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문학

연구분야 :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414

STNet ID : 1000576

한자 : 兒童文學
영어 : children’s literature
영어 : juvenile literature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소년 소녀 문학 [ 少年少女文學 ]

UF (비우선어)

 

 

어린이 문학 () [ --文學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학 () [ 文學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아동 소설 () [ 兒童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동화 () [ 童話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동요 [ 童謠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동시 () [ 童詩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유아 문학 [ 幼兒文學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아동 () [ 兒童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존 뉴베리 [John Newbery]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1970년대 문학 [ --年代文學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국제아동청소년도서협의회 () [ 國際兒童靑少年圖書協議會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아동 문학상 () [ 兒童文學賞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다닐 하름스 [Kharms, Daniil]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아지 [ 朴芽枝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세계 동화 연구 [ 世界童話硏究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동화 교육 [ 童話敎育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안데르센 동화 [Andersen's Fairy Tales Told for Children]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강소천 [ 姜小泉 ]

RT_Y (◄관련어)

관련 장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청소년 문학 () [ 靑少年文學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c02-01 감정 감정

동심 () [ 童心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샬롯의 거미줄 [Charlotte`s Web]

1950년대 신문저널리즘과 문학

Newspaper Journalism and Literature during the 1950's

반교어문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신문저널리즘과 문학

Newspaper Journalism and Literature during the 1950's

반교어문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 문학 연구의 현황과 문학사적 균열의 지점

Status of Baek Seok Literature Research and Point of Literary Crack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전소설 「심청전」의 애니메이션 「왕후 심청」으로의 변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Modification into the Animation ‘Empress Chung’ of the Classical Novel ‘Shimchungjeon’

한국학연구 | 35 | 2010 | 기타인문학

고전소설 「심청전」의 애니메이션 「왕후 심청」으로의 변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Modification into the Animation ‘Empress Chung’ of the Classical Novel ‘Shimchungjeon’

한국학연구 | | 35 | 2010 | 기타인문학

백석 문학 연구의 현황과 문학사적 균열의 지점

Status of Baek Seok Literature Research and Point of Literary Crack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원수의 전래동화 연구를 위한 기초 고찰

A Basic Review for the Study of Lee Won-su’s traditional fairy tales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9 | 2011 | 아동문학

『샬롯의 거미줄』에 형상화된 어린이와 동물의 세계*

Figuration of the Child and Animals in Charlotte's Web

문학과환경 | 10 | 2 | 2011 | 문학

1920년대 아동문학에서의 ‘눈물’의 의미와 표출양상

A Study of Meaning and Expression Patterns of ‘Tears’ in Children’s Literature during the 1920s

동화와 번역 | 23 | 2012 | 아동문학

고전소설 「심청전」의 애니메이션 「왕후 심청」으로의 변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Modification into the Animation ‘Empress Chung’ of the Classical Novel ‘Shimchungjeon’

한국학연구 | 35 | 2010 | 기타인문학

고전소설 「심청전」의 애니메이션 「왕후 심청」으로의 변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Modification into the Animation ‘Empress Chung’ of the Classical Novel ‘Shimchungjeon’

한국학연구 | | 35 | 2010 | 기타인문학

장편소설에 대한 두려움 없애기: ‘공간’을 주제로 구성된 수업의 예

Getting over Fear of Classic Novels: How to Introduce Extensive Reading into the Curriculum of English Department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장편소설에 대한 두려움 없애기: ‘공간’을 주제로 구성된 수업의 예

Getting over Fear of Classic Novels: How to Introduce Extensive Reading into the Curriculum of English Department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그림책의 은유와 환상성 연구

Metaphor and Fantasy in Picture Book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영어교육 아동문학의 시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int of View in Children's Literature for Language Learning

현대영미어문학 | 28 | 2 | 2010 | 영어와문학

영어교육 아동문학의 시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int of View in Children's Literature for Language Learning

