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知行論’을 통해 본 禪, 陽明學, 四象醫學의 人間論
The Theories of Humanity in Chan, Yang-ming Studies, and Sasang Medicine in Terms of the ‘Theory of Knowledge and Conduct’
禪學(선학) |
31 |
2012 |
응용불교학
맹자철학에 대한 해석과 조선유학의 전개 -‘心性論’을 중심으로-
The Interpretation of Mencius’s Philosophy and Development of Joseon Confucianism
동아인문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儒學에서의 正統과 異端 -朱子學的 道統論에 대한 陽明學의 대응을 중심으로-
Orthodoxy(正統) and Heterodoxy(異端) in Confucianism(儒學) - Centering on a Countermeasure in Yangming Studies(陽明學) Against the theory of Dao-tong(道統論) in Zhuxi Studies-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儒學에서의 正統과 異端 -朱子學的 道統論에 대한 陽明學의 대응을 중심으로-
Orthodoxy(正統) and Heterodoxy(異端) in Confucianism(儒學) - Centering on a Countermeasure in Yangming Studies(陽明學) Against the theory of Dao-tong(道統論) in Zhuxi Studies-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
元代 吳澄의 心學과 王陽明의 「朱子晩年定論」
元代吳澄的心學与王陽明的“朱子晩年定論”
한국학논총 |
33 |
2010 |
역사이론
元代 吳澄의 心學과 王陽明의 「朱子晩年定論」
元代吳澄的心學与王陽明的“朱子晩年定論”
한국학논총 |
33 |
|
2010 |
역사이론
조선후기 문풍의 변화와 이용휴의 글쓰기
Changes in Literary Trend During the Late Joseon and Lee Yong-hyu's Writing
동양고전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문인들의 서신을 통한 성운 인식 고찰 ― 최석정과 정제두의 서신을 중심으로 ―
Recognition of Phonology through Correspondence between Scholars during Late Yi Dynasty
중국언어연구 |
38 |
2012 |
중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생명윤리에 대한 儒家思想의 현재성
Confucianism in Bioethical Issues
석당논총 |
50 |
2011 |
기타인문학
寒洲學派의 心卽理說 批判에 대한 再批判的 論究 - 이승희·허유·곽종석·김황 등을 중심으로 -
Why did the HanJu school dispute against other's criticism on 'Mind is principle', and What for their dispute?
유교사상문화연구 |
43 |
2011 |
유교학
위당 정인보의 조선학 성립배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 background of Wi-dang(爲堂) Jeong-Inbo (鄭寅普)' Choseon-hak(朝鮮學)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위당 정인보의 조선학 성립배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 background of Wi-dang(爲堂) Jeong-Inbo (鄭寅普)' Choseon-hak(朝鮮學)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마음의 본질과 현상의 스펙트럼 — 불교의 유식학(唯識學)과 유교의 심학(心學)을 중심으로 —
The Essence of the Mind and its Phenomenal Spectrum — based on the Yogācāra of Buddhism and the Mind Studies of Confucianism —
종교연구 |
66 |
2012 |
종교학
마음의 본질과 현상의 스펙트럼 — 불교의 유식학(唯識學)과 유교의 심학(心學)을 중심으로 —
The Essence of the Mind and its Phenomenal Spectrum — based on the Yogācāra of Buddhism and the Mind Studies of Confucianism —
종교연구 |
66 |
2012 |
종교학
사단칠정론과 모종삼
The Four-Seven Debate and Mou Zongsan
철학논집 |
29 |
2012 |
철학
明末 東林學과 조선후기 유학의 반응
Doctrine of Donglin in late Ming Dynasty of China and its acceptance on the Confucianism in late Joseon Dynasty of Korea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明末 東林學과 조선후기 유학의 반응
Doctrine of Donglin in late Ming Dynasty of China and its acceptance on the Confucianism in late Joseon Dynasty of Korea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擧業을 통해 본 明末의 科擧와 學問
虚業からみた明末の科挙と学問
양명학 |
29 |
2011 |
철학
溪南 崔琡民의 삶과 學問傾向
