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학

연구분야 : A030303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113

한자 : 朱子學
영어 : Zhuzixue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성리학 () [ 性理學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객관적 관념론 [ 客觀的觀念論 ]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송명 유가 철학 [ 宋明儒家哲學 ]

R1:개념적

affects (영향)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서얼 [ 庶孼 ]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남명학 [ 南冥學 ]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고학 [ 古學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나흠순 () [ 羅欽順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격물 [ 格物 ]

isConceptOf (개념(전체))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주자학적 세계관 [ 朱子學的世界觀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하학이상달 [ 下學而上達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청대 유가 철학 [ 淸代儒家哲學 ]

RT (관련어)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사문난적 [ 斯文亂賊 ]

RT (관련어)

별칭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도학 () [ 道學 ]

RT (관련어)

 

 

선지후행 () [ 先知後行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주자학적 자연관 [ 朱子學的自然觀 ]

조선초기 儀禮 제정과 犧尊·象尊의 역사적 의미

The Ritual enactment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historical meaning of the Huijun․Sangjun

조선시대사학보 | 60 | 2012 | 역사학

文獻을 통해 본 韓國人의 一生儀禮

The Ceremonies of one's lifetime of Koreans in Pre-modern Times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文獻을 통해 본 韓國人의 一生儀禮

The Ceremonies of one's lifetime of Koreans in Pre-modern Times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영남 유학과 ‘낙중학’

嶺南儒學與 ‘洛中學’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영남 유학과 ‘낙중학’

嶺南儒學與 ‘洛中學’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포은 정몽주와 ‘洛中’ 포은 학맥의 도학사상 -鄭夢周, 吉再, 洪魯를 중심으로-

圃隱鄭夢周和‘洛中’圃隱學脈的道學思想 -以鄭夢周、吉再、洪魯為中心-

포은학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포은 정몽주와 ‘洛中’ 포은 학맥의 도학사상 -鄭夢周, 吉再, 洪魯를 중심으로-

圃隱鄭夢周和‘洛中’圃隱學脈的道學思想 -以鄭夢周、吉再、洪魯為中心-

포은학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맹자철학에 대한 해석과 조선유학의 전개 -‘心性論’을 중심으로-

The Interpretation of Mencius’s Philosophy and Development of Joseon Confucianism

동아인문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響山 李晩燾의 생애와 순국

Hyangsan Lee, Man-do’s Life and His Dying for the Fatherland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7 | 2010 | 역사학

響山 李晩燾의 생애와 순국

Hyangsan Lee, Man-do’s Life and His Dying for the Fatherland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7 | 2010 | 역사학

여말선초 영남사림의 ‘도통’과 ‘학통’

The Scholastic Lineage of Dotong and Haktong of Yeongnam 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우계학파(牛溪學派)의 학맥과 학풍

The Academic Root and Tradition of Woogye School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현암 이을호의 삶과 학문

The life and study of Lee Eul-ho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현암 이을호의 삶과 학문

The life and study of Lee Eul-ho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우계학파(牛溪學派)의 학맥과 학풍

The Academic Root and Tradition of Woogye School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韓·中·日 莊子學의 비교 검토를 통한 朴世堂·韓元震의 莊子注 연구 - 南宋 林希逸, 에도 하야시라잔과의 비교 검토를 중심으로 -

Commentary of Zhuangzi in the Chosun dynasty - Compared to the Studies on Zhuangzi of Lin Xiyi in the Southern Song period and of Hayash Lazan in the Edo period -

양명학 | 25 | 2010 | 철학

韓·中·日 莊子學의 비교 검토를 통한 朴世堂·韓元震의 莊子注 연구 - 南宋 林希逸, 에도 하야시라잔과의 비교 검토를 중심으로 -

Commentary of Zhuangzi in the Chosun dynasty - Compared to the Studies on Zhuangzi of Lin Xiyi in the Southern Song period and of Hayash Lazan in the Edo period -

양명학 | | 25 | 2010 | 철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西人 ㆍ 老論의 풍속인식과 그 기원

Recognition of Folk Lore taken by Seoin and Noron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and its origin

사학연구 | 102 | 2011 | 역사학

16세기 오륜시조 출현의 시기적 조건과 그 정치적 의미

The seasonal conditions of Oryun-sijo's emergence in 16th Century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15세기 朝家의 吉再 追崇과 인식

