正祖의 학문관과 공부 방법론
Jôngjo(正祖)'s View about Scholarshipand His Doctrine of Study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正祖의 학문관과 공부 방법론
Jôngjo(正祖)'s View about Scholarshipand His Doctrine of Study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頤齋 黃胤錫의 洛學 繼承的 性理說 一攷
A Study on Hwang Yoon Seok's Theory of Neo-Confucianism with Succession of Nak-Hak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頤齋 黃胤錫의 洛學 繼承的 性理說 一攷
A Study on Hwang Yoon Seok's Theory of Neo-Confucianism with Succession of Nak-Hak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頤齋 黃胤錫의 洛學 繼承的 性理說 一攷
A Study on Hwang Yoon Seok's Theory of Neo-Confucianism with Succession of Nak-Hak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樂山樂水의 山水畵 美學
樂山樂水的山水畵美學
미학예술학연구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樂山樂水의 山水畵 美學
樂山樂水的山水畵美學
미학예술학연구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樂山樂水의 山水畵 美學
樂山樂水的山水畵美學
미학예술학연구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程伊川 敎育論에 관한 考察
A Study on Cheng Yi-Chuan's theory of education
동방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斯文亂賊 論難과 四書의 再解釋 ― 朴世堂의 『思辨錄』과 金昌協의 批判을 중심으로 ―
The Criticism on the Traitor to Confucian Culture and the Reinterpretation on Four Books - Mainly about Pak Se-dang’s Sabyeon-nok and Kim Chang-hyeop’s criticism on it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斯文亂賊 論難과 四書의 再解釋 ― 朴世堂의 『思辨錄』과 金昌協의 批判을 중심으로 ―
The Criticism on the Traitor to Confucian Culture and the Reinterpretation on Four Books - Mainly about Pak Se-dang’s Sabyeon-nok and Kim Chang-hyeop’s criticism on it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주자의 독서론: 격물치지공부로서의 독서
'Reading' as 'Gewuzhizhigongfu' in Zhu xi's Philosophy of Gongfu
교육철학연구 |
47 |
2010 |
교육학
주자의 독서론: 격물치지공부로서의 독서
'Reading' as 'Gewuzhizhigongfu' in Zhu xi's Philosophy of Gongfu
교육철학연구 |
|
47 |
2010 |
교육학
程頤的工夫論
The practical theory of Cheng-Yi
퇴계학논총 |
17 |
2011 |
기타인문학
朱子의 人心道心說
Chutzu's Theory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한국철학논집 |
31 |
2011 |
한국철학일반
錢德洪의 실천적 致良知 공부론
钱德洪致良知工夫论的实践性
양명학 |
28 |
2011 |
철학
고봉 기대승의 학문관
Backgrounds of Formation of Academic Philosophy of Gobong, Gi Deaseong and its Essential Points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고봉 기대승의 학문관
Backgrounds of Formation of Academic Philosophy of Gobong, Gi Deaseong and its Essential Points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朱子의 人心道心說
Chutzu's Theory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한국철학논집 |
31 |
2011 |
한국철학일반
고봉 기대승의 학문관
Backgrounds of Formation of Academic Philosophy of Gobong, Gi Deaseong and its Essential Points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고봉 기대승의 학문관
Backgrounds of Formation of Academic Philosophy of Gobong, Gi Deaseong and its Essential Points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程頤的工夫論
The practical theory of Cheng-Yi
퇴계학논총 |
17 |
2011 |
기타인문학
白湖 尹鑴의 <대학> 해석 — 三綱領과 格物致知의 이해를 중심으로 —
The Interpretation of Baekho Yun Hyu about the Great Learning - In the central figure of understanding of three doctrines and the investigation of things lies in the perfection of knowledge