현대영미어문학 | 28 | 2 | 2010 | 영어와문학

17세기 콩트의 개념과 형태 연구 : 라 퐁텐의 「콩트집」을 중심으로

Etude sur la définition et la forme du conte littéraire au XVIIe siècle : Les Contes de La Fontaine

한국프랑스학논집 | 78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영어교육 아동문학의 시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int of View in Children's Literature for Language Learning

현대영미어문학 | 28 | 2 | 2010 | 영어와문학

영어교육 아동문학의 시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int of View in Children's Literature for Language Learning

현대영미어문학 | 28 | 2 | 2010 | 영어와문학

장편소설에 대한 두려움 없애기: ‘공간’을 주제로 구성된 수업의 예

Getting over Fear of Classic Novels: How to Introduce Extensive Reading into the Curriculum of English Department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장편소설에 대한 두려움 없애기: ‘공간’을 주제로 구성된 수업의 예

Getting over Fear of Classic Novels: How to Introduce Extensive Reading into the Curriculum of English Department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허클베리 핀의 모험』과 세 영화

A Comparative Study of Three Huckleberry Finn Film Adaptations

미국소설 | 18 | 2 | 2011 | 영어와문학

분단 이후 백석 동시론: ‘유년 화자’와 ‘대상으로서 아동’의 문제

Criticism of Baek Seok’s children’s poetry since the division of Korea: 'the juvenile narrator' and 'the child as the object'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차오원쉬엔(曹文軒)의 『초가집(草房子)』 연구

A Study on Cao Wenxuan’s “The Straw House”

한중언어문화연구 | 28 | 2012 | 중국어와문학

분단 이후 백석 동시론: ‘유년 화자’와 ‘대상으로서 아동’의 문제

Criticism of Baek Seok’s children’s poetry since the division of Korea: 'the juvenile narrator' and 'the child as the object'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탐정소설, 소년과 모험을 떠나다 -1920년대 방정환 소년탐정소설의 문학사적 위치와 의의

Detective Stories, ‘Setting off for Adventure with Children’ -The Meaning and Position of Bang Jung-hwan’s Detective Stories for Children in the Literary History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탐정소설, 소년과 모험을 떠나다 -1920년대 방정환 소년탐정소설의 문학사적 위치와 의의

Detective Stories, ‘Setting off for Adventure with Children’ -The Meaning and Position of Bang Jung-hwan’s Detective Stories for Children in the Literary History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아동 신문『붉은 져고리』 연구 - 수록 동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Bulgeun Jeogory』(Red Shirts) the Children's Newspaper in the 1910's - Focus on Verse for Children

한국아동문학연구 | 22 | 2012 | 아동문학

그림책의 은유와 환상성 연구

Metaphor and Fantasy in Picture Book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탐정소설, 소년과 모험을 떠나다 -1920년대 방정환 소년탐정소설의 문학사적 위치와 의의

Detective Stories, ‘Setting off for Adventure with Children’ -The Meaning and Position of Bang Jung-hwan’s Detective Stories for Children in the Literary History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탐정소설, 소년과 모험을 떠나다 -1920년대 방정환 소년탐정소설의 문학사적 위치와 의의

Detective Stories, ‘Setting off for Adventure with Children’ -The Meaning and Position of Bang Jung-hwan’s Detective Stories for Children in the Literary History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 북한 문학교육의 일동향 -아동문학교육교양장의 변동기적 위상을 중심으로-

A Trend on the Literary Education of North Korea in the 1960s -With a focus on relocation and renovation in the field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for children-

문학교육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 북한 문학교육의 일동향 -아동문학교육교양장의 변동기적 위상을 중심으로-

A Trend on the Literary Education of North Korea in the 1960s -With a focus on relocation and renovation in the field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for children-

문학교육학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그림동화를 사용한 어린이 영어 학습 —실제 수업을 통한 방법 모색

Picture-Storybook-Based English Learning for Children: An Exploration for Classroom Implementation