A Study on the Reverence of Gil-Jae in 15th century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桃灘 邊士貞論 -지리산 자락에서 꽃핀 劇的 人生 變奏-

Study on Dotan Byun Sajeong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儒學에서의 正統과 異端 -朱子學的 道統論에 대한 陽明學의 대응을 중심으로-

Orthodoxy(正統) and Heterodoxy(異端) in Confucianism(儒學) - Centering on a Countermeasure in Yangming Studies(陽明學) Against the theory of Dao-tong(道統論) in Zhuxi Studies-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儒學에서의 正統과 異端 -朱子學的 道統論에 대한 陽明學의 대응을 중심으로-

Orthodoxy(正統) and Heterodoxy(異端) in Confucianism(儒學) - Centering on a Countermeasure in Yangming Studies(陽明學) Against the theory of Dao-tong(道統論) in Zhuxi Studies-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

소혜왕후 『內訓』의 『小學』수용 양상과 의미

What kind of Knowledge did Naehun Accept of from Sohak?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소혜왕후 『內訓』의 『小學』수용 양상과 의미

What kind of Knowledge did Naehun Accept of from Sohak?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니시 아마네(西周)에 있어서 ‘理’ 관념의 전회와 그 인간학적 취약성

The Change of the Concept of ‘Ri’ by Nishi Amane and its Anthropological Weakness

대동문화연구 | 73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 예학사상의 근대적 해석에 관한 小考 − 호르크하이머의 사회철학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Study of Rites in the Joseon Dynasty - With Focus on the Social Philosophy of Adorno and Horkheimer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조선 예학사상의 근대적 해석에 관한 小考 − 호르크하이머의 사회철학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Study of Rites in the Joseon Dynasty - With Focus on the Social Philosophy of Adorno and Horkheimer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남명 조식 철학 사상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to the Results of Studies on Cho Sik’s Philosophy and Thought

南冥學硏究 | 35 | 2012 | 철학

馮友蘭의 新理學과 朱子學 이해

馮友蘭的新理學和朱子學理解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馮友蘭의 新理學과 朱子學 이해

馮友蘭的新理學和朱子學理解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학맥의 관점에서 본 휴암 백인걸

論學脈觀點上之休庵白仁杰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響山 李晩燾의 自尊的 삶과 殉國

Hyangsan Lee, Man-do's self-esteemed life and martyr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響山 李晩燾의 自尊的 삶과 殉國

Hyangsan Lee, Man-do's self-esteemed life and martyr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다산 정약용의 인간이해와 근대성

An Analysis of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Dasan’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

明齋 尹拯과 霞谷 鄭齊斗의 交遊

The association between Yun jeng and Jung je du

시대와 철학 | 21 | 1 | 2010 | 철학

明齋 尹拯과 霞谷 鄭齊斗의 交遊

The association between Yun jeng and Jung je du

시대와 철학 | 21 | 1 | 2010 | 철학

馮友蘭의 新理學과 朱子學 이해

馮友蘭的新理學和朱子學理解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馮友蘭의 新理學과 朱子學 이해

馮友蘭的新理學和朱子學理解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고봉 기대승의 낙향과 삶으로서의 철학 -비애의 정조를 넘어서-

Gobong GiDaeSeung’s Rustication and his Philosophy as life – Overcoming the Sentiment of Sorrow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柳健休의 『異學集辨』에 나타난 불교 비판 의식

Consciousness about the Buddhist critique that appeared in the Ihagjibbyeon(『이학집변』) of the Lyu-gunhyu(류건휴)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조선시대 유학 교육과정의 변천과 그 특징

朝鲜时代儒学课程的变迁及其特征

한국교육사학 | 33 | 3 | 2011 | 교육학

남명학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재성찰

关于对南冥学研究的几点再省察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柳健休의 『異學集辨』에 나타난 불교 비판 의식

Consciousness about the Buddhist critique that appeared in the Ihagjibbyeon(『이학집변』) of the Lyu-gunhyu(류건휴)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退溪와 龜巖의 往復書翰

The Exchanged Letters between Toigye(退溪) and Guam(龜巖)

