhuxi's Ge-wu(格物) in Human Intellectual History

유학연구 | 21 | 2010 | 철학

등에(蝱, gadfly)관으로 본 동서철학사의 이해와 주희 격물의 의미

Gadfly in Ancient Philosophies of the East and West - The Meaning of Zhuxi's Ge-wu(格物) in Human Intellectual History

유학연구 | 21 | | 2010 | 철학

주자학과 眞德秀의 『대학』 이해

Neo-Confucianism and Zhen Dexiu's Views on The Great Learning(Daxue)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格物通』에서 본 담약수의 大學觀 - 경전해석의 열린 지평을 중심으로-

Zhan Ruo-shui's View of Great Learning in Ge-wu-tong - Focused upon an Open Horizon of Understanding a Textbook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格物通』에서 본 담약수의 大學觀 - 경전해석의 열린 지평을 중심으로-

Zhan Ruo-shui's View of Great Learning in Ge-wu-tong - Focused upon an Open Horizon of Understanding a Textbook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윤휴의 『대학』 이해에 나타난 爲學觀

Yun Hyu's View of Learning in Interpreting on the Great Learning

한국사상사학 | 41 | 2012 | 역사학

王夫之의 格物致知 理解 — <讀四書大全說>과 <張子正蒙注>를 중심으로 —

王夫之對格物致知的理解 – 以<讀四書大全說>與<張子正蒙注>爲主

동양철학연구 | 65 | 2011 | 철학

왕양명의 격물공부론

Wang Yang-ming's the kungfu-theory(工夫論)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교육사학연구 | 21 | 2 | 2011 | 교육사학

주희 성리학에서의 소이연과 소당연의 도덕 실재적 함의

The Real Morality of the Oughtness(所當然) and the Being(所以然) in the Zhu Xi’s NeoConfucianism

법학논총 | 34 | 1 | 2010 | 법학

주희 성리학에서의 소이연과 소당연의 도덕 실재적 함의

The Real Morality of the Oughtness(所當然) and the Being(所以然) in the Zhu Xi’s NeoConfucianism

법학논총 | 34 | 1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