영어영문학21 | 23 | 2 | 2010 | 영어와문학

그림동화를 사용한 어린이 영어 학습 —실제 수업을 통한 방법 모색

Picture-Storybook-Based English Learning for Children: An Exploration for Classroom Implementation

영어영문학21 | 23 | 2 | 2010 | 영어와문학

주요섭 동화에 나타난 아동문학관

한국아동문학연구 | 18 | 2010 | 아동문학

주요섭 동화에 나타난 아동문학관

한국아동문학연구 | | 18 | 2010 | 아동문학

재외동포 아동학습자용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아동문학 제재를 활용한 문화교육 단원 구성 방안

A Study on the Enrichment of Korean Language Materials for the Children of Overseas Koreans; An Alternative for Cultural Education by Using Materials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한국어교육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외동포 아동학습자용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아동문학 제재를 활용한 문화교육 단원 구성 방안

A Study on the Enrichment of Korean Language Materials for the Children of Overseas Koreans; An Alternative for Cultural Education by Using Materials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한국어교육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아동문학 수업방법과 학생 반응 연구 - 『아기돼지 삼형제』와 『미녀와 야수』를 중심으로 -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ction to Critical literacy-based Children's Literature Classes - Centering on Three Little Pigs and Beauty and the Beast

국제언어문학 | 21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아동문학 수업방법과 학생 반응 연구 - 『아기돼지 삼형제』와 『미녀와 야수』를 중심으로 -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ction to Critical literacy-based Children's Literature Classes - Centering on Three Little Pigs and Beauty and the Beast

국제언어문학 | | 21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2007 국어과 교육과정과 초등 문학교육 전망 -‘내용 체계’의 비판과 구성을 중심으로-

A Design of the Contents-Table of the Literature Curriculum for Elementary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43 | 2011 | 국어교육

재외동포 아동학습자용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아동문학 제재를 활용한 문화교육 단원 구성 방안

A Study on the Enrichment of Korean Language Materials for the Children of Overseas Koreans; An Alternative for Cultural Education by Using Materials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한국어교육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외동포 아동학습자용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아동문학 제재를 활용한 문화교육 단원 구성 방안

A Study on the Enrichment of Korean Language Materials for the Children of Overseas Koreans; An Alternative for Cultural Education by Using Materials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한국어교육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화목 동시 연구 (1) -발표 현황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rk Hwa-mok's Children´s Poetry (1) - Centered on the Present Status of Publication -

한국아동문학연구 | 19 | 2010 | 아동문학

박화목 동시 연구 (1) -발표 현황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rk Hwa-mok's Children´s Poetry (1) - Centered on the Present Status of Publication -

한국아동문학연구 | | 19 | 2010 | 아동문학

1960년대 북한 문학교육의 일동향 -아동문학교육교양장의 변동기적 위상을 중심으로-

A Trend on the Literary Education of North Korea in the 1960s -With a focus on relocation and renovation in the field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for children-

문학교육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 북한 문학교육의 일동향 -아동문학교육교양장의 변동기적 위상을 중심으로-

A Trend on the Literary Education of North Korea in the 1960s -With a focus on relocation and renovation in the field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for children-

문학교육학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지난 10여 년간 동화·아동소설의 흐름과 장르 문제

The problem of stream and genre of children's story .children's novel for the past 10 years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6 | 2010 | 아동문학

지난 10여 년간 동화·아동소설의 흐름과 장르 문제

The problem of stream and genre of children's story .children's novel for the past 10 years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 6 | 2010 | 아동문학

≪西遊記≫的兒童文學特性 ― 對醜惡的追求爲中心

Juvenil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Journey to the West: Focusing on Hideous Aspects

중국어문논총 | 47 | 2010 | 중국어와문학

≪西遊記≫的兒童文學特性 ― 對醜惡的追求爲中心

Juvenil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Journey to the West: Focusing on Hideous Aspects

