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악

연구분야 : G020100 예술체육 > 음악학 > 한국음악이론/분석

클래스 : 음악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472

한자 : 雅樂

e01-02 음악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y06-02 정부(왕조)명 정부(왕조)명

조선 (1392~1910) [ 朝鮮 ]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2 국가명 국가명

고려 () [ 高麗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궁중 음악 () [ 宮中音樂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여민락 () [ 與民樂 ]

hasKind (종류)

 

y03-03 행사/축제명 행사/축제명

문묘제례악 [ 文廟祭禮樂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12율 [ 十二律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악서 () [ 樂書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고토 [ 琴 ]

isAppliedTo (적용 대상)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훈(塤) () [ 塤 ]

조선조 社稷樂章의 성격과 의미

Characters and Meaning of Joseon Dynasty's Sajik Akjang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荀子 「樂論」의 특징과 영향

荀子「樂論」的特質與影響

유교사상문화연구 | 44 | 2011 | 유교학

고려시대 원구제천의례의 춤에 관한 연구

Study on Dances of the Wongu Rite in Goryeo Dynasty

무용역사기록학 | 25 | 2012 | 무용

세종조 ≪율려신서≫의 유입과 아악정비에 미친 영향

Introduction to in the King Sejong's Period and Its Effect on Reorganization of Court Music

호남학 | 51 | 2012 | 기타인문학

세종조 ≪율려신서≫의 유입과 아악정비에 미친 영향

Introduction to in the King Sejong's Period and Its Effect on Reorganization of Court Music

호남학 | 51 | 2012 | 기타인문학

해방 직후(1945.8~1948.7) 남한 전통음악계의 음악사회사

The Wor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ts Social History right after the Korean Liberation (August 1945~July 1948)

한국음악연구 | 51 | 2012 | 음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