영남학 | 47 | 2010 | 유교학

退溪와 龜巖의 往復書翰

The Exchanged Letters between Toigye(退溪) and Guam(龜巖)

영남학 | | 47 | 2010 | 유교학

退溪와 龜巖의 往復書翰

The Exchanged Letters between Toigye(退溪) and Guam(龜巖)

영남학 | 47 | 2010 | 유교학

退溪와 龜巖의 往復書翰

The Exchanged Letters between Toigye(退溪) and Guam(龜巖)

영남학 | | 47 | 2010 | 유교학

우계 성혼의 '상우(尙友)' 지향

牛溪 成渾의 ‘尙友’ 指向

인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마음의 본질과 현상의 스펙트럼 — 불교의 유식학(唯識學)과 유교의 심학(心學)을 중심으로 —

The Essence of the Mind and its Phenomenal Spectrum — based on the Yogācāra of Buddhism and the Mind Studies of Confucianism —

종교연구 | 66 | 2012 | 종교학

사단칠정론과 모종삼

The Four-Seven Debate and Mou Zongsan

철학논집 | 29 | 2012 | 철학

明末淸初 顔元의 학문과 사상에 대하여

Research on Yan Yuan’ s Pragmatic Thought

南冥學硏究 | 29 | 2010 | 철학

正統과 異端, 그 역사와 본질 - 율곡을 중심으로 -

Orthodoxy and Heterodoxy, Their History and Substance : Focuses on YulGok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正統과 異端, 그 역사와 본질 - 율곡을 중심으로 -

Orthodoxy and Heterodoxy, Their History and Substance : Focuses on YulGok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

石川 金覺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A Study on the spiritual sphere in Seokcheon KimGak's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紹修書院 건립의 문화적 토대 연구 - 晦軒 安珦의 선비정신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foundations of culture established the Sosu Seowon

동양고전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마음의 본질과 현상의 스펙트럼 — 불교의 유식학(唯識學)과 유교의 심학(心學)을 중심으로 —

The Essence of the Mind and its Phenomenal Spectrum — based on the Yogācāra of Buddhism and the Mind Studies of Confucianism —

종교연구 | 66 | 2012 | 종교학

明末 東林學과 조선후기 유학의 반응

Doctrine of Donglin in late Ming Dynasty of China and its acceptance on the Confucianism in late Joseon Dynasty of Korea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明末 東林學과 조선후기 유학의 반응

Doctrine of Donglin in late Ming Dynasty of China and its acceptance on the Confucianism in late Joseon Dynasty of Korea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후기 經書類 언해에 대한 사대부 기록의 양상 - 해석적 오류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Aspect of Sadaebu(士大夫) Record on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Korean annotation) in Late Joseon Period - Centering on Recognition of Analytical Error -

Journal of korean Culture | 17 | 2011 | 현대시(국문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論語>경학에서의 ‘學’ 개념과 그 인식 층위-조선 주자학자의 ‘學而時習之’章 주석을 중심으로-

The Concept of 'Learning' in the Hermeneutics of Confucian Analects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論語>경학에서의 ‘學’ 개념과 그 인식 층위-조선 주자학자의 ‘學而時習之’章 주석을 중심으로-

The Concept of 'Learning' in the Hermeneutics of Confucian Analects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性理精義』와 西學

Xingli Jingyi and Western Learning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전통적 學 개념과 퇴·율 성학의 이학-심학 연관 구조

A study on the traditional “Study(學)"concept and correlation of LiXue(理學) and XinXue(心學) in Toegye and Yulgok's the study of being Sage(聖學)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전통적 學 개념과 퇴·율 성학의 이학-심학 연관 구조

A study on the traditional “Study(學)"concept and correlation of LiXue(理學) and XinXue(心學) in Toegye and Yulgok's the study of being Sage(聖學)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이언적의 태극론과 도덕론 일고

Understanding on Hoejae Lee eun-juck's morality and taeguk theory

한국사상과 문화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언적의 태극론과 도덕론 일고

Understanding on Hoejae Lee eun-juck's morality and taeguk theory

한국사상과 문화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유교사상의 성립, 계승과정과 효교육문화의 세계화방향(1) - 우리 고유사상을 계승한 유교사상

