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A030303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3641
한자 : 道學
영어 : Confucian ethics
기타 : Dohak
d01-01 이론/사상
주창자 |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R1:개념적 |
RT (관련어) |
별칭 |
|
영남 유학과 ‘낙중학’
嶺南儒學與 ‘洛中學’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영남 유학과 ‘낙중학’
嶺南儒學與 ‘洛中學’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영남 유학과 ‘낙중학’
嶺南儒學與 ‘洛中學’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영남 유학과 ‘낙중학’
嶺南儒學與 ‘洛中學’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佔畢齋 金宗直에 대한 退溪 李滉의 評價 - 관련 자료의 실증적 검토를 중심으로 -
Toegye Yi Hwang's Assessment on Jeompiljae Kim Jong-Jik - Based on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佔畢齋 金宗直에 대한 退溪 李滉의 評價 - 관련 자료의 실증적 검토를 중심으로 -
Toegye Yi Hwang's Assessment on Jeompiljae Kim Jong-Jik - Based on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포은 정몽주와 ‘洛中’ 포은 학맥의 도학사상 -鄭夢周, 吉再, 洪魯를 중심으로-
圃隱鄭夢周和‘洛中’圃隱學脈的道學思想 -以鄭夢周、吉再、洪魯為中心-
포은학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포은 정몽주와 ‘洛中’ 포은 학맥의 도학사상 -鄭夢周, 吉再, 洪魯를 중심으로-
圃隱鄭夢周和‘洛中’圃隱學脈的道學思想 -以鄭夢周、吉再、洪魯為中心-
포은학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여말선초 영남사림의 ‘도통’과 ‘학통’
The Scholastic Lineage of Dotong and Haktong of Yeongnam 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盤谷 成以心의 「人易擬議圖說」과 그 사상적 특징
Characteristic of Seong Yi-sim's Theory of "Inyeok uiuidoseol"
민족문화연구 | 54 | 2011 | 기타인문학
포은 정몽주와 ‘洛中’ 포은 학맥의 도학사상 -鄭夢周, 吉再, 洪魯를 중심으로-
圃隱鄭夢周和‘洛中’圃隱學脈的道學思想 -以鄭夢周、吉再、洪魯為中心-
포은학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포은 정몽주와 ‘洛中’ 포은 학맥의 도학사상 -鄭夢周, 吉再, 洪魯를 중심으로-
圃隱鄭夢周和‘洛中’圃隱學脈的道學思想 -以鄭夢周、吉再、洪魯為中心-
포은학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여말선초 영남사림의 ‘도통’과 ‘학통’
The Scholastic Lineage of Dotong and Haktong of Yeongnam 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16세기 오륜시조 출현의 시기적 조건과 그 정치적 의미
The seasonal conditions of Oryun-sijo's emergence in 16th Century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桃灘 邊士貞論 -지리산 자락에서 꽃핀 劇的 人生 變奏-
Study on Dotan Byun Sajeong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15세기 朝家의 吉再 追崇과 인식
A Study on the Reverence of Gil-Jae in 15th century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학맥의 관점에서 본 휴암 백인걸
論學脈觀點上之休庵白仁杰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학맥의 관점에서 본 휴암 백인걸
論學脈觀點上之休庵白仁杰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봉 기대승의 낙향과 삶으로서의 철학 -비애의 정조를 넘어서-
Gobong GiDaeSeung’s Rustication and his Philosophy as life – Overcoming the Sentiment of Sorrow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艮齋 田愚의 ‘書簡文’에 나타난 義理精神과 抗日意識 考察
Study of Uiri Spirit and Anti-japan Mind in Gan-jae Jeon-woo ‘Seoganmoon’
동방한문학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艮齋 田愚의 ‘書簡文’에 나타난 義理精神과 抗日意識 考察
Study of Uiri Spirit and Anti-japan Mind in Gan-jae Jeon-woo ‘Seoganmoon’
동방한문학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우계 성혼의 '상우(尙友)' 지향
牛溪 成渾의 ‘尙友’ 指向
인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正統과 異端, 그 역사와 본질 - 율곡을 중심으로 -
Orthodoxy and Heterodoxy, Their History and Substance : Focuses on YulGok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正統과 異端, 그 역사와 본질 - 율곡을 중심으로 -
Orthodoxy and Heterodoxy, Their History and Substance : Focuses on YulGok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
16~17세기 퇴계학파의 학문적 특성과 전개양상 고찰 -‘이학-심학’ 상호 연관 체계의 예학적 귀결과 학파의 혼입-
A Study on the Academical Quality and Changing Process of the 16~17th Century Toegye School : Focus on Neo-Confucianal Conclusion and School Mixing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石川 金覺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A Study on the spiritual sphere in Seokcheon KimGak's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우계 성혼의 '상우(尙友)' 지향
牛溪 成渾의 ‘尙友’ 指向
인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육구연과 道學의 관계 연구 - 陸九齡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Lu Jiuyuan(陸九淵)’s Criticisms about the School of Cheng-Zhu(程朱)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u Jiuling(陸九齡) -
양명학 | 29 | 2011 | 철학
石川 金覺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A Study on the spiritual sphere in Seokcheon KimGak's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전기 사림파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Sarim Party's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Chŏsun Dynasty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전통적 學 개념과 퇴·율 성학의 이학-심학 연관 구조
