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 문학에서 문화로 -『문장』지 소재 수필의 양상-
『Munjang』; From Literature to Culture -The Aspect of Essays in Magazine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 : 문학에서 문화로 -『문장』지 소재 수필의 양상-
『Munjang』; From Literature to Culture -The Aspect of Essays in Magazine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 : 문학에서 문화로 -『문장』지 소재 수필의 양상-
『Munjang』; From Literature to Culture -The Aspect of Essays in Magazine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 : 문학에서 문화로 -『문장』지 소재 수필의 양상-
『Munjang』; From Literature to Culture -The Aspect of Essays in Magazine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과학전의 시대, 총후여성과 인조의 상상력
The era of the war on science, ‘a woman in the real guard’ and the imagination of artificial
한국문학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과학전의 시대, 총후여성과 인조의 상상력
The era of the war on science, ‘a woman in the real guard’ and the imagination of artificial
한국문학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학교과서에 나오는 문학 이론 및 개념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2) -‘감정이입’과 ‘공감’ 개념을 중심으로-
A Proposal to Improve the Application of Literary Theories and Concepts in Literature Textbooks -focusing on the concepts of “empathy” and “sympathy”
한국학연구 |
40 |
2012 |
기타인문학
만주서사와 (탈)식민의 타자들
Narrative of Manchuria and (Post)colonial Others
어문학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만주서사와 (탈)식민의 타자들
Narrative of Manchuria and (Post)colonial Others
어문학 |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태준의「토끼이야기」에 나타난 자연과 근대
Vengeance of Nature - A Study on “A Story of Rabbits” -
인문연구 |
65 |
2012 |
기타인문학
만주서사와 (탈)식민의 타자들
Narrative of Manchuria and (Post)colonial Others
어문학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만주서사와 (탈)식민의 타자들
Narrative of Manchuria and (Post)colonial Others
어문학 |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 이후 문학 장의 재편과 이태준 -「해방전후」와 「먼지」를 중심으로-
The reorganization of the literary field after the Liberation and Lee, Tae-joon
어문논집 |
64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 이후 문학 장의 재편과 이태준 -「해방전후」와 「먼지」를 중심으로-
The reorganization of the literary field after the Liberation and Lee, Tae-joon
어문논집 |
64 |
2011 |
한국어와문학
환기의 백자 항아리그림과 『문장』지의 상고주의 -야나기 무네요시와 이태준의 영향을 중심으로-
Hwan Ki Kim’s White Porcelain Paintings and Primitivism of magazine
우리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환기의 백자 항아리그림과 『문장』지의 상고주의 -야나기 무네요시와 이태준의 영향을 중심으로-
Hwan Ki Kim’s White Porcelain Paintings and Primitivism of magazine
우리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 게재 시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Poems Published in Munjang ― Focusing on the aspects of mixing the ‘old’ and the ‘new’
비평문학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 게재 시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Poems Published in Munjang ― Focusing on the aspects of mixing the ‘old’ and the ‘new’
비평문학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 암흑기 만보산사건과 소설적 재현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Manbosan Affair under the Japanese Colonial Dark Ages and Novelistic Reproduction Aspects
통일인문학 |
50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 암흑기 만보산사건과 소설적 재현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Manbosan Affair under the Japanese Colonial Dark Ages and Novelistic Reproduction Aspects
통일인문학 |
50 |
|
2010 |
기타인문학
하나의 해방, 두 개의 시선
One Liberation and Two Points of View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하나의 해방, 두 개의 시선
One Liberation and Two Points of View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론·문장론·문학사론에서의 전통의 문제 ― 이광수·이태준·임화를 중심으로 ―
Problems of Tradition on Literature, Prose and Literary History in Korean Modern Literature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하나의 해방, 두 개의 시선
One Liberation and Two Points of View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하나의 해방, 두 개의 시선
One Liberation and Two Points of View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A comparative study of the post-war ideological dilemmas in Polish and Korean literature — based on Jerzy Andrzejewski's "Ashes and Diamonds" and Yi Tae-jun'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비교문학 |
56 |
2012 |
인문학
이태준과 김용준에 나타난 문학과 회화의 상호작용
Lee Tae-jun and Kim Yong-jun :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art
비교문학 |
56 |
2012 |
인문학
이태준 문학과 이상적 공동체주의
The Study on Yi, Tae-jun's Literature and Ideal Communitarianism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태준 문학과 이상적 공동체주의
The Study on Yi, Tae-jun's Literature and Ideal Communitarianism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태준의 전시 체제 대응 방식: 천리에 방심하지 않기
Staying Vigilant toward Heaven's Rules: Yi Taejun's Reactions to Japan's Wartime System from 1937 to 1945
한국현대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태준의 전시 체제 대응 방식: 천리에 방심하지 않기
Staying Vigilant toward Heaven's Rules: Yi Taejun's Reactions to Japan's Wartime System from 1937 to 1945
한국현대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태준 : 해방기 중간파 문학자의 초상
Yi Tae-Jun: A Portrait of the Neutral Literator in the Liberation Period
한국현대문학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태준 : 해방기 중간파 문학자의 초상
Yi Tae-Jun: A Portrait of the Neutral Literator in the Liberation Period
한국현대문학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방평론(東方評論)』 소재 이태준의 「봄」 연구
A Study on “Spring” by Lee Tae-jun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이태준 자전적 단편 소설의 구조
The Survey of the Author-biographical Fiction of “Lee Tae-jun”
개신어문연구 |
31 |
2010 |
현대시(국문학)
이태준 자전적 단편 소설의 구조
The Survey of the Author-biographical Fiction of “Lee Tae-jun”
개신어문연구 |
|
31 |
2010 |
현대시(국문학)
『동방평론(東方評論)』 소재 이태준의 「봄」 연구
A Study on “Spring” by Lee Tae-jun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이태준과 김용준에 나타난 문학과 회화의 상호작용
Lee Tae-jun and Kim Yong-jun :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art
비교문학 |
56 |
2012 |
인문학
이태준의 언어의식과 근대적 글쓰기의 場
The Language Consciousness of Taejoon Lee and the field of Modern Writing
한국근대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