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양명

연구분야 : A030303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A020304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중국근세사(명청)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3680

STNet ID : 1002545

한자 : 王陽明
기타 : Wang Yang-Ming
중국어 : 王阳明
시호(諡號) : 문성(文成)
호(號) : 양명(陽明)

y01-01 실존인물

시대

명시대 (明時代)

출생지

중국 (中國)

이론/사상

양명학 (陽明學)

생몰년_t

1472 - 1529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본명

 

왕수인 [ 王守仁 ]

UF (비우선어)

이름/자

 

백안 [ 伯安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전덕홍 [ 錢德洪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왕용계 [ 王龍溪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치양지설 [ 致良知說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지행합일설 () [ 知行合一說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심즉리설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육구연 [ 陸九淵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주자 (1130-1200) [ 朱子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성리학 () [ 性理學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왕심재 [ 王心齋 ]

RT (관련어)

사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황종희 [ 黃宗羲 ]

RT (관련어)

지양함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정좌 [ 靜坐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나흠순 () [ 羅欽順 ]

1920년대 재북경 한인 革命社의 『革命』 발간과 혁명운동

Organization of “Hyeokmyeongsa - Revolutionary Society” in 1920s and its activities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6 | 2010 | 역사학

왕양명의 격물공부론

Wang Yang-ming's the kungfu-theory(工夫論)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교육사학연구 | 21 | 2 | 2011 | 교육사학

立志의 의미와 교육적 해석

A Search on Meaning of Li-zhi and its Educational interpretation

동방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立志의 의미와 교육적 해석

A Search on Meaning of Li-zhi and its Educational interpretation

동방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왕양명의 주륙관 연구 — 「주자만년정론」을 중심으로 —

王陽明的朱陸觀 硏究 - 以「朱子晩年定論」爲中心

동방학 | 23 | 2012 | 기타인문학

萬物一體論과 人物性同異論을 통해 본 明 儒學과 朝鮮 儒學의 비교

A Comparative Philosoph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ing and Chosun Confucianism : Focusing on Theory of ‘All creation is one body’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

유교사상문화연구 | 39 | 2010 | 유교학

萬物一體論과 人物性同異論을 통해 본 明 儒學과 朝鮮 儒學의 비교

A Comparative Philosoph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ing and Chosun Confucianism : Focusing on Theory of ‘All creation is one body’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

유교사상문화연구 | | 39 | 2010 | 유교학

咸錫憲과 陽明學 - 「한 사람: 王陽明, 大學問」을 중심으로 -

Ham seokhon and Yangming-xue

양명학 | 32 | 2012 | 철학

남명 조식 사상의 성격 규정과 양명학적 경향

Namyung Josick's Theory and an inclination for Yangming School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王龍溪의 良知論 연구

A Study on the Liang zhi theory of Wang Long xi

중국학논총 | 35 | 2012 | 중국문화학

李退渓の「誠」と王陽明の「誠」─ 二人の思想の類似性をめぐって ─

유학연구 | 23 | 2010 | 철학

李退渓の「誠」と王陽明の「誠」─ 二人の思想の類似性をめぐって ─

유학연구 | 23 | | 2010 | 철학

조선 후기 문인들의 王守仁 文學에 대한 認識과 評價

The Realization And Criticism On WángShǒurén[王守仁]’s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3 | 2011 | 한문비평

주자와 왕양명의 체용론 비교 연구

朱子與陽明的體用論比較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关于李退溪对阳明学之批判的研究

유학연구 | 21 | 2010 | 철학

关于李退溪对阳明学之批判的研究

유학연구 | 21 | | 2010 | 철학

양명학에서의 兒童觀 고찰

A Study on Philosophy of Wang yang-ming’s conception of child

양명학 | 32 | 2012 | 철학

올바른 양명학 이해를 위한 3가지 문제

阳明良知学的三个课题

동양철학연구 | 69 | 2012 | 철학

소크라테스와 왕양명의 지행합일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neness between knowledge and conduct in SOCRTES and WAGN YANG-Ming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2 | 2012 | 원불교학

제4장 왕양명의 良知와 致良知에 의한 도덕과 통일교육 방안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moral education subject by Wang Yang Ming's Yang Zhi(良知) and Chi Yang Zhi(致良知)

통일전략 | 11 | 2 | 2011 | 북한정치/통일

경계(boundary)와 정체성 - 왕양명과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중심으로 -

Boundary and Identity : with special reference to Wang Yang-Ming and Wittgenstein’ Philosophy

양명학 | 26 | 2010 | 철학

경계(boundary)와 정체성 - 왕양명과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중심으로 -

Boundary and Identity : with special reference to Wang Yang-Ming and Wittgenstein’ Philosophy

양명학 | | 26 | 2010 | 철학

龙溪与绪山对四句教的诠释

용계와 서산의 사구교 해석

퇴계학논총 | 17 | 2011 | 기타인문학

공감적 영성의 발견과 인간 및 자연과의 관계 회복 - 왕양명의 심학을 중심으로 -

The Discovery of Compassionate Human Divinity and Recovery of the Relationship with People and the Universe - Focused on Wang Yangming’s Mind-Heart learning -

양명학 | 32 | 2012 | 철학

王守仁의 心學에서 植物과 鑛物 비유의 의의

A meaning of the metaphors of plants and minerals in Wang Shouren' Sinxue.

환경철학 | 11 | 2011 | 과학/자연철학

양명 사구교 해석을 둘러싼 본체⋅공부 논쟁의 전개과정 - ‘무선무악심지체’ 해석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the argument about reality and painstaking in Wangyangming's Four-Sentence Teaching -around 'no Goodness and Badness'

한국철학논집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양명 사구교 해석을 둘러싼 본체⋅공부 논쟁의 전개과정 - ‘무선무악심지체’ 해석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the argument about reality and painstaking in Wangyangming's Four-Sentence Teaching -around 'no Goodness and Badness'

한국철학논집 |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陽明 哲學의 意義와 그 批判

陽明哲學之意義及其批判

양명학 | 32 | 2012 | 철학

양명철학에서 도덕의 보편성 문제

阳明哲学的道德普遍性问题

양명학 | 30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