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체성

연구분야 : A030405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 서양근대독일철학

클래스 : 기질/품질/형질/성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6215

한자 : 總體性
영어 : totality
독일어 : totalität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전체성 [allness]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개별성 [ 個別性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계급의식 [ 階級意識 ]

니체와 ‘불의 연금술’ 융합모델로서의 ‘문화복합’과 ‘카오스모스’

Nietzsche und ‘Alchemie des Feuers’ - ‘Kulturkomplex’ und ‘Chaosmos’ als antitotalitǟres Ganzheits-und dynamisches Fusionseinheitsmodell

니체연구 | 18 | 2010 | 철학

니체와 ‘불의 연금술’ 융합모델로서의 ‘문화복합’과 ‘카오스모스’

Nietzsche und ‘Alchemie des Feuers’ - ‘Kulturkomplex’ und ‘Chaosmos’ als antitotalitǟres Ganzheits-und dynamisches Fusionseinheitsmodell

니체연구 | | 18 | 2010 | 철학

몽골 근대사의 문학적 형상화 -차드라발 로도이담바의 '맑은 타미르 강' 연구-

The study on ‘The clear Tamir river’ by Chadrabal Rodoidamba

한중인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몽골 근대사의 문학적 형상화 -차드라발 로도이담바의 '맑은 타미르 강' 연구-

The study on ‘The clear Tamir river’ by Chadrabal Rodoidamba

한중인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보들레르의 음악비평을 통해서 본 바그너 음악극의 신화적 세계

Monde mythique dans le Musikdrama de Wagner selon la critique musicale de Baudelaire

불어불문학연구 | 91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홍윤성(洪允成) 일화의 재현 방식과 현실 맥락

The Representation and Context in Anecdotes about Hong Yunsung(洪允成)

서강인문논총 | 29 | 2010 | 기타인문학

홍윤성(洪允成) 일화의 재현 방식과 현실 맥락

The Representation and Context in Anecdotes about Hong Yunsung(洪允成)

서강인문논총 | | 29 | 2010 | 기타인문학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무용공연의 매체미학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Media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ance Combined with Digital Technology

무용역사기록학 | 22 | 2011 | 무용

아도르노의 사회비판의 논리에 대한 일고찰 ―그의 음악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 Adorno's logic of Social Critique - Focusing on Adorno' Musical Theory

인문학연구 | 38 | 3 | 2011 | 기타인문학

독일 문예사상의 핵심개념에 대한 탈현대적 재구성

Eine postmoderne Rekonstruktion der Kernbegriffe von dem deutschen Literatur­ und Kunstdenken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독일 문예사상의 핵심개념에 대한 탈현대적 재구성

Eine postmoderne Rekonstruktion der Kernbegriffe von dem deutschen Literatur­ und Kunstdenken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클로델 시의 풍경과 유토피아적 공간의 구축 — 『동양 인식』을 중심으로

Le paysage dans la poésie claudelienne et la construction utopique — autour de Connaissance de l'Est

불어불문학연구 | 89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하버마스의 변증법적 사회이론과 판넨베르크의 보편사적 해석학

J. Habermas’ Dialectical Social Theory and W. Pannenberg’s Universal-Historical Hermeneutics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6 | 2011 | 기독교신학

역사와 계급의식의 주요 쟁점

Wichtige Streitpunkte von Geschichte und Klassenbewußtsein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헤겔의 미학에서 ‘포에지(Poesie)’의 체계적 의미

Systematic Meanings of ‘Poetry(Poesie)’ in Hegel’s Aesthetics

철학연구 | 98 | 2012 | 철학

몰트만과 최한기 ‘사이’에서 기독교 ‘성령론’ 다시 읽기 : 성령의 물질성, 총체성, 공공성에 관하여

Rethinking ‘Christian Pneumatology’ in a Reading between Jürgen Moltmann and Ch’oe Han-ki:Materiality, Wholeness, and Publicity of the Holy Spirit

한국조직신학논총 | 32 | 2012 | 조직신학

독일문학작품에 구현된 카인-아벨의 소재 변용(Ⅰ)

Der Stoffwandel von 'Kain und Abel' in den deutschen Dichtungen (1)

헤세연구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독일문학작품에 구현된 카인-아벨의 소재 변용(Ⅰ)

Der Stoffwandel von 'Kain und Abel' in den deutschen Dichtungen (1)

헤세연구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지식의 통섭(通涉)과 인류학

Consilience of Knowledge and Anthropology

비교문화연구 | 18 | 2 | 2012 | 인류학

근대 한국정치학과 ‘정치’ 인식의 불연속성 : 전통적 총체성의 상실

Modern Korean Political Science and Discontinuity in Recognition of 'Politics' : Loss of Traditional Wholeness

현대정치연구 | 5 | 1 | 2012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