퇴계학논총 |
18 |
2011 |
기타인문학
四書에서 본 마음 修養에 관한 小考
關於四書中心修養的小考
동양고전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박세당의 유가적 노장 해석 -노장 수용과 왜곡의 경계 그리고 그 동기에 관하여-
朴世堂の儒家的な老莊解釋について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박세당의 유가적 노장 해석 -노장 수용과 왜곡의 경계 그리고 그 동기에 관하여-
朴世堂の儒家的な老莊解釋について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격물 인식 -명재 윤증과의 격물 논변을 중심으로-
西溪朴世堂实学的格物认识 - 以与明斋尹拯的格物论辩为中心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격물 인식 -명재 윤증과의 격물 논변을 중심으로-
西溪朴世堂实学的格物认识 - 以与明斋尹拯的格物论辩为中心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性理學과 山水畵의 발전에 관한 연구 - 송대를 중심으로-
Research of the Neo-Confucianism and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painting in Song Dynasty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明末淸初 顔元의 학문과 사상에 대하여
Research on Yan Yuan’ s Pragmatic Thought
南冥學硏究 |
29 |
2010 |
철학
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
西溪儒学思想的实学认识论基础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
西溪儒学思想的实学认识论基础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격물 인식 -명재 윤증과의 격물 논변을 중심으로-
西溪朴世堂实学的格物认识 - 以与明斋尹拯的格物论辩为中心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격물 인식 -명재 윤증과의 격물 논변을 중심으로-
西溪朴世堂实学的格物认识 - 以与明斋尹拯的格物论辩为中心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白湖 尹鑴의 <대학> 해석 — 三綱領과 格物致知의 이해를 중심으로 —
The Interpretation of Baekho Yun Hyu about the Great Learning - In the central figure of understanding of three doctrines and the investigation of things lies in the perfection of knowledge
퇴계학논총 |
18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 유학의 『대학』 체재에 대한 이해(1) - 『대학장구』와 『고본대학』의 체재를 개정한 학자를 중심으로 -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Great Learning in the Korean Confucianism(Ⅰ) -Laying Stress on the Scholars Revising the Structure of the Great Learning-
유교사상문화연구 |
43 |
2011 |
유교학
동양화의 형(形)과 신(神)에 대한 고찰 - 형․신과 지(知)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form and spiritual being in the traditional Chinesepainting theories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동양화의 형(形)과 신(神)에 대한 고찰 - 형․신과 지(知)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form and spiritual being in the traditional Chinesepainting theories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理氣哲學의 세계관이 현대인의 철학으로서 갖는 特長(I) - 인간학과 자연학의 통합체계 -
作爲現代人哲學的理氣哲學世界觀的特長(Ⅰ) - 人間學和自然學的結合體系 -
동양철학연구 |
67 |
2011 |
철학
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
西溪儒学思想的实学认识论基础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
西溪儒学思想的实学认识论基础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理氣哲學의 세계관이 현대인의 철학으로서 갖는 特長(I) - 인간학과 자연학의 통합체계 -
作爲現代人哲學的理氣哲學世界觀的特長(Ⅰ) - 人間學和自然學的結合體系 -
동양철학연구 |
67 |
2011 |
철학
“極深硏幾”를 통해서 본 儒學의 實踐認識論
Practical Epistemology of Confucianism -- from the perspective of ‘furthering the depth’(極深) and ‘cultivating the subtle’(硏幾)
동양철학 |
33 |
2010 |
철학
“極深硏幾”를 통해서 본 儒學의 實踐認識論
Practical Epistemology of Confucianism -- from the perspective of ‘furthering the depth’(極深) and ‘cultivating the subtle’(硏幾)
동양철학 |
|
33 |
2010 |
철학
격물치지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The Implications of the Theory of Ko-Wu Chih-Chih for Moral Education
