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종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884

STNet ID : 1000520

한자 : 肅宗
시호(諡號) : 현의광륜예성영렬장문헌무경명원효대왕(顯義光倫睿聖英烈章文憲武敬明元孝大王)
시호(諡號) : 숙종현의광륜예성영렬유모영운홍인준덕배천합도계휴독경정중협극신의대훈장문헌무경명원효대왕(肅宗顯義光倫睿聖英烈裕謨永運洪仁峻德配天合道啓休篤慶正中恊極神毅大勳章文憲武敬明元孝大王)
재위기간 : 1674-1720

y01-01 실존인물

시대

조선 중기 (朝鮮中期)

직업

왕(王) (王)

생몰년_t

1661-1720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본명

 

이순

UF (비우선어)

 

명보 [ 明譜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19

a01-04-02 국민 국민
a01-04-02 국민 /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R] 조선 국왕 () [ 朝鮮國王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숙종실록 [ 肅宗實錄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명릉 [ 明陵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서인 () [ 西人 ]

RT (관련어)

 

 

숙빈 최씨 [ 淑嬪崔氏 ]

RT (관련어)

계비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인현왕후 [ 仁顯王后 ]

RT (관련어)

모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명성왕후 [ 明聖王后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인경왕후 [ 仁敬王后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희빈 장씨 [ 禧嬪張氏 ]

RT (관련어)

사위/장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주신 () [ 金柱臣 ]

RT_Y (◄관련어)

계비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인원왕후 [ 仁元王后 ]

R2:기능적

advocates (주창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대동법 [ 大同法 ]

produces (대상 개념)

 

 

상평통보 [ 常平通寶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경종 (1720-1724) [ 景宗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현종 (1659-1674) [ 顯宗 ]

肅宗朝의 死六臣 追崇과 書院祭享

An Essay on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urs to Six leaders of the plot to restore the deposed King Tanjong and their sacrificial rite at Confucian Shrine

한국학논총 | 33 | 2010 | 역사이론

肅宗朝의 死六臣 追崇과 書院祭享

An Essay on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urs to Six leaders of the plot to restore the deposed King Tanjong and their sacrificial rite at Confucian Shrine

한국학논총 | 33 | | 2010 | 역사이론

숙종대 保社功臣의 錄勳 과정과사회적 關係網 분석

The analysis of the appointment process and the social network on the Merit Subject in 1680 year[保社功臣]

한국사연구 | 155 | 2011 | 역사학

17세기 조일관계와 ‘鬱陵島 爭界’

17th century Josun-Japan Relationship and ‘Uleungdo Jaenggye(鬱陵島 爭界)’

역사와경계 | 84 | 2012 | 역사학

조선후기 국왕의 南漢山城 행차

Kings’ Visit to Namhansanseong in the Second Half of the Choseo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60 | 2012 | 역사학

단종충신 追復 논의와 세조의 사육신 인식

The discussions about reinstatement and posthumous honoring of King Danjong's royal subjects and the change of King Sejo's perception of Sayuksin

사학연구 | 98 | 2010 | 역사학

단종충신 追復 논의와 세조의 사육신 인식

The discussions about reinstatement and posthumous honoring of King Danjong's royal subjects and the change of King Sejo's perception of Sayuksin

사학연구 | | 98 | 2010 | 역사학

고려 예종의 통치행위에 나타난 유형적 특징과 그 정치적 배경

Typical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King Yejong's reign in the Goryo Dynasty

역사와경계 | 79 | 2011 | 역사학

肅宗 45년, 국왕의 耆老所 입소 경위와 그 정치적 함의 - 세자(景宗) 代理聽政의 명분적 보강 -

Sukjong/肅宗's Entrance into the Chamber of Elders(耆老所),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that decision - Justifying the Crown-prince(Gyeongjong/景宗)'s Overseeing of the Governance -

역사문화연구 | 43 | 2012 | 역사학

1740년 국왕 영조의 개성 행차

King Youngjo's Visit to Kaesŏng in 1740

조선시대사학보 | 52 | 2010 | 역사학

1740년 국왕 영조의 개성 행차

King Youngjo's Visit to Kaesŏng in 1740

조선시대사학보 | | 52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