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

연구분야 : A020305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중국근대사

클래스 : 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

STNet ID : 1000006

한자 : 滿洲
영어 : Manchuria

X01 지명

위치

중국 둥베이 지방

면적_t

230,000㎢

인구_t

101,514,000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개간 [ 開墾 ]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x01-02 국가명 국가명

중국 () [ 中國 ]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청산리 [ 靑山里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간도 [ 間島 ,艮島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 지명 지명

북만주 [ 北滿洲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남만주 () [ 南滿洲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개척 소설 () [ 開拓小說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만주원류고 () [ 滿洲源流考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대륙사관 [ 大陸史觀 ]

RT (관련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둥베이 삼성 [ 東北三省 ]

RT (관련어)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만주 한인 [ 滿洲韓人 ]

RT (관련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만주국 (1932-1945) [ 滿洲國 ]

반도(半島)사관의 극복과제와 해륙(海陸)사관의 제언

Challenging tasks of ‘The peninsulahistorical view' and proposals(implication) of ‘The land and the sea historical view'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

내부망명자의 고독 - 안수길 후기소설에 나타난 ‘망명의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An Emigrant's Political Solitude: About the Sense of Emigration in Ahn Su-gil's late works

한국문학논총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多山 朴榮喆의 『아주기행』과 문학적 형상화

Dasan Park Young-chul’s 『AJu-GiHang』 and literary manifestation

온지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多山 朴榮喆의 『아주기행』과 문학적 형상화

Dasan Park Young-chul’s 『AJu-GiHang』 and literary manifestation

온지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한인의 만주 이주 양상과 동북아시아: ‘농업이민’의 성격 전환을 중심으로

Changing Patterns of Korean Migration to Manchuria in the 19th to 20th Centuries: from Voluntary Immigration to Enforced Relocation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多山 朴榮喆의 『아주기행』과 문학적 형상화

Dasan Park Young-chul’s 『AJu-GiHang』 and literary manifestation

온지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多山 朴榮喆의 『아주기행』과 문학적 형상화

Dasan Park Young-chul’s 『AJu-GiHang』 and literary manifestation

온지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백석 시의 북방의식 연구

A Study of Northern Consciousness in Baek Suk's Poetry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반도(半島)사관의 극복과제와 해륙(海陸)사관의 제언

Challenging tasks of ‘The peninsulahistorical view' and proposals(implication) of ‘The land and the sea historical view'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

백석 시의 북방의식 연구

A Study of Northern Consciousness in Baek Suk's Poetry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李浩源의 민족운동 연구

National Movement of Lee Ho-won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70 | 2012 | 역사학

한인의 만주 이주 양상과 동북아시아: ‘농업이민’의 성격 전환을 중심으로

Changing Patterns of Korean Migration to Manchuria in the 19th to 20th Centuries: from Voluntary Immigration to Enforced Relocation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李浩源의 민족운동 연구

National Movement of Lee Ho-won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70 | 2012 | 역사학

유태인의 만주 이산과 삶

猶太人的满洲移居和生活

중국근현대사연구 | 54 | 2012 | 중국현대사

최서해 문학의 반식민주의 혁명의식

Anti-colonialistic Revolution Consciousness in Choi Su-hae's Literature

현대문학이론연구 | 49 | 2012 | 문학이론

러일전쟁 이전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

Russia’s East Asia Policy Prior to the Russo-Japanese War

역사와 담론 | 56 | 2010 | 역사학

러일전쟁 이전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

Russia’s East Asia Policy Prior to the Russo-Japanese War

역사와 담론 | | 56 | 2010 | 역사학

암흑기 재만문학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아이덴티티

Diaspora and Identity in Korean-Manchurian Literature of the Late Japanese Imperialism : Focused on An Soo-gil's Novel, Rice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암흑기 재만문학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아이덴티티

Diaspora and Identity in Korean-Manchurian Literature of the Late Japanese Imperialism : Focused on An Soo-gil's Novel, Rice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공간에서의 잔류 일본인 귀환 문제 - 「잔등」, 「압록강」, 『요코이야기』, 『흐르는 별은 살아있다』를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he Remaining Japanese's repatriation in the Liberation of Korean(1945 - 1948)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공간에서의 잔류 일본인 귀환 문제 - 「잔등」, 「압록강」, 『요코이야기』, 『흐르는 별은 살아있다』를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he Remaining Japanese's repatriation in the Liberation of Korean(1945 - 1948)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산의 문학적 체험과 다문화 인식 지평의 확장 -일제하 한국현대시 작품을 중심으로

