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도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B101103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중국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16

한자 : 間島, 艮島
중국어 : 间岛

x01-03 도시/구/동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연길도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X01 지명 지명

만주 () [ 滿洲 ]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룽징 [ 龍井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서간도 [ 西間島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 지명 지명

북간도 () [ 北間島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5-02 조약/협약 조약/협약

간도협약 () [ 間島協約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간도 문제 [ 間島問題 ]

RT (관련어)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간도 거주민 [ 間島居住民 ]

多山 朴榮喆의 『아주기행』과 문학적 형상화

Dasan Park Young-chul’s 『AJu-GiHang』 and literary manifestation

온지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多山 朴榮喆의 『아주기행』과 문학적 형상화

Dasan Park Young-chul’s 『AJu-GiHang』 and literary manifestation

온지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한중간 역사문제의 현황과 대응방안

The Counterplan and the Present of the Historical Problem between Korea and China

중국사연구 | 73 | 2011 | 동양사

일제강점기 조선인 관료의 백두산 여행과 간도 인식―『백두산유람록』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Gando:A Korean bureaucrat’s trip to Baekdusan(Mt. Baekdu) during the Colonial Period:Namely Baekdusan yuramrok

藏書閣 | 24 | 2010 | 역사학

일제강점기 조선인 관료의 백두산 여행과 간도 인식―『백두산유람록』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Gando:A Korean bureaucrat’s trip to Baekdusan(Mt. Baekdu) during the Colonial Period:Namely Baekdusan yuramrok

藏書閣 | | 24 | 2010 | 역사학

7차 국정 「국사」교과서 수록 역사 지도의 구성과 경향성

History maps inserted in the 7th version of the Nationally authorized National History textbooks: Fashion of Composition

한국사상과 문화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7차 국정 「국사」교과서 수록 역사 지도의 구성과 경향성

History maps inserted in the 7th version of the Nationally authorized National History textbooks: Fashion of Composition

한국사상과 문화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7차 국정 「국사」교과서 수록 역사 지도의 구성과 경향성

History maps inserted in the 7th version of the Nationally authorized National History textbooks: Fashion of Composition

한국사상과 문화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7차 국정 「국사」교과서 수록 역사 지도의 구성과 경향성

History maps inserted in the 7th version of the Nationally authorized National History textbooks: Fashion of Composition

한국사상과 문화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朝·淸 國境定界交涉과 北方領土意識에 關한 硏究(下)

A Study on Border Demarcation Negotiation between Choson and Chung, and Awareness on Northern Territory(Part 3)

한국지적학회지 | 26 | 2 | 2010 | 국제/지역개발

朝·淸 國境定界交涉과 北方領土意識에 關한 硏究(下)

A Study on Border Demarcation Negotiation between Choson and Chung, and Awareness on Northern Territory(Part 3)

한국지적학회지 | 26 | 2 | 2010 | 국제/지역개발

“九ㆍ一八”事变前东北朝鲜人汉语教育状况分析

Analysis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situation for Korean-Chinese in North-eastern Districts before 9.18 Incident

중국어교육과 연구 | 14 | 2011 | 중국어와문학

일본 전통 스트라이프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tripes in Japan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11 | 4 | 2011 | 의상

조청 국경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 : 이화자, 『한중국경사 연구』(혜안, 2011)에 대한 서평

A New Point of View on the Sino-Choson Border Problem : Lee Hwa Ja(Li hua zi), "A Study on the History of Sino-Korean Frontier"(Hyean, 2011)

한국학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의 영토분쟁의 해결에 있어 역사비평적 접근의 시도

The Resolution of Territorial Disputes of Korea and the Historical Criticism Approach

서울국제법연구 | 17 | 1 | 2010 | 기초법

한국의 영토분쟁의 해결에 있어 역사비평적 접근의 시도

The Resolution of Territorial Disputes of Korea and the Historical Criticism Approach

서울국제법연구 | 17 | 1 | 2010 | 기초법

北方領土問題로 본 間島領域 - 地籍學의 視覺에서 -

A Study on the Gando Territory focusing on Northern Territory Issues - From the view of cadastral study -

백산학보 | 86 | 2010 | 역사학

北方領土問題로 본 間島領域 - 地籍學의 視覺에서 -

A Study on the Gando Territory focusing on Northern Territory Issues - From the view of cadastral study -

백산학보 | | 86 | 2010 | 역사학

中華民國 時期의 ‘間島’ 認識 -당시 출판된 신문 잡지의 ‘간도’ 기사를 중심으로-

中華民國時期對‘間島’的認識 -當時報刊上登載的以‘間島’記事爲中心-

중국사연구 | 69 | 2010 | 동양사

中華民國 時期의 ‘間島’ 認識 -당시 출판된 신문 잡지의 ‘간도’ 기사를 중심으로-

中華民國時期對‘間島’的認識 -當時報刊上登載的以‘間島’記事爲中心-

중국사연구 | | 69 | 2010 | 동양사

서양 고지도에 표현된 한중국경 및 만주 - 티메카코리아웹사이트의 서양 지도를 중심으로-

The Border between Korea and China and Manchuria on Old Western Maps on Tmeccakorea? Website -

문화역사지리 | 23 | 3 | 2011 | 인문지리학

설화로 보는 간도지역 조선인의 이주와 정착

論朝鲜族民间故事的歷史價値

열상고전연구 | 35 | 2012 | 기타국문학

간도지역 민생단 사건의 성격과 의미 연구

A study for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The Minsaengdan Incident in Gando region

차세대 인문사회연구 | 6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간도지역 민생단 사건의 성격과 의미 연구

A study for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The Minsaengdan Incident in Gando region

차세대 인문사회연구 | | 6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조선족 항일투쟁과정에서 생성된 설화에 대하여

A Study on the Stories Created through Choseonjok’s Anti‐Japanese Struggles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

통일후 조중국경조약의 국가승계문제

State Succession Issues of the Boundary Convention between the North Korea & China after the "Unified Korea" in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백산학보 | 91 | 2011 | 역사학

통일 후 한-중 국경 문제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The Boundary between Unified Korea and China from International Law Perspective

국제법학회논총 | 55 | 4 | 2010 | 법학

통일 후 한-중 국경 문제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The Boundary between Unified Korea and China from International Law Perspective

국제법학회논총 | 55 | 4 | 2010 | 법학

간도문제(間島問題)의 기원(起源)과 해결방안(解決方案)

A Study on a Problem of Territorial Rights Regarding Gando Area and How It could be Solved

인문사회과학연구 | 12 | 1 | 2011 | 기타인문학

간도문제와 간도협약의 글로벌 히스토리, 1907-1909 - 전지구적 국제관계와 연계하여 -

A Global History of Gando Problems and Gando Agreement, 1907-1909 - Related with Global/ Transnational Relations-

사회과교육 | 49 | 1 | 2010 | 교육학

간도문제와 간도협약의 글로벌 히스토리, 1907-1909 - 전지구적 국제관계와 연계하여 -

A Global History of Gando Problems and Gando Agreement, 1907-1909 - Related with Global/ Transnational Relations-

사회과교육 | 49 | 1 | 2010 | 교육학

간도에 관한 선행 연구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vious Reports on Gando

대한부동산학회지 | 30 | 1 | 2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