The life and Academic Inclination of Choi Sukmin using a pen name of Gyenam
南冥學硏究 |
30 |
2010 |
철학
溪南 崔琡民의 삶과 學問傾向
The life and Academic Inclination of Choi Sukmin using a pen name of Gyenam
南冥學硏究 |
|
30 |
2010 |
철학
연천 홍석주의 고증학 비판양상과 그 의미
A crituque style of Yeon Cheon Hong Seok-Joo’s Kho Jeung Science and its implicatio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2 |
2011 |
한문비평
朝鮮에서 朱子 『大学章句』에 대한 한 挑戦 - 盧守愼의 『大學集錄』을 中心으로 -
朝鮮における朱子『大学章句』に対する一挑戦 ― 盧守慎の 「大学集録」を中心として ―
양명학 |
27 |
2010 |
철학
朝鮮에서 朱子 『大学章句』에 대한 한 挑戦 - 盧守愼의 『大學集錄』을 中心으로 -
朝鮮における朱子『大学章句』に対する一挑戦 ― 盧守慎の 「大学集録」を中心として ―
양명학 |
|
27 |
2010 |
철학
咸錫憲과 陽明學 - 「한 사람: 王陽明, 大學問」을 중심으로 -
Ham seokhon and Yangming-xue
양명학 |
32 |
2012 |
철학
茂亭 鄭萬朝의 친일로 가는 思惟
A study of the reason of Moojung Jeong Man-jo's pro-Japanese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茂亭 鄭萬朝의 친일로 가는 思惟
A study of the reason of Moojung Jeong Man-jo's pro-Japanese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남명 조식 사상의 성격 규정과 양명학적 경향
Namyung Josick's Theory and an inclination for Yangming School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연천 홍석주의 고증학 비판양상과 그 의미
A crituque style of Yeon Cheon Hong Seok-Joo’s Kho Jeung Science and its implicatio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2 |
2011 |
한문비평
“기질(氣質)은 선(善)한가” : 아버지 원교의 양명학과 아들 신재의 주자학
“Is the ‘Gijil’(氣質, Innate Characters) of Everyone Good?”: Won-gyo’s Idealism and His Son Sinjae’s Realism
한국학 |
34 |
2 |
2011 |
기타인문학
전지구화, 대상과 지역 간 공생 사유의 양명학적 접근 - 근대전환기 담사동의 ‘통’ 사상을 중심으로 -
The approach to the matter of globalization, objects and localities through benevolent thought of Yangming school - Centered on T'an Ssu-t'ung’s idea of interconnectedness in modern China -
양명학 |
28 |
2011 |
철학
양수명의 유학관 고찰 ― 양명학을 통한 선진유학의 재해석 ―
On Liang Shu-ming's Confucianism
동양철학 |
33 |
2010 |
철학
양수명의 유학관 고찰 ― 양명학을 통한 선진유학의 재해석 ―
On Liang Shu-ming's Confucianism
동양철학 |
|
33 |
2010 |
철학
凡父 金鼎卨의 陽明學 이해에 대한 試論
A study of Beombu Kim Jeong Seol’s Yang-Ming study
양명학 |
27 |
2010 |
철학
凡父 金鼎卨의 陽明學 이해에 대한 試論
A study of Beombu Kim Jeong Seol’s Yang-Ming study
양명학 |
|
27 |
2010 |
철학
寒洲學派의 心卽理說 批判에 대한 再批判的 論究 - 이승희·허유·곽종석·김황 등을 중심으로 -
Why did the HanJu school dispute against other's criticism on 'Mind is principle', and What for their dispute?
유교사상문화연구 |
43 |
2011 |
유교학
조선시대 反양명학 문헌 조사 및 추출을 통한 양명학 비판 내용의 성향 분석과 反양명학 사조의 흐름에 나타난 특징 연구 [1]
通过朝鲜时代反阳明学文献之调查 关于对阳明学批判性立场和批判性思潮特征的研究 (一)
양명학 |
31 |
2012 |
철학
즙산학파와 그 문인집단에 관한 연구
Study of School of Jishan and its scholar group
동서철학연구 |
58 |
2010 |
철학
즙산학파와 그 문인집단에 관한 연구
Study of School of Jishan and its scholar group
동서철학연구 |
|
58 |
2010 |
철학
양명학과 도가사상 : 이지의 도가사상 연구의 양명학적 동기 분석을 중심으로
Yangming learning and Daoism: Li Zhi’s Philosophical Motive for Daoist Studies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양명학과 도가사상 : 이지의 도가사상 연구의 양명학적 동기 분석을 중심으로
Yangming learning and Daoism: Li Zhi’s Philosophical Motive for Daoist Studies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王守仁의 心學에서 植物과 鑛物 비유의 의의
A meaning of the metaphors of plants and minerals in Wang Shouren' Sinxue.