The Literary Experience of Diaspora and the Horizon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산의 문학적 체험과 다문화 인식 지평의 확장 -일제하 한국현대시 작품을 중심으로

The Literary Experience of Diaspora and the Horizon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러일전쟁 이전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

Russia’s East Asia Policy Prior to the Russo-Japanese War

역사와 담론 | 56 | 2010 | 역사학

러일전쟁 이전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

Russia’s East Asia Policy Prior to the Russo-Japanese War

역사와 담론 | | 56 | 2010 | 역사학

이산의 문학적 체험과 다문화 인식 지평의 확장 -일제하 한국현대시 작품을 중심으로

The Literary Experience of Diaspora and the Horizon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산의 문학적 체험과 다문화 인식 지평의 확장 -일제하 한국현대시 작품을 중심으로

The Literary Experience of Diaspora and the Horizon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현대시 속의 북방, 슬라브, 시베리아 공간 및 역사인식 -백석의 낙원회복의 꿈과 고대사 공간인식을 중심으로-

Spatial Conceptions and Images of 'Bukbang-Northern land', Siberia and Eurasia in Modern Korean Poetry -focusing on the perception and image of the land "Bukbang" in Baek-Seok's poetry-

한국 시베리아연구 | 15 | 2 | 2011 | 러시아

서양 고지도에 표현된 한중국경 및 만주 - 티메카코리아웹사이트의 서양 지도를 중심으로-

The Border between Korea and China and Manchuria on Old Western Maps on Tmeccakorea? Website -

문화역사지리 | 23 | 3 | 2011 | 인문지리학

한국 현대시 속의 북방, 슬라브, 시베리아 공간 및 역사인식 -백석의 낙원회복의 꿈과 고대사 공간인식을 중심으로-

Spatial Conceptions and Images of 'Bukbang-Northern land', Siberia and Eurasia in Modern Korean Poetry -focusing on the perception and image of the land "Bukbang" in Baek-Seok's poetry-

한국 시베리아연구 | 15 | 2 | 2011 | 러시아

Westerners' Perceptions of Baekdusan until the Nineteenth Century : Focusing on Materials in English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 13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Westerners' Perceptions of Baekdusan until the Nineteenth Century : Focusing on Materials in English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 13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암흑기 재만문학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아이덴티티

Diaspora and Identity in Korean-Manchurian Literature of the Late Japanese Imperialism : Focused on An Soo-gil's Novel, Rice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암흑기 재만문학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아이덴티티

Diaspora and Identity in Korean-Manchurian Literature of the Late Japanese Imperialism : Focused on An Soo-gil's Novel, Rice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북아시아적 관점에서 본 북한 청동기시대의 형성과 전개

Reexamination of bronze Age in North Korea in the context of Coarse plain pottery cultural area in North-eastern Asia

동북아역사논총 | 33 | 2011 |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 구상과 의거의 성격

An Jung-Geun's Plan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Significance of his Noble Undertaking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안중근의 독립운동 구상과 의거의 성격

An Jung-Geun's Plan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Significance of his Noble Undertaking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단군과 만주, 아첨의 영웅주의: 최남선의 「자열서」 읽기

Tangun, Manchuria, and the Heroism of Flattery: Reading Choi Namsŭn's "Jayŭlsŭ(自列書)"

한국현대문학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군과 만주, 아첨의 영웅주의: 최남선의 「자열서」 읽기

Tangun, Manchuria, and the Heroism of Flattery: Reading Choi Namsŭn's "Jayŭlsŭ(自列書)"

한국현대문학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윤동주와 다문화적 주체성의 문학

Multicultural Subjectivity in Yun Dong-ju's Literature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동북아시아적 관점에서 본 북한 청동기시대의 형성과 전개

Reexamination of bronze Age in North Korea in the context of Coarse plain pottery cultural area in North-eastern Asia

동북아역사논총 | 33 | 2011 | 역사학

청대 만주본위의 민족정책과 문화충돌

淸代滿洲本位的民族政策與文化衝突

다문화콘텐츠연구 | 1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고종의 외교정책과 러일전쟁

高宗の外交政策と日露戦争

일본문화연구 | 35 | 2010 | 일본어와문학

고종의 외교정책과 러일전쟁

高宗の外交政策と日露戦争

일본문화연구 | | 35 | 2010 | 일본어와문학

<蒙語類解>에 나타난 동물 관련 어휘 검토 -가축 이름을 중심으로-

presents a philological study on Mongolian names of horse and another domestic animals in the