The Formation of Confucian Ideas, Process of Changes and Global Direction of Educational Cultures of Filial Piety(1) - Focused on the Educational Cultures of Filial Piety and Our Own Thoughts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艮齋 田愚의 『臼山先生風雅』 硏究

The Study on Gan-Jae Jeon-u's GuSan-SeonSaeng-PungaA

동방한문학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李崇仁의 삶과 足跡에 대한 평가

An Evaluation on the Life and Mark of Lee, Sung-in(李崇仁)

한국사상과 문화 | 62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전기 사림파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Sarim Party's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Chŏsun Dynasty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최근 한국의 일본유학 연구 현황(2007-2009년)

Recent Studies on Japanese Confucianism Research in Korea (2007-2009)

한국철학논집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조의 사대부 인식과 정치철학적 입장 연구

Study on viewpoints of Jôngjo(正祖) about Sadaebuthe and his political philosophy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정조의 사대부 인식과 정치철학적 입장 연구

Study on viewpoints of Jôngjo(正祖) about Sadaebuthe and his political philosophy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17世紀 經學方法論 硏究 ‐獨創性 및 批判性을 尺度로 한 經學硏究를 대신하여‐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Jingxue [經學] in the 17th century

퇴계학보 | 128 | 2010 | 유교학

17世紀 經學方法論 硏究 ‐獨創性 및 批判性을 尺度로 한 經學硏究를 대신하여‐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Jingxue [經學] in the 17th century

퇴계학보 | | 128 | 2010 | 유교학

朝鮮儒學史의 지평에서 바라본 心山 金昌淑의 思想

在朝鮮儒學史上瞻望心山金昌淑的思想

양명학 | 29 | 2011 | 철학

“기질(氣質)은 선(善)한가” : 아버지 원교의 양명학과 아들 신재의 주자학

“Is the ‘Gijil’(氣質, Innate Characters) of Everyone Good?”: Won-gyo’s Idealism and His Son Sinjae’s Realism

한국학 | 34 | 2 | 2011 | 기타인문학

주자학과 眞德秀의 『대학』 이해

Neo-Confucianism and Zhen Dexiu's Views on The Great Learning(Daxue)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한국형 사회적 기업 모색: 주자학 ‘社倉制’의 현대적 변용을 중심으로

韓國模型的社會的企業摸索 — 以朱子學‘社倉制’的現代的變容爲中心

철학논총 | 63 | 1 | 2011 | 철학

일본적 유학의 성립과 그 의미

Establishment and Significance of Confucianism in Japan

사림 | 42 | 2012 | 역사학

牧隱 節義精神의 哲學的 基盤

牧隐 節義精神的哲學基盤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하곡철학에서 주자학과 양명학의 융합 ― 지식과 도덕을 중심으로 ―

霞谷哲學的特徵: 朱子學和陽明學的融合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하곡철학에서 주자학과 양명학의 융합 ― 지식과 도덕을 중심으로 ―

霞谷哲學的特徵: 朱子學和陽明學的融合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16세기 퇴계학파 예학의 심학적 기반과 수범적 예교 - 학봉, 간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16th century ToeGye School’s thoughts on Confucian rituals : focusing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and the way of actualization

동양철학연구 | 71 | 2012 | 철학

통일교 사상과 주자학의 비교연구 -형이상학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Metaphysics of Unificationism and Neo-Confucianism

신종교연구 | 24 | 24 | 2011 | 종교학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실학관 비교

A Study about Ogyu Sorai(荻生徂徠) and Dasan(茶山)‘s Silhak

한국실학연구 | 22 | 2011 | 역사학

한국형 사회적 기업 모색: 주자학 ‘社倉制’의 현대적 변용을 중심으로

韓國模型的社會的企業摸索 — 以朱子學‘社倉制’的現代的變容爲中心

철학논총 | 63 | 1 | 2011 | 철학

주자학과 眞德秀의 『대학』 이해

Neo-Confucianism and Zhen Dexiu's Views on The Great Learning(Daxue)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여말 선초 절의파(節義派)의 고민: 출사(出仕)와 은둔(隱遁)의 기로

The Agony of the Confucians in the Transitional Age from the Goryu to the Chosun Dynasty: Enter into new dynasty service or live in seclus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여말 선초 절의파(節義派)의 고민: 출사(出仕)와 은둔(隱遁)의 기로