중국어문논총 | | 47 | 2010 | 중국어와문학

이원수의 친일 아동문학과 작가론 구성 논리에 대한 재검토

Reexamination of Lee Won Su's Pro-Japanese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Logic of Constructing Auteurism

우리어문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찰스 디킨스의 『어려운 시절』에 나타난 아동문학적 요소

Some Elements of Children’s Literature in Charles Dickens’s Hard Times

영어영문학연구 | 53 | 1 | 2011 | 영어와문학

1960년대 전반기 북한 문학교육교양 매체 『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Thematic Trend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s a Medium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1960~1965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 전반기 북한 문학교육교양 매체 『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Thematic Trend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s a Medium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1960~1965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계보에 비추어 본 이주홍 아동문학의 특질-카프 시기의 성과를 중심으로-

Special Quality of Lee Ju-hong’s Literaturein the Light of Genealogy-Focused on Activity During the Period of KAPF-

문학교육학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찰스 디킨스의 『어려운 시절』에 나타난 아동문학적 요소

Some Elements of Children’s Literature in Charles Dickens’s Hard Times

영어영문학연구 | 53 | 1 | 2011 | 영어와문학

심미적 거리와 추상화된 자연 : 영미 아동문학 속의 생태적 사유

Aesthetic Distance and Abstract Nature: Teaching Ecological Awareness through Children’s Literature

문학과환경 | 10 | 1 | 2011 | 문학

아동문학 텍스트 활용 초등영어 토의 수업을 위한 실행 연구

Implementing literature discussion for primary English learners using children's literature based on the framework of action research

초등영어교육 | 18 | 1 | 2012 | 영어교육

그림책 읽기의 심미적 접근 : “Don't Let the Pigeon Drive the Bus!” 를 중심으로

An Analytical Study of Aesthetic Elements in a Picture Book : “Don't Let the Pigeon Drive the Bus!”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11 | 1 | 2010 | 교육학

그림책 읽기의 심미적 접근 : “Don't Let the Pigeon Drive the Bus!” 를 중심으로

An Analytical Study of Aesthetic Elements in a Picture Book : “Don't Let the Pigeon Drive the Bus!”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11 | 1 | 2010 | 교육학

톨스토이의 아동문학에 나타난 생태주의 - 나무의 형상을 중심으로

Ecology in Tolstoy's Work of Children's Literature: with priority given to the shape of trees.

외국문학연구 | 47 | 2012 | 문학

아동의 시선과 다성성의 세계 -김현아의 『베트남 이야기』를 중심으로-

Children’s sight and World of Polyphony

동화와 번역 | 22 | 2011 | 아동문학

그림책 읽기의 심미적 접근 : “Don't Let the Pigeon Drive the Bus!” 를 중심으로

An Analytical Study of Aesthetic Elements in a Picture Book : “Don't Let the Pigeon Drive the Bus!”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11 | 1 | 2010 | 교육학

그림책 읽기의 심미적 접근 : “Don't Let the Pigeon Drive the Bus!” 를 중심으로

An Analytical Study of Aesthetic Elements in a Picture Book : “Don't Let the Pigeon Drive the Bus!”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11 | 1 | 2010 | 교육학

계보에 비추어 본 이주홍 아동문학의 특질-카프 시기의 성과를 중심으로-

Special Quality of Lee Ju-hong’s Literaturein the Light of Genealogy-Focused on Activity During the Period of KAPF-

문학교육학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유아문학 접근방법에 따른 Grimm 형제 동화 연구의 분석: 국내 독일문학 영역 학술지의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Papers regarding Grimm's Fairy-Tales Using Children's Literature Approaches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7 | 1 | 2010 | 교육학

유아문학 접근방법에 따른 Grimm 형제 동화 연구의 분석: 국내 독일문학 영역 학술지의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Papers regarding Grimm's Fairy-Tales Using Children's Literature Approaches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7 | 1 | 2010 | 교육학

