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정원일기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문헌명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035

STNet ID : 1000537

한자 : 承政院日記

y02-01 문헌명

저작자

승정원 (承政院)

시대1

조선시대 (朝鮮時代)

장르/유형

[R] 원고본

저작년_t

1623-1894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국보 (國寶)

유형/장르

일기 (日記)

제작자

승정원 (承政院)

제작시대

조선시대 (朝鮮時代)

소재지

서울대학교 규장각

지정호수_t

국보 제303호

지정일자_t

1999-04-09

주소_t

서울 관악구 신림동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당후일기 [ 堂后日記 ]

UF (비우선어)

 

 

정원일기 [ 政院日記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 --世界記錄遺産 ]

R1:개념적

RT (관련어)

 

y06-02 정부(왕조)명 정부(왕조)명

조선 (1392~1910) [ 朝鮮 ]

RT (관련어)

관련 문헌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종직 (1431-1492) [ 金宗直 ]

英ㆍ正祖代 豊山 洪鳳漢家門의 부흥과 분열

The reconstruction and division of Poongsan hong' family during the reigns of Kings yeongjo and jeongjo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英ㆍ正祖代 豊山 洪鳳漢家門의 부흥과 분열

The reconstruction and division of Poongsan hong' family during the reigns of Kings yeongjo and jeongjo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韓國 古典籍 標點의 現況과 課題

韓國漢文古典籍中標點符號使用的現狀及一些問題

민족문화 | 35 | 35 | 2010 | 기타인문학

韓國 古典籍 標點의 現況과 課題

韓國漢文古典籍中標點符號使用的現狀及一些問題

민족문화 | 35 | 35 | 2010 | 기타인문학

안용복의 정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vent of Ahn Yong-bok's Document

대구사학 | 107 | 2012 | 역사학

德壽宮 贊侍室 편찬의 『日記』자료를 통해본식민지시대 고종의 일상

A study on the daily life of Grand-King of Lee ko-jong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rough the Daily Records of The office of Secretariat for Grand-King of Lee ko-jong in Duk-su palace

藏書閣 | 23 | 2010 | 역사학

德壽宮 贊侍室 편찬의 『日記』자료를 통해본식민지시대 고종의 일상

A study on the daily life of Grand-King of Lee ko-jong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rough the Daily Records of The office of Secretariat for Grand-King of Lee ko-jong in Duk-su palace

藏書閣 | | 23 | 2010 | 역사학

『경제야언』의 이이 표절

U Chŏng-kyu’s plagiarism of Yi I on A Rustic’s Words on Governance(Kyŏngjeyaŏn)

철학사상 | 36 | 2010 | 철학

『경제야언』의 이이 표절

U Chŏng-kyu’s plagiarism of Yi I on A Rustic’s Words on Governance(Kyŏngjeyaŏn)

철학사상 | | 36 | 2010 | 철학

박어둔과 울릉도 쟁계에 관한 연구 - 한·일 양국 자료를 중심으로 한 고찰 -

A Study on Park Eo-dun and Bordering Dispute over Ulleung-do - Focusing on Materials of Korea and Japan -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박어둔과 울릉도 쟁계에 관한 연구 - 한·일 양국 자료를 중심으로 한 고찰 -

A Study on Park Eo-dun and Bordering Dispute over Ulleung-do - Focusing on Materials of Korea and Japan -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승정원일기』를 통해본 昭顯世子의 病症과 死因

A Study On The Crown Prince So-Hyeon's Illness Symptoms and Death Causes Through 『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승정원일기』를 통해본 昭顯世子의 病症과 死因

A Study On The Crown Prince So-Hyeon's Illness Symptoms and Death Causes Through 『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의녀의 정체성 고찰

Dual Identity of Women Doctors in Korean History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의녀의 정체성 고찰

Dual Identity of Women Doctors in Korean History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孝宗代 承政院 承旨職의 人事運營 - 『承政院日記』 座目 분석을 중심으로 -

Seungjeogwon(承政院) Seungjijik(承旨職)’s Actual Personnel Management In Hyojong(孝宗) Reign(1649~1659) - Focusing on the Lists of the Order of the Court Officers of the Journals of the Secretary Office, Seungjeongwonilkijwamok(『承政院日記』 座目) -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孝宗代 承政院 承旨職의 人事運營 - 『承政院日記』 座目 분석을 중심으로 -

Seungjeogwon(承政院) Seungjijik(承旨職)’s Actual Personnel Management In Hyojong(孝宗) Reign(1649~1659) - Focusing on the Lists of the Order of the Court Officers of the Journals of the Secretary Office, Seungjeongwonilkijwamok(『承政院日記』 座目) -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승정원일기 경연 기사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Article of The Royal Lecture(經筵記事) in Seungjeongwon ilgi(承政院日記: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승정원일기 경연 기사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Article of The Royal Lecture(經筵記事) in Seungjeongwon ilgi(承政院日記: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승정원일기』 속의 천변재이 기록

Weather records and Portent records of The Seungjeongwon Ilgi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승정원일기』 속의 천변재이 기록

Weather records and Portent records of The Seungjeongwon Ilgi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仁祖代 承政院日記 標點 事例 小考 -고리점·반점·쌍점·따옴표를 중심으로-

Review on punctuation case of Seungjeongwon ilgi in Injo Periods -Centered on period·comma·colon·quotation marks- ∼

민족문화 | 35 | 35 | 2010 | 기타인문학

仁祖代 承政院日記 標點 事例 小考 -고리점·반점·쌍점·따옴표를 중심으로-

Review on punctuation case of Seungjeongwon ilgi in Injo Periods -Centered on period·comma·colon·quotation marks- ∼

민족문화 | 35 | 35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