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 정책

연구분야 : B020500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
A020107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국제관계사(역사학)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131

STNet ID : 1000545

한자 : 植民政策
영어 : colonial policy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식민지 정책 [ 植民地 政策 ]

N1:종류

hasKind (종류)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총독 정치 [ 總督政治 ]

R1:개념적

affects (영향)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식민 지배 [ 植民支配 ]

hasIssue (이슈/주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농공 병진 정책 [ 農工竝進政策 ]

RT (관련어)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유지 [ 有志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동인도회사 () [ 東印度會社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식민지 교육 [ 植民地敎育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병참 기지 정책 [ 兵站 基地 政策 ]

hasInstance (사례)

 

y03-03 행사/축제명 행사/축제명

조선 미술 전람회 () [ 朝鮮美術展覽會 ]

hasInstance (사례)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산미 증식 계획 [ 産米增殖計劃 ]

근대 인천의 ‘군함관람(軍艦觀覽)’과 그 성격

A Study on the “Warship Tour” of Modern Incheon and Its Nature

인천학연구 | 1 | 15 | 2011 | 기타인문학

일제 강점기 초등교육과 ‘국민 만들기’-제3·4차 조선교육령기에 발행된 『普通學校朝鮮語讀本』을 중심으로-

The Elementary Education of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and ‘Making the Nation’

한국문화연구 | 20 | 2011 | 기타인문학

일본 시찰 보고서의 겉과 속 ― 「일본시찰일기」 읽기 ―

Reading “Travel Report of Japan”

사림 | 41 | 2012 | 역사학

근대 한일관계와 개항지 부산 -신흥종교의 포교활동을 중심으로 -

Opening of Pusan port and modern Japan-Korea relations

아태연구 | 18 | 3 | 2011 | 사회과학일반

<토지>의 탈식민 서사 연구 -탈식민 주체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Postcolonial Narrative in -centered on the subject of postcolonial-

한국언어문학 | 80 | 2012 | 한국어와문학

비스마르크의 식민정책과 거문도 사건

Bismarck’s Colonial Policy and Port Hamilton Incident

서양사연구 | 46 | 2012 | 기타서양사

일제식민지배기 한국민족말살을 위한 주요 법제와 정책

A Study on the Laws and Policy to Korean Nation Eradication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법제연구 | 39 | 2010 | 법학

일제식민지배기 한국민족말살을 위한 주요 법제와 정책

A Study on the Laws and Policy to Korean Nation Eradication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법제연구 | | 39 | 2010 | 법학

한말~일제강점기 동래지역에서의 공간 포섭과 지역세력의 대응

Japanese Colonizer’s Spacial Reconstruction of Dongrae and the Response of Local Community

지역과 역사 | 29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