환경철학 |
11 |
2011 |
과학/자연철학
明齋 尹拯과 霞谷 鄭齊斗의 交遊
The association between Yun jeng and Jung je du
시대와 철학 |
21 |
1 |
2010 |
철학
明齋 尹拯과 霞谷 鄭齊斗의 交遊
The association between Yun jeng and Jung je du
시대와 철학 |
21 |
1 |
2010 |
철학
1910년대 『매일신보』에 비친 유교의 모습
從1910年代『每日申报』看日本儒教之面貌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20 |
2012 |
유교학
『月汀集』의 知性史的 意味와 位相 -尹根壽의 학문과 문학에 대한 조망을 겸하여-
Meaning and Status of 『Woljeongjip(月汀集)』 in the Intellectual History -Together with Outlook on Studies and Literature of Yoon Keunsoo(尹根壽)-
민족문화 |
39 |
39 |
2012 |
기타인문학
李卓吾와 조선후기 「童心」의 사유양상에 대한 고찰
중국어문학논집 |
64 |
2010 |
중국어와문학
李卓吾와 조선후기 「童心」의 사유양상에 대한 고찰
중국어문학논집 |
|
64 |
2010 |
중국어와문학
“기질(氣質)은 선(善)한가” : 아버지 원교의 양명학과 아들 신재의 주자학
“Is the ‘Gijil’(氣質, Innate Characters) of Everyone Good?”: Won-gyo’s Idealism and His Son Sinjae’s Realism
한국학 |
34 |
2 |
2011 |
기타인문학
‘知行論’을 통해 본 禪, 陽明學, 四象醫學의 人間論
The Theories of Humanity in Chan, Yang-ming Studies, and Sasang Medicine in Terms of the ‘Theory of Knowledge and Conduct’
禪學(선학) |
31 |
2012 |
응용불교학
하곡철학에서 주자학과 양명학의 융합 ― 지식과 도덕을 중심으로 ―
霞谷哲學的特徵: 朱子學和陽明學的融合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하곡철학에서 주자학과 양명학의 융합 ― 지식과 도덕을 중심으로 ―
霞谷哲學的特徵: 朱子學和陽明學的融合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王守仁의 心學에서 植物과 鑛物 비유의 의의
A meaning of the metaphors of plants and minerals in Wang Shouren' Sinxue.
환경철학 |
11 |
2011 |
과학/자연철학
하곡 정제두의 『대학』관에 나타난 한국적 양명학의 탄생 고찰
A Study on Hagok Chong Che-du’s Understanding of Daehak(Great learning)
漢文古典硏究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하곡 정제두의 『대학』관에 나타난 한국적 양명학의 탄생 고찰
A Study on Hagok Chong Che-du’s Understanding of Daehak(Great learning)
漢文古典硏究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退溪學を形成するもの(Ⅱ) — <心經附註>の史的地位—
퇴계학을 형성하는 것(Ⅱ)— <심경부주>의 사적지위 —
퇴계학논총 |
16 |
2010 |
기타인문학
退溪學を形成するもの(Ⅱ) — <心經附註>の史的地位—
퇴계학을 형성하는 것(Ⅱ)— <심경부주>의 사적지위 —
퇴계학논총 |
|
16 |
2010 |
기타인문학
退溪學を形成するもの(Ⅱ) — <心經附註>の史的地位—
퇴계학을 형성하는 것(Ⅱ)— <심경부주>의 사적지위 —
퇴계학논총 |
16 |
2010 |
기타인문학
退溪學を形成するもの(Ⅱ) — <心經附註>の史的地位—
퇴계학을 형성하는 것(Ⅱ)— <심경부주>의 사적지위 —
퇴계학논총 |
|
16 |
2010 |
기타인문학
燕巖 朴趾源의 만년 思想에 대한 再論 -맹인 설화와 「答任亨五論原道書」를 중심으로-
Rediscussion About Yeonam Park Ji-Won's Ideology in His Later Years - With a focus on the Blindman tale and Dapimhyeongononwondoseo -
한국한문학연구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燕巖 朴趾源의 만년 思想에 대한 再論 -맹인 설화와 「答任亨五論原道書」를 중심으로-
Rediscussion About Yeonam Park Ji-Won's Ideology in His Later Years - With a focus on the Blindman tale and Dapimhyeongononwondoseo -
한국한문학연구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과정철학에서 본 주자학과 양명학
Zhu Xi`s Thought and Yangming`s Thought Compared with the Process Philosophy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과정철학에서 본 주자학과 양명학
Zhu Xi`s Thought and Yangming`s Thought Compared with the Process Philosophy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薝園 鄭寅普의 주체적 實心論
Damwon Jeong In‐bo’s Subjective Sil‐Sim‐Ron
유교사상문화연구 |
48 |
2012 |
유교학
모종삼의 양명학 연구에 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 on Mo Zong San's view of Yangming study
철학논집 |
29 |
2012 |
철학
조선 중후기 유학의 가족 인식 - 霞谷 철학의 양명학적 특성과 가족 감정을 중심으로 -