몽골학 | 32 | 2012 | 기타동양어문학

김조규의 이중적 시 쓰기의 양상과 의미 -만주 이주 후〜해방 전 작품을 중심으로-

The Double Attitude and Meaning of Kim Jo-Gyu's Poems - Focusing on his staying in Manchuria from 1938 to 1945 -

우리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만주, 디아스포라 윤동주의 고향

Manchuria and Homeland-Consciousness of Yun Dong-Ju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만주 판타지의 허상, 이주 조선인의 현실과 관찰자로서의 장혁주-『개간』을 중심으로

The Illusion of the Manchu Fantasy, The Realities of Chosun Immigrants and Jang Hyuk Ju as an Observer -Focusing on 『Gaegan』

인문과학연구논총 | 31 | 2010 | 기타인문학

만주 판타지의 허상, 이주 조선인의 현실과 관찰자로서의 장혁주-『개간』을 중심으로

The Illusion of the Manchu Fantasy, The Realities of Chosun Immigrants and Jang Hyuk Ju as an Observer -Focusing on 『Gaegan』

인문과학연구논총 | | 31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의 육지측량부가 그린 만주- 오차노미즈대학 소장 군사 비밀 만주 지도를 중심으로 -

Japanese Empire Land Survey Maps on Manchuria: Maps of Military Secrets Held at Ochanomizu University

동북아역사논총 | 37 | 2012 | 역사학

寧古塔에 對한 歷史地理的 考察

A Historical-Geographical Study on Ningguta

문화역사지리 | 22 | 3 | 2010 | 인문지리학

寧古塔에 對한 歷史地理的 考察

A Historical-Geographical Study on Ningguta

문화역사지리 | 22 | 3 | 2010 | 인문지리학

한원국 희곡의 변모 양상과 연변 조선족 사회의 변화상 연구

A Study on an Aspect of Change of Han Wonguk's Works and Korean-Chinese Society in Yanbian

인문과학연구 | 25 | 2010 | 기타인문학

한원국 희곡의 변모 양상과 연변 조선족 사회의 변화상 연구

A Study on an Aspect of Change of Han Wonguk's Works and Korean-Chinese Society in Yanbian

인문과학연구 | | 25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시기 ‘만주’ 개념의 역사성과 부정성

The concept of ‘Manchuria’ of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석당논총 | 47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시기 ‘만주’ 개념의 역사성과 부정성

The concept of ‘Manchuria’ of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석당논총 | | 47 | 2010 | 기타인문학

한민족 소설의 만주 ‘항일 체험’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Erlebnis’ of Manchuria of Korean & Chinese Korean novels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26 | 2010 | 기타인문학

한민족 소설의 만주 ‘항일 체험’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Erlebnis’ of Manchuria of Korean & Chinese Korean novels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 26 | 2010 | 기타인문학

寧古塔에 對한 歷史地理的 考察

A Historical-Geographical Study on Ningguta

문화역사지리 | 22 | 3 | 2010 | 인문지리학

寧古塔에 對한 歷史地理的 考察

A Historical-Geographical Study on Ningguta

문화역사지리 | 22 | 3 | 2010 | 인문지리학

20세기 전반 『拒毒月刊』을 통해 본 중국인의 재중 한인 인식

The Chinese understanding of migrant Koreans in China from Judu Yuekan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8 | 2011 | 역사학

윤동주와 다문화적 주체성의 문학

Multicultural Subjectivity in Yun Dong-ju's Literature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민족 歷史空間의 이해와 江海都市論 모델

Understanding of the Korean historical space and 'The city of river and sea'

동아시아고대학 | 23 | 2010 | 기타인문학

한민족 歷史空間의 이해와 江海都市論 모델

Understanding of the Korean historical space and 'The city of river and sea'

동아시아고대학 | | 23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시기 ‘만주’ 개념의 역사성과 부정성

The concept of ‘Manchuria’ of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석당논총 | 47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시기 ‘만주’ 개념의 역사성과 부정성

The concept of ‘Manchuria’ of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석당논총 | | 47 | 2010 | 기타인문학

만주, 디아스포라 윤동주의 고향

Manchuria and Homeland-Consciousness of Yun Dong-Ju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東亞’ 트라우마, 제국의 지정학적 공간과 ‘이등신민’의 정치학

