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지

연구분야 : A030300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165

한자 : 致知
영어 : culmination of knowledge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격물치지 () [ 格物致知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팔조목 (대학) [ 八條目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격물 [ 格物 ]

남당 한원진의 인간관

A view of human in NamDang HanWonJin

조선시대사학보 | 55 | 2010 | 역사학

남당 한원진의 인간관

A view of human in NamDang HanWonJin

조선시대사학보 | | 55 | 2010 | 역사학

주자학과 眞德秀의 『대학』 이해

Neo-Confucianism and Zhen Dexiu's Views on The Great Learning(Daxue)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윤휴의 『대학』 이해에 나타난 爲學觀

Yun Hyu's View of Learning in Interpreting on the Great Learning

한국사상사학 | 41 | 2012 | 역사학

주자 공부론(工夫論) 사계점(四階漸)의 의의 고찰 - 방적(防賊)을 결심하고, 살피고(推察), 지키고(守), 항거하는(拒) 비유를 통하여 -

The Search for Meaning : Chu-Hsi's Four-Step Learning Theory

윤리교육연구 | 23 | 2010 | 윤리교육학

주자 공부론(工夫論) 사계점(四階漸)의 의의 고찰 - 방적(防賊)을 결심하고, 살피고(推察), 지키고(守), 항거하는(拒) 비유를 통하여 -

The Search for Meaning : Chu-Hsi's Four-Step Learning Theory

윤리교육연구 | | 23 | 2010 | 윤리교육학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The character of Joseon(Choson)-dynasty Korean Confucianism as seen through it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um

퇴계학보 | 128 | 2010 | 유교학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The character of Joseon(Choson)-dynasty Korean Confucianism as seen through it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um

퇴계학보 | | 128 | 2010 | 유교학

王夫之의 格物致知 理解 — <讀四書大全說>과 <張子正蒙注>를 중심으로 —

王夫之對格物致知的理解 – 以<讀四書大全說>與<張子正蒙注>爲主

동양철학연구 | 65 | 2011 | 철학

주희 성리학에서의 소이연과 소당연의 도덕 실재적 함의

The Real Morality of the Oughtness(所當然) and the Being(所以然) in the Zhu Xi’s NeoConfucianism

법학논총 | 34 | 1 | 2010 | 법학

주희 성리학에서의 소이연과 소당연의 도덕 실재적 함의

The Real Morality of the Oughtness(所當然) and the Being(所以然) in the Zhu Xi’s NeoConfucianism

법학논총 | 34 | 1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