The Agony of the Confucians in the Transitional Age from the Goryu to the Chosun Dynasty: Enter into new dynasty service or live in seclus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조선 초 영남 사림파의 도학적 문학사상

A Study on the Thought of Literature of the Group Classical Scholar of Yeungnam Province in the Preceding term of Chosun Dynasty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기질(氣質)은 선(善)한가” : 아버지 원교의 양명학과 아들 신재의 주자학

“Is the ‘Gijil’(氣質, Innate Characters) of Everyone Good?”: Won-gyo’s Idealism and His Son Sinjae’s Realism

한국학 | 34 | 2 | 2011 | 기타인문학

『月汀集』의 知性史的 意味와 位相 -尹根壽의 학문과 문학에 대한 조망을 겸하여-

Meaning and Status of 『Woljeongjip(月汀集)』 in the Intellectual History -Together with Outlook on Studies and Literature of Yoon Keunsoo(尹根壽)-

민족문화 | 39 | 39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反양명학 문헌 조사 및 추출을 통한 양명학 비판 내용의 성향 분석과 反양명학 사조의 흐름에 나타난 특징 연구 [1]

通过朝鲜时代反阳明学文献之调查 关于对阳明学批判性立场和批判性思潮特征的研究 (一)

양명학 | 31 | 2012 | 철학

주자학과 『주자가례』― 이학을 위한 예학

Chu Hsi's Learning and Chu Hsi's Family Rituals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학과 『주자가례』― 이학을 위한 예학

Chu Hsi's Learning and Chu Hsi's Family Rituals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反양명학 문헌 조사 및 추출을 통한 양명학 비판 내용의 성향 분석과 反양명학 사조의 흐름에 나타난 특징 연구 [1]

通过朝鲜时代反阳明学文献之调查 关于对阳明学批判性立场和批判性思潮特征的研究 (一)

양명학 | 31 | 2012 | 철학

臺山의 反擬古論이 지닌 經學的 성격 -考證學에 대한 朱子學的 대응을 중심으로-

Feature as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Daesan's objection to ancient style

동양한문학연구 | 33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하곡 정제두의 『대학』관에 나타난 한국적 양명학의 탄생 고찰

A Study on Hagok Chong Che-du’s Understanding of Daehak(Great learning)

漢文古典硏究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주자가례』와 회덕당 『상제사설』

『朱子家禮』と懐徳堂『喪祭私説』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와 회덕당 『상제사설』

『朱子家禮』と懐徳堂『喪祭私説』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건국의 정신적 기원: 14세기 주자학 수용의 내적 계기를 중심으로

The Spiritual Origin of Founding of Jeseon Dynasty: In Relation to Internal Motives of Acceptance of New Confucianism in the 14th Century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1 | 2 | 2010 | 정치외교학

조선건국의 정신적 기원: 14세기 주자학 수용의 내적 계기를 중심으로

The Spiritual Origin of Founding of Jeseon Dynasty: In Relation to Internal Motives of Acceptance of New Confucianism in the 14th Century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1 | 2 | 2010 | 정치외교학

중암 김평묵(重菴 金平黙)에서 경학과 경세론의 연관적 인식

Chungam Kim Pyeongmuk's associative recognition between classical studies and governance theory

태동고전연구 | 27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실학파의 ‘民’에 대한 인식과 정치권력론의 새로운 지평 – 民本主義에서 民權主義로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 –

The Concept of "Min (民: People)" of the Silhak (實學: Korean Pragmatic Philosophy) School in the Late Chosun Period and the New Perspective on Discussions of Political Power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의 『재거감흥이십수(齋居感興二十首)』의 유통과 수용 양상 연구

Transmission and Reception: Zhuzi’s Inspiration Poems (Gan Xing Shi) in Chosun Dynasty

한국문화 | 54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조 주리론자(主理論者)들의 정치적 고뇌: 왕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Political Agony of the Theorists of Reason (li)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the Sixteenth-century: How and What should be Taught to the Monarchs?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조선조 주리론자(主理論者)들의 정치적 고뇌: 왕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Political Agony of the Theorists of Reason (li)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the Sixteenth-century: How and What should be Taught to the Monarchs?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하곡 정제두의 『대학』관에 나타난 한국적 양명학의 탄생 고찰