‘Dong-A’ Trauma: Semiotic Politics of ‘Second class Subject’ in Multi-ethnic Manchuria, Geopolitical Space of Japanese Imperialism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4 | 2012 | 사회학

일본의 육지측량부가 그린 만주- 오차노미즈대학 소장 군사 비밀 만주 지도를 중심으로 -

Japanese Empire Land Survey Maps on Manchuria: Maps of Military Secrets Held at Ochanomizu University

동북아역사논총 | 37 | 2012 | 역사학

김조규의 이중적 시 쓰기의 양상과 의미 -만주 이주 후〜해방 전 작품을 중심으로-

The Double Attitude and Meaning of Kim Jo-Gyu's Poems - Focusing on his staying in Manchuria from 1938 to 1945 -

우리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원국 희곡의 변모 양상과 연변 조선족 사회의 변화상 연구

A Study on an Aspect of Change of Han Wonguk's Works and Korean-Chinese Society in Yanbian

인문과학연구 | 25 | 2010 | 기타인문학

한원국 희곡의 변모 양상과 연변 조선족 사회의 변화상 연구

A Study on an Aspect of Change of Han Wonguk's Works and Korean-Chinese Society in Yanbian

인문과학연구 | | 25 | 2010 | 기타인문학

이기영 소설에 나타난 만주 로컬리티

A Study on the Locality of Lee Ki Young's Novels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일본인의 만주 수학여행 - 네트워크와 제국의식 -

School excursions to Manchuria in 1930s Japan: Focused on the trip network and imperial consciousness

동북아역사논총 | 31 | 2011 | 역사학

재만조선인을 바라보는 다른 시선: 강경애 재론

A New Angle into the Koreans at Manchuria in the Colonial Age: Review on Kang Kyeong-Ae

한중인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전반 『拒毒月刊』을 통해 본 중국인의 재중 한인 인식

The Chinese understanding of migrant Koreans in China from Judu Yuekan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8 | 2011 | 역사학

현경준 작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의식과 대응양상 연구

A study on the Diaspora consciousness and the responses to the reality, in the works of Hyeon,Gyeong-Jun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1 | 기타국문학

근대 조선인의 만주 기행문 생성 공간 - 1920-1930년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for Formation of Korean travelogues of Manchuria in Modern Times - focusing on 1920's-1930's -

한국문학논총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재만조선인을 바라보는 다른 시선: 강경애 재론

A New Angle into the Koreans at Manchuria in the Colonial Age: Review on Kang Kyeong-Ae

한중인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박영준 문학과 만주 -박영준 문학세계의 연속성 탐구를 위한 시론-

Park Young-jun and Manchuria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기영 소설에 나타난 만주 로컬리티

A Study on the Locality of Lee Ki Young's Novels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채호의 만주인식과 그 변모

Shin Chae Ho's Perception of Manju and its Transformation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 | 3 | 2011 | 기타인문학

元明 교체기 포은 정몽주의 華夷觀과 領域 인식

Poeun Jeong Mong-ju's World View & Territory Understanding

포은학연구 | 6 | 2010 | 기타인문학

元明 교체기 포은 정몽주의 華夷觀과 領域 인식

Poeun Jeong Mong-ju's World View & Territory Understanding

포은학연구 | 6 | | 2010 | 기타인문학

박영준 문학과 만주 -박영준 문학세계의 연속성 탐구를 위한 시론-

Park Young-jun and Manchuria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일본인의 만주 수학여행 - 네트워크와 제국의식 -

School excursions to Manchuria in 1930s Japan: Focused on the trip network and imperial consciousness

동북아역사논총 | 31 | 2011 | 역사학

잡지『조선』(1908~1911)에 나타난 간도ㆍ만주 담론

Gando Convention: A Historical Account based on an article in Chosun

아시아문화연구 | 19 | 2010 | 기타인문학

잡지『조선』(1908~1911)에 나타난 간도ㆍ만주 담론

Gando Convention: A Historical Account based on an article in Chosun

아시아문화연구 | 19 | | 2010 | 기타인문학

유태인의 만주 이산과 삶

猶太人的满洲移居和生活

중국근현대사연구 | 54 | 2012 | 중국현대사

‘국가’와 ‘초국가’ 담론의 서사적 표상체계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만주’ 표상의 통시적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Comments on studying narrative representation system of a nation and ’trans-nation‘ discourse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0 | 기타국문학