Perception of “Family” in Confucianism from Middle to the End of Chosun Dynasty - Focusing on the family emotion portrayed in Ha-gok’s Philosophy -
양명학 |
25 |
2010 |
철학
조선 중후기 유학의 가족 인식 - 霞谷 철학의 양명학적 특성과 가족 감정을 중심으로 -
Perception of “Family” in Confucianism from Middle to the End of Chosun Dynasty - Focusing on the family emotion portrayed in Ha-gok’s Philosophy -
양명학 |
|
25 |
2010 |
철학
『四書評』의 眞僞 논쟁과 이탁오의 경학
The Controversy about Authenticity of Saseopyung and Li, Zhuo-Wu’s Gyeonghak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양명학 |
25 |
2010 |
철학
『四書評』의 眞僞 논쟁과 이탁오의 경학
The Controversy about Authenticity of Saseopyung and Li, Zhuo-Wu’s Gyeonghak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양명학 |
|
25 |
2010 |
철학
서애 유성룡의 양명학에 대한 관심과 퇴계심학의 전개
Interest in the Yangmingxue in Seoae Ryu SeongRyong and Development of ‘ToegyeSimhak’
양명학 |
31 |
2012 |
철학
鄭寅普가 구성한 조선후기 문화사
Cultural History of the Latter Half of Chosǒn Dynasty Organized by Jung, In-bo
역사와 담론 |
56 |
2010 |
역사학
鄭寅普가 구성한 조선후기 문화사
Cultural History of the Latter Half of Chosǒn Dynasty Organized by Jung, In-bo
역사와 담론 |
|
56 |
2010 |
역사학
道統論에서 본 陽明學의 實像과 虛像 - 儒敎史와 劉宗周의 道統論을 중심으로 -
Reality and virtuality of Yangming Studies in terms of the Daotong theory
양명학 |
26 |
2010 |
철학
道統論에서 본 陽明學의 實像과 虛像 - 儒敎史와 劉宗周의 道統論을 중심으로 -
Reality and virtuality of Yangming Studies in terms of the Daotong theory
양명학 |
|
26 |
2010 |
철학
여성주의 철학 상담을 위한 양명학적 사유의 전망
Yang-ming Studies’ prospect for Feminist Philosophical Counseling
양명학 |
29 |
2011 |
철학
구양덕의 양지 본체론과 치양지 공부론
歐陽德的良知本体論與致良知工夫論
양명학 |
29 |
2011 |
철학
켄 윌버 시각에서 본 양명학과 주자학 - 양명의 종교적 영성의 문제와 그 한계를 중심으로 -
Ken Wilber and Wang, Yangming
양명학 |
30 |
2011 |
철학
王陽明의 실천론과 萬物一體 사상을 기반으로 한 武道의 道德性 탐색
An Exploration of morality of Mu-Do based on Wang Yang-ming`s knowledge as action and the philosophy of all thing as one body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2 |
2010 |
체육
王陽明의 실천론과 萬物一體 사상을 기반으로 한 武道의 道德性 탐색
An Exploration of morality of Mu-Do based on Wang Yang-ming`s knowledge as action and the philosophy of all thing as one body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2 |
2010 |
체육
陽明學 및 東亞 공동체 -東亞 공동체의 陽明사상의 지탱 및 구축
阳明学与东亚共同体 —支撑构建东亚共同体的阳明思想
유학연구 |
22 |
2010 |
철학
陽明學 및 東亞 공동체 -東亞 공동체의 陽明사상의 지탱 및 구축
阳明学与东亚共同体 —支撑构建东亚共同体的阳明思想
유학연구 |
22 |
|
2010 |
철학
왕양명의 『주역』 이해
王阳明对周易的理解
양명학 |
28 |
2011 |
철학
閔以升 智性論의 轉變
閔以升 智性論的 轉變
양명학 |
29 |
2011 |
철학
顔山農「急救心火榜文」的心理治療意義
양명학 |
30 |
2011 |
철학
양명학과 체육학의 만남과 소통
陽明学と体育学との疎通
유학연구 |
22 |
2010 |
철학
양명학과 체육학의 만남과 소통
陽明学と体育学との疎通
유학연구 |
22 |
|
2010 |
철학
한국 양명학의 신행정학적 해석 : 정제두의 經世論을 중심으로
An Interpretation of Yang-Ming Studies in Public Administration
인천학연구 |
1 |
13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양명학의 신행정학적 해석 : 정제두의 經世論을 중심으로
An Interpretation of Yang-Ming Studies in Public Administration
인천학연구 |
1 |
13 |
2010 |
기타인문학
양명학의 ‘한 몸’ 이미지에 대한 여성주의 이해
Feministic Understanding on the Image of 'One Body' in Yang-ming Studies
유학연구 |
22 |
2010 |
철학
양명학의 ‘한 몸’ 이미지에 대한 여성주의 이해
Feministic Understanding on the Image of 'One Body' in Yang-ming Studies
유학연구 |
22 |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