A Study on Hagok Chong Che-du’s Understanding of Daehak(Great learning)

漢文古典硏究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退溪 經學을 통해 본 조선주자학의 독자성 문제 -율곡학통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Identity Issue of JuJaHak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ToeGye KyungHak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臺山의 反擬古論이 지닌 經學的 성격 -考證學에 대한 朱子學的 대응을 중심으로-

Feature as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Daesan's objection to ancient style

동양한문학연구 | 33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吳駿善의 학문성향과 의리정신

吳駿善的學問性向與義理精神

유교사상문화연구 | 47 | 2012 | 유교학

심산 김창숙의 도학정신

心山金昌淑的道學精神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심산 김창숙의 도학정신

心山金昌淑的道學精神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조선서학의 전개와 과제

Development of "Seohak" and its Problem in late Chosun Dynasty

신학과철학 | 20 | 2012 | 기타가톨릭신학

靈·氣·質론과 현대물리학에서 본 존재 구조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existence in the theory of Ying·Qi·Zhi and the viewpoint of modern physics.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9 | 2011 | 원불교학

栗谷과 重峰의 道學精神

Yulgok’s and Jungbong’s Learning of the Way

유학연구 | 26 | 2012 | 철학

하서 김인후의 도학과 성리학

Haseo, Kim Inhu`s Neo-Confucian ideal politics and Neo-Confucian philosophy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하서 김인후 연구

A Study on Haseo Kim In-Who

한국시가문화연구 | 28 | 2011 | 한국어와문학

『格物通』에서 본 담약수의 大學觀 - 경전해석의 열린 지평을 중심으로-

Zhan Ruo-shui's View of Great Learning in Ge-wu-tong - Focused upon an Open Horizon of Understanding a Textbook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格物通』에서 본 담약수의 大學觀 - 경전해석의 열린 지평을 중심으로-

Zhan Ruo-shui's View of Great Learning in Ge-wu-tong - Focused upon an Open Horizon of Understanding a Textbook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牛溪 成渾의 도학사상

The moral philosophy of u-gye(牛溪), Seong-Hon's(成渾)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도학의 형성, 점필재 김종직과 그의 문생들의 도학사상

The Formation of Dohak (Tao Learning) in the Early Chŏsun Dynasty : Kim Jong-jik and His students’s Dohak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주자학의 안티테제로서 소코의 유교경세론 -에도시대의 고학파 야마가 소코의 경세론-

Confucian Statecraft of Sokō as Antithesis of Neo-Confucianism

철학탐구 | 29 | 2011 | 철학

溪南 崔琡民의 四書學에 대한 일고찰 − 蘆沙 奇正鎭과 주고받은 問目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A Contemplation on Namgye Choi Sook-Min's Saseohak (the study of the Four Books)

동양철학연구 | 65 | 2011 | 철학

중암 김평묵(重菴 金平黙)에서 경학과 경세론의 연관적 인식

Chungam Kim Pyeongmuk's associative recognition between classical studies and governance theory

태동고전연구 | 27 | 2011 | 기타인문학

우리는 지금 어떻게 전통철학을 연구할 것인가? ― 미국 내 주자철학의 연구 현황과 전망 ―

How should we study the traditional philosophy of Zhu Xi's thought now?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우리는 지금 어떻게 전통철학을 연구할 것인가? ― 미국 내 주자철학의 연구 현황과 전망 ―

How should we study the traditional philosophy of Zhu Xi's thought now?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과정철학에서 본 주자학과 양명학

Zhu Xi`s Thought and Yangming`s Thought Compared with the Process Philosophy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과정철학에서 본 주자학과 양명학

Zhu Xi`s Thought and Yangming`s Thought Compared with the Process Philosophy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조선조 주리론자(主理論者)들의 정치적 고뇌: 왕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Political Agony of the Theorists of Reason (li)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the Sixteenth-century: How and What should be Taught to the Monarchs?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조선조 주리론자(主理論者)들의 정치적 고뇌: 왕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Political Agony of the Theorists of Reason (li)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the Sixteenth-century: How and What should be Taught to the Monarchs?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