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급의식

연구분야 : B1208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사회학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3360

한자 : 階級意識
영어 : class consciousness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총체성 [ 總體性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계급 정체성 [ 階級正體性 ]

resultsIn (산물/결과)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계급사회 [ 階級社會 ]

RT (관련어)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계층 의식 [ 階層意識 ]

RT (관련어)

연대성 있는 의식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동류 의식 [ 同類意識 ]

RT_Y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계급성 [ 階級性 ]

박세영 시문학과 북한문학사 초기 형성 과정

Park Se-Young's Poetic literature and Early Stage of Formation of North Korea's Poetic literature

남북문화예술연구 | 8 | 2011 | 기타예술일반

남정현의 「분지」에 나타난 한국근대소설의 식민성

The Coloniality of Korean Modern Novels in the Nam, Jung-hyeun's BUNJI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로자의 가치성향이 노조정체성과 노조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mployees' Value Orientation on Union Identity and Union Participation Behavior

산업경제연구 | 24 | 1 | 2011 | 경제학

한국 노동자의 계급의식 결정요인

경제와 사회 | 87 | 2010 | 사회학

한국 노동자의 계급의식 결정요인

경제와 사회 | | 87 | 2010 | 사회학

역사와 계급의식의 주요 쟁점

Wichtige Streitpunkte von Geschichte und Klassenbewußtsein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