도덕교육연구 |
22 |
2 |
2011 |
교육학
한국 유학의 『대학』 체재에 대한 이해(2) − <고본대학> 체재의 정합성을 인정하는 학자를 중심으로 −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Great Learning in the Korean Confucianism(Ⅱ) - Laying Stress on the Scholars acknowledging the Structure of Gobondaehak -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
畵論을 통해본 儒家의 藝術意識 - 宋代 『 林泉高致』와 『 山水純全集』을 중심으로-
A Study of confucian sense of art in the theory of painting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畵論을 통해본 儒家의 藝術意識 - 宋代 『 林泉高致』와 『 山水純全集』을 중심으로-
A Study of confucian sense of art in the theory of painting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極深硏幾”를 통해서 본 儒學의 實踐認識論
Practical Epistemology of Confucianism -- from the perspective of ‘furthering the depth’(極深) and ‘cultivating the subtle’(硏幾)
동양철학 |
33 |
2010 |
철학
“極深硏幾”를 통해서 본 儒學의 實踐認識論
Practical Epistemology of Confucianism -- from the perspective of ‘furthering the depth’(極深) and ‘cultivating the subtle’(硏幾)
동양철학 |
|
33 |
2010 |
철학
畵論을 통해본 儒家의 藝術意識 - 宋代 『 林泉高致』와 『 山水純全集』을 중심으로-
A Study of confucian sense of art in the theory of painting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畵論을 통해본 儒家의 藝術意識 - 宋代 『 林泉高致』와 『 山水純全集』을 중심으로-
A Study of confucian sense of art in the theory of painting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白湖 尹鑴의 <대학> 해석 — 三綱領과 格物致知의 이해를 중심으로 —
The Interpretation of Baekho Yun Hyu about the Great Learning - In the central figure of understanding of three doctrines and the investigation of things lies in the perfection of knowledge
퇴계학논총 |
18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 유학의 『대학』 체재에 대한 이해(2) − <고본대학> 체재의 정합성을 인정하는 학자를 중심으로 −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Great Learning in the Korean Confucianism(Ⅱ) - Laying Stress on the Scholars acknowledging the Structure of Gobondaehak -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
동양화의 형(形)과 신(神)에 대한 고찰 - 형․신과 지(知)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form and spiritual being in the traditional Chinesepainting theories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동양화의 형(形)과 신(神)에 대한 고찰 - 형․신과 지(知)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form and spiritual being in the traditional Chinesepainting theories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한국 유학의 『대학』 체재에 대한 이해(1) - 『대학장구』와 『고본대학』의 체재를 개정한 학자를 중심으로 -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Great Learning in the Korean Confucianism(Ⅰ) -Laying Stress on the Scholars Revising the Structure of the Great Learning-
유교사상문화연구 |
43 |
2011 |
유교학
『대학장구』에 드러난 주희의 사유체계와 육구연 철학사상 비교 연구
『大学章句』中体现的朱熹的思维体系与陆九渊哲学思想比较研究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대학장구』에 드러난 주희의 사유체계와 육구연 철학사상 비교 연구
『大学章句』中体现的朱熹的思维体系与陆九渊哲学思想比较研究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大學」에 나타난 지식교육과 도덕교육의 관련
The Relation between Intellectual and Moral Education in The Great Learning
도덕교육연구 |
24 |
2 |
2012 |
교육학
燕巖 朴趾源의 만년 思想에 대한 再論 -맹인 설화와 「答任亨五論原道書」를 중심으로-
Rediscussion About Yeonam Park Ji-Won's Ideology in His Later Years - With a focus on the Blindman tale and Dapimhyeongononwondoseo -