아동문학 기반 총체적 언어학습을 위한 초등영어 교실수업모델 개발 및 적용

A study of developing primary English teaching models for whole language learning using children’s literature

초등영어교육 | 17 | 1 | 2011 | 영어교육

「오세암」 설화의 심층의미와 아동문화콘텐츠로의 변용에 관한 연구

The Deep Meaning of Folk Tale ‘Oseam’ and the Study on Modification into its Children's Cultural Contents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오세암」 설화의 심층의미와 아동문화콘텐츠로의 변용에 관한 연구

The Deep Meaning of Folk Tale ‘Oseam’ and the Study on Modification into its Children's Cultural Contents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 전반기 북한 문학교육교양 매체 『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Thematic Trend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s a Medium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1960~1965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 전반기 북한 문학교육교양 매체 『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Thematic Trend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s a Medium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1960~1965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오세암」 설화의 심층의미와 아동문화콘텐츠로의 변용에 관한 연구

The Deep Meaning of Folk Tale ‘Oseam’ and the Study on Modification into its Children's Cultural Contents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오세암」 설화의 심층의미와 아동문화콘텐츠로의 변용에 관한 연구

The Deep Meaning of Folk Tale ‘Oseam’ and the Study on Modification into its Children's Cultural Contents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원수의 친일 아동문학과 작가론 구성 논리에 대한 재검토

Reexamination of Lee Won Su's Pro-Japanese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Logic of Constructing Auteurism

우리어문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아동문학 텍스트 활용 초등영어 토의 수업을 위한 실행 연구

Implementing literature discussion for primary English learners using children's literature based on the framework of action research

초등영어교육 | 18 | 1 | 2012 | 영어교육

아동문학 기반 총체적 언어학습을 위한 초등영어 교실수업모델 개발 및 적용

A study of developing primary English teaching models for whole language learning using children’s literature

초등영어교육 | 17 | 1 | 2011 | 영어교육

스페인 아동문학의 황금기 -1930년대를 중심으로-

La edad de oro de la literatura infantil española en torno a los clásicos españoles en los años treinta

스페인어문학 | 64 | 2012 | 기타스페인문학

A Case Study of a Korean ESL Child's Use of Wordless Picture Books

인문학연구 | 38 | 2 | 2011 | 기타인문학

톨스토이의 아동문학 작품에 나타난 생태주의- 동물 소재를 중심으로 -

Ecology in Tolstoy's Work of Children's Literature : with Priority Given to the Animal Subject Matter

생태유아교육연구 | 11 | 3 | 2012 | 유아교육

레짐과 어린이문학 - 조선총독부, 『조선동화집』/학우서방, 『우리나라 옛이야기』를 중심으로

Regime and Children’s Literature — Focused on Chosun-Governor Office, Fairy Tales of Chosun & Hakwoosubang Korean Old Fairy Tales

비교문학 | 56 | 2012 | 인문학

아동 문학을 활용한 수학 수업이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athematics Instruction Using Children’s Literature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6 | 1 | 2012 | 교육학

김태오의 아동문학 연구

A Study on Kim Tae-oh's Theory of Juvenile Literature

영주어문 | 20 | 2010 | 기타국문학

김태오의 아동문학 연구

A Study on Kim Tae-oh's Theory of Juvenile Literature

영주어문 | 20 | | 2010 | 기타국문학

톨스토이의 아동문학 작품에 나타난 생태주의- 동물 소재를 중심으로 -

Ecology in Tolstoy's Work of Children's Literature : with Priority Given to the Animal Subject Matter

생태유아교육연구 | 11 | 3 | 2012 | 유아교육

대학교에서 영미아동문학 가르치기

Teaching British and American Children’s Literature to Undergraduate Students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대학교에서 영미아동문학 가르치기

Teaching British and American Children’s Literature to Undergraduate Students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Enhancing EFL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Extensive Reading of Children’s Literature