‘국가’와 ‘초국가’ 담론의 서사적 표상체계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만주’ 표상의 통시적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Comments on studying narrative representation system of a nation and ’trans-nation‘ discourse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0 | 기타국문학

만주서사와 (탈)식민의 타자들

Narrative of Manchuria and (Post)colonial Others

어문학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만주서사와 (탈)식민의 타자들

Narrative of Manchuria and (Post)colonial Others

어문학 |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만조선인의 내선일체 담론과 균열 - 이석훈의 일본어 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Imperialistic desire and colonial subject in Manchuria -Centering on Lee, Seok-Hoon's novels in Japanese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작가의 공간의식과 만주의 의미 -이태준의 <농군>과 안수길의 <벼>를 중심으로-

Author’s Recognition on Space, and the meaning of Manchuria -Based on of Yi Taejun and of Ahn Sugil-

현대소설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교양’, 식민화된 제국국민 그 계층 질서의 척도 -한설야의 「대륙」

‘Liberal’, the Colonized People in the Measure of the Hierarchy Order -Seol Ya, Han 「The Continent」

인문과학연구논총 | 33 | 2012 | 기타인문학

'재만(在滿)'이라는 경험의 특수성 -정치적 아이덴티티와 이민족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ving in Manchuria As Special Experience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재만(在滿)'이라는 경험의 특수성 -정치적 아이덴티티와 이민족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ving in Manchuria As Special Experience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신화의 창출, 무법의 창출 -한국영화의 만주표상

Making Resistance History and the Invention of the Outlaw : Cinematic Representations of Manchuria in Korean Action Films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신화의 창출, 무법의 창출 -한국영화의 만주표상

Making Resistance History and the Invention of the Outlaw : Cinematic Representations of Manchuria in Korean Action Films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서양 고지도에 표현된 한중국경 및 만주 - 티메카코리아웹사이트의 서양 지도를 중심으로-

The Border between Korea and China and Manchuria on Old Western Maps on Tmeccakorea? Website -

문화역사지리 | 23 | 3 | 2011 | 인문지리학

재만 조선인 시문학의 만주성 재현 연구 - 만주국 시기 디아스포라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poetry in Manchuria about Manchusung's representation - Focusing on the viewpoint of diaspora during the time of Manchukuo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인의 기록을 통해 본 滿洲의 都城2

A Study on Capital City of Manchuria through Korean's Documents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3 | 1 | 2012 | 기타인문학

일본 ‘만주’시 속의 대 중국관 : 한국 ‘만주’시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日本の‘滿洲’ 詩に現れた中國観の諸様相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萬寶山사건 전후 동북아의 민족관계와 민족모순 - 중국인의 사건 인식을 중심으로 -

The Chinese Recognition of the Northeast Asia's Ethnic Relations and their Problems about the time of Wanbaoshan Incident

역사학보 | 210 | 2011 | 역사학

‘뿌리 뽑힌 자들의 放浪地!’ : 조선인에게 비쳐진 滿洲國 社會像

Nomad’s Land: Koreans’ Perceived Social Image of Manchukuo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6 | 2011 | 역사학

만주에 관한 지식과 조선후기 사회

Knowledge on Manchuria and the Late Choson Dynasty

역사학보 | 208 | 2010 | 역사학

만주에 관한 지식과 조선후기 사회

Knowledge on Manchuria and the Late Choson Dynasty

역사학보 | | 208 | 2010 | 역사학

중국 만주지역 조선인 디아스포라와 한국전쟁

A Study on the Korean War and Korean Diaspora in China Manchuria

재외한인연구 | 23 | 2011 | 기타인문학

‘교양’, 식민화된 제국국민 그 계층 질서의 척도 -한설야의 「대륙」

‘Liberal’, the Colonized People in the Measure of the Hierarchy Order -Seol Ya, Han 「The Continent」

인문과학연구논총 | 33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인의 기록을 통해 본 滿洲의 都城2

A Study on Capital City of Manchuria through Korean's Documents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3 | 1 | 2012 | 기타인문학

‘東亞’ 트라우마, 제국의 지정학적 공간과 ‘이등신민’의 정치학

‘Dong-A’ Trauma: Semiotic Politics of ‘Second class Subject’ in Multi-ethnic Manchuria, Geopolitical Space of Japanese Imperialism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4 | 2012 | 사회학

滿洲國의 宗敎政策에 對한 硏究 -國家宗敎와 國家理念의 變形을 中心으로-

A study on religious policy of Manchuri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national religion & deformation of national ideology-