한국한문학연구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燕巖 朴趾源의 만년 思想에 대한 再論 -맹인 설화와 「答任亨五論原道書」를 중심으로-
Rediscussion About Yeonam Park Ji-Won's Ideology in His Later Years - With a focus on the Blindman tale and Dapimhyeongononwondoseo -
한국한문학연구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存齋 魏伯珪의 格物說
A Theory of The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 In case of Wie Baekgyu(魏伯珪)
태동고전연구 |
28 |
2012 |
기타인문학
듀이의 교변작용에 대한 교육인식론적 해석
The Meaning of Dewey's Transaction in the Light of Educational Epistemology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듀이의 교변작용에 대한 교육인식론적 해석
The Meaning of Dewey's Transaction in the Light of Educational Epistemology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대학장구』에 드러난 주희의 사유체계와 육구연 철학사상 비교 연구
『大学章句』中体现的朱熹的思维体系与陆九渊哲学思想比较研究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대학장구』에 드러난 주희의 사유체계와 육구연 철학사상 비교 연구
『大学章句』中体现的朱熹的思维体系与陆九渊哲学思想比较研究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유가공부의 한 정곡인 격물치지에 대한 수양론적 시선
Self-cultivating Point of Gé-Wù-Zhì-Zhī[格物致知] in Neo-Confucianism
교육사상연구 |
25 |
1 |
2011 |
교육학
유가사상 공부론과 수양론의 탐색 -퇴계의 논의를 중심으로
On the Study theory and the Discipline of the Confucian Thought
사회사상과 문화 |
21 |
2010 |
사회학
유가사상 공부론과 수양론의 탐색 -퇴계의 논의를 중심으로
On the Study theory and the Discipline of the Confucian Thought
사회사상과 문화 |
|
21 |
2010 |
사회학
유가사상 공부론과 수양론의 탐색 -퇴계의 논의를 중심으로
On the Study theory and the Discipline of the Confucian Thought
사회사상과 문화 |
21 |
2010 |
사회학
유가사상 공부론과 수양론의 탐색 -퇴계의 논의를 중심으로
On the Study theory and the Discipline of the Confucian Thought
사회사상과 문화 |
|
21 |
2010 |
사회학
明末淸初 顔元의 학문과 사상에 대하여
Research on Yan Yuan’ s Pragmatic Thought
南冥學硏究 |
29 |
2010 |
철학
從工夫論看朱子知識論的意義 - 以身體與實踐知的關係爲中心
The Relation of Body and Practical Knowledge in Zhu Xi’s Theory of Cultivation
국제중국학연구 |
13 |
2010 |
중국어와문학
從工夫論看朱子知識論的意義 - 以身體與實踐知的關係爲中心
The Relation of Body and Practical Knowledge in Zhu Xi’s Theory of Cultivation
국제중국학연구 |
|
13 |
2010 |
중국어와문학
생태적 미래와 자발적 가난 - 格物致知를 통한 인식과 수양을 중심으로 -
An Ecological Future and a Voluntary Poverty: the cognition and cultivation through investigat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생태적 미래와 자발적 가난 - 格物致知를 통한 인식과 수양을 중심으로 -
An Ecological Future and a Voluntary Poverty: the cognition and cultivation through investigat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웅십력의 성지 수양법 — ‘格物致知’ 논변을 중심으로 —
A Study of Xiong Xhi Li's Xing Zhi Cultivation of the mind
동양철학연구 |
71 |
2012 |
철학
從工夫論看朱子知識論的意義 - 以身體與實踐知的關係爲中心
The Relation of Body and Practical Knowledge in Zhu Xi’s Theory of Cultivation
국제중국학연구 |
13 |
2010 |
중국어와문학
從工夫論看朱子知識論的意義 - 以身體與實踐知的關係爲中心
The Relation of Body and Practical Knowledge in Zhu Xi’s Theory of Cultivation
국제중국학연구 |
|
13 |
2010 |
중국어와문학
한말 근대개혁의 추진과 ‘格物致知’ 인식의 변화
The Promotion of Modern Reformation and Change of ‘GyeokMulChiJi’ Recognition, 1880~1905
역사교육 |
114 |
2010 |
역사학
한말 근대개혁의 추진과 ‘格物致知’ 인식의 변화
The Promotion of Modern Reformation and Change of ‘GyeokMulChiJi’ Recognition, 1880~1905
역사교육 |
|
114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