A study on the traditional “Study(學)"concept and correlation of LiXue(理學) and XinXue(心學) in Toegye and Yulgok's the study of being Sage(聖學)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전통적 學 개념과 퇴·율 성학의 이학-심학 연관 구조
A study on the traditional “Study(學)"concept and correlation of LiXue(理學) and XinXue(心學) in Toegye and Yulgok's the study of being Sage(聖學)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이언적의 태극론과 도덕론 일고
Understanding on Hoejae Lee eun-juck's morality and taeguk theory
한국사상과 문화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언적의 태극론과 도덕론 일고
Understanding on Hoejae Lee eun-juck's morality and taeguk theory
한국사상과 문화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艮齋 田愚의 『臼山先生風雅』 硏究
The Study on Gan-Jae Jeon-u's GuSan-SeonSaeng-PungaA
동방한문학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李崇仁의 삶과 足跡에 대한 평가
An Evaluation on the Life and Mark of Lee, Sung-in(李崇仁)
한국사상과 문화 | 62 | 2012 | 한국어와문학
梧陰 尹斗壽의 인물과 도학적 실천
Oeum Yun Dushu's Life and Practice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河西 金麟厚의 行蹟과 후세의 평가
Kim Inhoo's personal history and his posterity's appraisal
동양문화연구 | 7 | 2011 | 기타인문학
寒暄堂의 道學에 對한 試探
試探寒暄堂的道學
동아인문학 | 19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 초 영남 사림파의 도학적 문학사상
A Study on the Thought of Literature of the Group Classical Scholar of Yeungnam Province in the Preceding term of Chosun Dynasty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 초 영남 사림파의 도학적 문학사상
A Study on the Thought of Literature of the Group Classical Scholar of Yeungnam Province in the Preceding term of Chosun Dynasty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16세기 퇴계학파 예학의 심학적 기반과 수범적 예교 - 학봉, 간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16th century ToeGye School’s thoughts on Confucian rituals : focusing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and the way of actualization
동양철학연구 | 71 | 2012 | 철학
성주지역 道學의 착근과 江岸學派의 성장
A Study on the Settlement of Moral Philosophy(道學) and the Formation of Gangan School(江岸學派) in the Seongju Area
영남학 | 21 | 2012 | 기타인문학
심산 김창숙의 도학정신
心山金昌淑的道學精神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심산 김창숙의 도학정신
心山金昌淑的道學精神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심산 김창숙의 도학정신
心山金昌淑的道學精神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심산 김창숙의 도학정신
心山金昌淑的道學精神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金宏弼의 정치네트워크와 小學契
Kim Koeng p'il's Political-Network and Elementary Learning Club in Chosŏ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59 | 2011 | 역사학
吳駿善의 학문성향과 의리정신
吳駿善的學問性向與義理精神
유교사상문화연구 | 47 | 2012 | 유교학
심산 김창숙의 도학정신
心山金昌淑的道學精神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심산 김창숙의 도학정신
心山金昌淑的道學精神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하서 김인후 연구
A Study on Haseo Kim In-Who
한국시가문화연구 | 28 | 2011 | 한국어와문학
牛溪 成渾의 도학사상
The moral philosophy of u-gye(牛溪), Seong-Hon's(成渾)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吳駿善의 학문성향과 의리정신
吳駿善的學問性向與義理精神
유교사상문화연구 | 47 | 2012 | 유교학
도학의 형성, 점필재 김종직과 그의 문생들의 도학사상
The Formation of Dohak (Tao Learning) in the Early Chŏsun Dynasty : Kim Jong-jik and His students’s Dohak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서학의 전개와 과제
Development of "Seohak" and its Problem in late Chosun Dynasty
신학과철학 | 20 | 2012 | 기타가톨릭신학
靈·氣·質론과 현대물리학에서 본 존재 구조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existence in the theory of Ying·Qi·Zhi and the viewpoint of modern physics.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9 | 2011 | 원불교학
栗谷과 重峰의 道學精神
Yulgok’s and Jungbong’s Learning of the Way
유학연구 | 26 | 2012 | 철학
하서 김인후의 도학과 성리학
Haseo, Kim Inhu`s Neo-Confucian ideal politics and Neo-Confucian philosophy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艮齋 田愚의 哲理詩 硏究
A study on Ganjae Jeon-woo's Philosophical Poems
동방한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艮齋 田愚의 哲理詩 硏究
A study on Ganjae Jeon-woo's Philosophical Poems
동방한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格物通』에서 본 담약수의 大學觀 - 경전해석의 열린 지평을 중심으로-
Zhan Ruo-shui's View of Great Learning in Ge-wu-tong - Focused upon an Open Horizon of Understanding a Textbook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格物通』에서 본 담약수의 大學觀 - 경전해석의 열린 지평을 중심으로-
Zhan Ruo-shui's View of Great Learning in Ge-wu-tong - Focused upon an Open Horizon of Understanding a Textbook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牛溪 成渾의 도학사상
The moral philosophy of u-gye(牛溪), Seong-Hon's(成渾)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동양 지식 체계의 계보화 - 姜春山의 「東洋道學의 體系如何」 -
Genealogy of Oriental knowledge systems by Gang Chun-san
동양고전연구 | 46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