영미문학교육 | 15 | 1 | 2011 | 영어와문학

아동 문학을 활용한 수학 수업이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athematics Instruction Using Children’s Literature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6 | 1 | 2012 | 교육학

Web 2.0시대의 인터넷 도구를 활용한 어린이문학 창작교육 가능성 탐색

Children's Literature Writing via web 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11 | 2 | 2010 | 교육학

Web 2.0시대의 인터넷 도구를 활용한 어린이문학 창작교육 가능성 탐색

Children's Literature Writing via web 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11 | 2 | 2010 | 교육학

홍당무 번역의 과거와 현재 —아동본 번역의 쟁점들

A Diachronic Examination of the Korean Translations of Poil de Carotte: Issues Regarding Translations for Children

번역학연구 | 13 | 2 | 2012 | 통역번역학

아동문학으로서 「유용한 고양이들에관한 늙은 파섬 시집」

Old Possum’s Book of Practical Cats as Children’s Literature

T. S. 엘리엇연구 | 20 | 2 | 2010 | 영어와문학

아동문학으로서 「유용한 고양이들에관한 늙은 파섬 시집」

Old Possum’s Book of Practical Cats as Children’s Literature

T. S. 엘리엇연구 | 20 | 2 | 2010 | 영어와문학

고한승의 문학적 행로

Go Han-seung’s Literary Path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아동문학의 독자 특성에 따른 문학 교육 내용 위계화 방향(1) -독자군 별 경향을 중심으로-

The Direction of Sequencing on Literature Education Contents Depending on the Readers of Children's Literature (1) -Focus on the Tendency of Each Reader Group-

국어교육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아동문학의 독자 특성에 따른 문학 교육 내용 위계화 방향(1) -독자군 별 경향을 중심으로-

The Direction of Sequencing on Literature Education Contents Depending on the Readers of Children's Literature (1) -Focus on the Tendency of Each Reader Group-

국어교육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아동문학으로서 「유용한 고양이들에관한 늙은 파섬 시집」

Old Possum’s Book of Practical Cats as Children’s Literature

T. S. 엘리엇연구 | 20 | 2 | 2010 | 영어와문학

아동문학으로서 「유용한 고양이들에관한 늙은 파섬 시집」

Old Possum’s Book of Practical Cats as Children’s Literature

T. S. 엘리엇연구 | 20 | 2 | 2010 | 영어와문학

대학교에서 영미아동문학 가르치기

Teaching British and American Children’s Literature to Undergraduate Students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대학교에서 영미아동문학 가르치기

Teaching British and American Children’s Literature to Undergraduate Students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Web 2.0시대의 인터넷 도구를 활용한 어린이문학 창작교육 가능성 탐색

Children's Literature Writing via web 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11 | 2 | 2010 | 교육학

Web 2.0시대의 인터넷 도구를 활용한 어린이문학 창작교육 가능성 탐색

Children's Literature Writing via web 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11 | 2 | 2010 | 교육학

1920년대 ?동아일보? 소재 아동 서사 문학 연구

The Study of Children’s Narratives Serialized in Dong A Ilbo in the 1920s

인문과학연구논총 | 33 | 2012 | 기타인문학

러시아 아동문학 속의 성인과 아동의 이중적 텍스트구조 -하름스의 아동작품을 중심으로-

Dualistic Textual Structure of Adult and Children in the Children’s Literature of Russia: Focusing on the Children’s Literature of Daniil Kharms

노어노문학 | 23 | 1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아동문학에 나타난 가족, 그리고 해체

The Family in Children’s Literature and Its Disintegration

영어영문학 | 58 | 1 | 2012 | 영어와문학

아동문학에 나타난 환경디스토피아

Eco-Dystopia in Children’s Literature

영어영문학연구 | 53 | 3 | 2011 | 영어와문학

아동문학과 생태비평

Children’s Literature and Ecocriticism

영어영문학연구 | 52 | 4 | 2010 | 영어와문학

아동문학과 생태비평

Children’s Literature and Ecocriticism

영어영문학연구 | 52 | 4 | 2010 | 영어와문학

현단계 아동문학 장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원종찬의 이원수 장르론 해석을 중심으로