숭실사학 | 24 | 2010 | 기타역사일반

滿洲國의 宗敎政策에 對한 硏究 -國家宗敎와 國家理念의 變形을 中心으로-

A study on religious policy of Manchuri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national religion & deformation of national ideology-

숭실사학 | | 24 | 2010 | 기타역사일반

1920~30년대 만주지역 한인사회주의운동과 종교 -종교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Korean Social Movements and Religions in 1920~30s’ Manchuria -focused on understanding of religion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2 | 2010 | 역사학

1920~30년대 만주지역 한인사회주의운동과 종교 -종교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Korean Social Movements and Religions in 1920~30s’ Manchuria -focused on understanding of religion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2 | 2010 | 역사학

근대 조선인의 만주농촌체험과 민족인식 -조선족의 이민체험 구술사를 중심으로-

The Rural Experience and National Recognition of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4 | 2010 | 역사학

근대 조선인의 만주농촌체험과 민족인식 -조선족의 이민체험 구술사를 중심으로-

The Rural Experience and National Recognition of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4 | 2010 | 역사학

근대 조선인의 만주농촌체험과 민족인식 -조선족의 이민체험 구술사를 중심으로-

The Rural Experience and National Recognition of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4 | 2010 | 역사학

근대 조선인의 만주농촌체험과 민족인식 -조선족의 이민체험 구술사를 중심으로-

The Rural Experience and National Recognition of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4 | 2010 | 역사학

만주에 관한 지식과 조선후기 사회

Knowledge on Manchuria and the Late Choson Dynasty

역사학보 | 208 | 2010 | 역사학

만주에 관한 지식과 조선후기 사회

Knowledge on Manchuria and the Late Choson Dynasty

역사학보 | | 208 | 2010 | 역사학

‘뿌리 뽑힌 자들의 放浪地!’ : 조선인에게 비쳐진 滿洲國 社會像

Nomad’s Land: Koreans’ Perceived Social Image of Manchukuo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6 | 2011 | 역사학

萬寶山사건 전후 동북아의 민족관계와 민족모순 - 중국인의 사건 인식을 중심으로 -

The Chinese Recognition of the Northeast Asia's Ethnic Relations and their Problems about the time of Wanbaoshan Incident

역사학보 | 210 | 2011 | 역사학

신화의 창출, 무법의 창출 -한국영화의 만주표상

Making Resistance History and the Invention of the Outlaw : Cinematic Representations of Manchuria in Korean Action Films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신화의 창출, 무법의 창출 -한국영화의 만주표상

Making Resistance History and the Invention of the Outlaw : Cinematic Representations of Manchuria in Korean Action Films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재만(在滿)'이라는 경험의 특수성 -정치적 아이덴티티와 이민족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ving in Manchuria As Special Experience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재만(在滿)'이라는 경험의 특수성 -정치적 아이덴티티와 이민족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ving in Manchuria As Special Experience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일본 ‘만주’시 속의 대 중국관 : 한국 ‘만주’시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日本の‘滿洲’ 詩に現れた中國観の諸様相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재만조선인의 내선일체 담론과 균열 - 이석훈의 일본어 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Imperialistic desire and colonial subject in Manchuria -Centering on Lee, Seok-Hoon's novels in Japanese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재만 조선인 시문학의 만주성 재현 연구 - 만주국 시기 디아스포라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poetry in Manchuria about Manchusung's representation - Focusing on the viewpoint of diaspora during the time of Manchukuo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Imperial Nationalism Represented in 1940 Colonial Manchuria: An Examination of Kim Yeong-pal’s Play, Kim Dong-han

Korea Journal | 51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작가의 공간의식과 만주의 의미 -이태준의 <농군>과 안수길의 <벼>를 중심으로-

Author’s Recognition on Space, and the meaning of Manchuria -Based on of Yi Taejun and of Ahn Sugil-

현대소설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만주서사와 (탈)식민의 타자들

Narrative of Manchuria and (Post)colonial Others

어문학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만주서사와 (탈)식민의 타자들

Narrative of Manchuria and (Post)colonial Others

어문학 |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일본 농민의 만주 이주와농법 개량

1930年代日本農民の満州移住と農法改良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17 | 2010 | 일본문화학

1930년대 일본 농민의 만주 이주와농법 개량

1930年代日本農民の満州移住と農法改良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 17 | 2010 | 일본문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