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전통적 놀이관의 지속과 변용-유학자들의 활쏘기관과 장기바둑관에 주안하여-
Mainten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n Play-Focusing on Confucian Scholars’ Perspectives on Archery and Janggi-
비교민속학 |
43 |
2010 |
역사학
전통적 놀이관의 지속과 변용-유학자들의 활쏘기관과 장기바둑관에 주안하여-
Mainten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n Play-Focusing on Confucian Scholars’ Perspectives on Archery and Janggi-
비교민속학 |
|
43 |
2010 |
역사학
'격물치지론'의 문학교육적 함의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hu Hsi's ko-wu chih-chih theory(격물치지론)
국어교육 |
134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