A Critical Study on the Current Discussion about Genres of Children’s Literature -Focused on Won Jong-Chan’s Analysis of Lee Won-Soo’s Genre Theory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6 | 2010 | 아동문학

현단계 아동문학 장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원종찬의 이원수 장르론 해석을 중심으로

A Critical Study on the Current Discussion about Genres of Children’s Literature -Focused on Won Jong-Chan’s Analysis of Lee Won-Soo’s Genre Theory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 6 | 2010 | 아동문학

아동문학에 나타난 환경디스토피아

Eco-Dystopia in Children’s Literature

영어영문학연구 | 53 | 3 | 2011 | 영어와문학

그림책의 성인독자

Adult Audience of Picturebooks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11 | 2 | 2010 | 교육학

아동문학 텍스트 기반 초등영어 읽기 전략 지도

Teaching of reading strategies in primary English through the use of children’s literature

초등영어교육 | 16 | 3 | 2010 | 영어교육

아동문학 텍스트 기반 초등영어 읽기 전략 지도

Teaching of reading strategies in primary English through the use of children’s literature

초등영어교육 | 16 | 3 | 2010 | 영어교육

‘구체화 이론’과 ‘이중 부호화 이론’에 입각한 그림책 번역전략

Translating for Children Based on the Dual Coding Theory

번역학연구 | 12 | 2 | 2011 | 통역번역학

아동문학의 한영 번역전략 연구

A Study on the Translation Strategies in Korean-English Children’s Books

동화와 번역 | 23 | 2012 | 아동문학

동화의 희극성 : 소통의 딜레마와 교육적 효과

The Comic Elements in Children's Stories: Dilemma in Communication and Educational Effect

한국아동문학연구 | 22 | 2012 | 아동문학

아동문학에 나타난 가족, 그리고 해체

The Family in Children’s Literature and Its Disintegration

영어영문학 | 58 | 1 | 2012 | 영어와문학

식민지의 기억과 일본 현대 아동문학 - 전후 일본 아동문학 상황과 시카타 신의 조선체험

A War Juvenile Literature and Sikatasin' Chosun

일본어문학 | 55 | 2011 | 일본어와문학

일제 강점기 진주지역 소년문예운동과 진주새힘사 연구

A Study on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of Jinju Area and Jinju Saehimsa during the Japanese Forced Occupation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제 강점기 일간지 게재 부산ㆍ경남지역 동시 연구 - 1920~1930년 조선일보 게재 작품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nursery rhymes of Busan and Kyungnam reg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 centering around works published in Chosun-ilbo(1920-1930)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 강점기 일간지 게재 부산ㆍ경남지역 동시 연구 - 1920~1930년 조선일보 게재 작품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nursery rhymes of Busan and Kyungnam reg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 centering around works published in Chosun-ilbo(1920-1930)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부산 · 경남지역 아동문학의 현황과 전개과정 연구 -1920∼1930년 『동아일보』 게재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development of juvenile literature of Busan and Kyungnam region - centering around works published in Donga-ilbo during the 1920-1930 -

우리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부산 · 경남지역 아동문학의 현황과 전개과정 연구 -1920∼1930년 『동아일보』 게재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development of juvenile literature of Busan and Kyungnam region - centering around works published in Donga-ilbo during the 1920-1930 -

우리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아동문학비평사 시고(試攷)

The Criticism history for Korean Children's literature

한국아동문학연구 | 18 | 2010 | 아동문학

아동문학과 생태비평

Children’s Literature and Ecocriticism

영어영문학연구 | 52 | 4 | 2010 | 영어와문학

아동문학과 생태비평

Children’s Literature and Ecocriticism

영어영문학연구 | 52 | 4 | 2010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